
안녕하세요.
이번에 AMD 코리아의 도움을 받아 이렇게 사파이어 HD 7770 GHZ Edition Vapor-X를 리뷰하게 되었습니다.
무려 국내에는 정식 유통되지 않는 사파이어의 최고급 쿨링 라인인 Vapor chamber를 탑재한 7770 모델이라 더더욱 기대가 됩니다. 지금부터 리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 시스템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 i5-750 2.66@4.0Ghz
메인보드 : EVGA P55 FTW
VGA : 라데온 HD6950@70 2GB
메모리 : 삼성 PC3-10600 30나노 차이나산 1147주차 4GBx2
HDD : 삼성 128G(s830 ssd) + 삼성 1.5TB
케이스 : 실버스톤 FT02B-W Red Edition
파워 : LEPA G900 Gold = 900W
모니터 : 퍼스트 FSM-270HV
테스트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파이어 HD 7770 GHZ Edition Vapor-X 제품 소개
2. 제품의 패키지 및 외관
3-1. 성능테스트(벤치마크)
3-2. 성능테스트(게임)
4. 장단점 및 총평
■ 사파이어 HD 7770 GHZ Edition Vapor-X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제품은 최고의 그래픽카드 브랜드중 하나인 사파이어의 그래픽카드입니다.
GHZ Edition은 기존 모델들의 성능은 강화한 업그레이드 버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NVIDIA의 공세에 AMD에서
야심차게 반격하기 위해 내놓은 강화버젼이죠.
이름의 뒷부분의 Vapor-X는 이제품의 쿨링 솔루션을 상징하는 네이밍입니다. Vapor Chamber는 사파이어 계열
제품에서 최고급 쿨링 솔루션입니다. 최고란 이름에 걸맞는 최고의 멋과 쿨링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 http://www.techpowerup.com/reviews/Sapphire/HD_7770_Vapor-X/
제품의 스펙은 위와 같습니다. 기본 라데온 HD 7770에 비해 코어 클럭이 10%, 메모리 클럭이 15.5% 가량 팩토리 오버클럭 되었고 오버된 제품을 효율적으로 식히기 위해 Vapor chamber 쿨링 솔루션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평 및 각종 벤치에 의하면 이 제품은 지포스 GTX 460 1G 모델과 동급의 성능을 가지며 라데온 HD6850에 약간 못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기본 7770 기준이므로 10-15%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되어 있는 이 제품의 경우 기본 6850과 비슷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성비 및 온도, TDP 등은 신공정의 7770이 단연 압도적으로 우수합니다.
자세한 성능은 이후 설명하도록 하고 먼저 제품의 외관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품의 패키지 구성 및 외관


▲ 제품패키지입니다. 힌여름 무더위를 날려 버릴 것은 같은 시원한 컬러와 디자인입니다.
1GB GDDR5 메모리 차용, 오버클럭, HDMI 지원, GHZ Edition이라는 것 등등을 알 수 있습니다.

▲패키지 뒷면입니다.

▲자 이제 개봉해보겠습니다. 패키지를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안전포장 되어 있습니다.

▲ 다 끄집어내니 다음과 같은 부속물이 들어 있군요. 드라이버 CD, 그래픽 카드, 매뉴얼, D-sub to DVI 젠더, HDMI 케이블,
6핀 보조전원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제품의 외관을 상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놈 참 잘생겼네요. 근래에 본 카드 중 가장 예쁜 것 같습니다. 특히나 반들거리는 쿨러 블레이드의 검은 광택이 마음에 듭니다.

▲ 반대편에서 봐도 멋집니다. 사파이어라는 브랜드 이름 로고가 보이네요.

▲ 위에서 봤을 때입니다. 광택나는 블랙 컬러의 듀얼팬이 인상적입니다.

▲ 뒷면입니다. 코드부분은 부득이하게 블러처리하였습니다.

▲ 단자 지원부분입니다. 한개의 디스플레이 포트(DP)와 한개의 HDMI 포트, 그리고 2개의 DVI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어느각도에서 봐도...

▲ 이쁘지 않나요?
이상 제품의 패키지 구성 및 와관을 살펴보았습니다.
■ 성능테스트(벤치마크)

이 제품은 기본적으로 코어클럭 1100, 메모리클럭 1300입니다. 현 상태에서 바로
3dmark 11 advanced Edition으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테스트 옵션은 퍼포먼스 테스트의 디폴트 설정으로 했습니다.

▲ 테스트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3712점에 그래픽 스코어는 3425가 나왔습니다.
이 결과는 i5-750 4.0Ghz(오버클럭) CPU를 사용하였기 떄문에 2500K나 그 이상의 CPU에서 4.5Ghz 이상의 클럭으로
테스트를 진행한다면 좀 더 높은 퍼포먼스를 가질 것입니다.
다음으로 3dmark 11 벤치마크 테스트 하는동안의 온도 모니터링 결과입니다.

▲ 전체적인 시스템 내부온도 참조를 위해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가능한 다른부분은 편집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습니다.
하단부의 Radeon HD 7700 series가 테스트한 제품입니다. 최저 37도에서 최대 60도의 아주 준수한 온도를 보입니다.
확실히 신 아키텍쳐가 굉장히 기존 칩셋보다 저발열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었습니다.
3dmark 11 벤치마크 테스트가 비록 풀로드 테스팅이 아니라 풀로드의 70-80%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낮은 온도를 보였습니다.
참고로 아래의 NVIDIA GeForce GT 630은 HDMI 오디오 출력을 위한 카드이므로 오해없으시길 바랍니다.
다음으로 전압을 변경하지 않고 코어클럭을 1200까지 오버클럭 해보았습니다.

▲3885!, 그래픽스코어는 3606까지 향상되었습니다.
이 수치로 실사용이 가능할까 궁금하여 게임을 몇판 해보았는데 아쉽게도 실사용은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도중 간헐적으로 오버실패에 따른 결과가 나타납니다.
코어클럭을 1200으로 실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압을 좀 더 건드려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코어클럭 1200 테스트시의 온도 측정입니다.

▲ 최저온도 36도, 최대온도 61도로 코어 클럭 1100일때와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물론 풀로드시에는
조금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쨋든 여기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7770 vapor-x 온도 정말 착하다 라는 것이었습니다.
그외에도 전압을 건드리지 않고 메모리클럭이나 코어클럭을 좀더 건드려 오버를 시도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는 실패....(3dmark 11 벤치마크 테스트도 통과 못하는 오버클럭 실패)
이이상의 오버클럭을 위해서는 msi afterburner 등의 유틸로 반드시 전압을 건드려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현재의 클럭에 만족하니 패스!
다음으로 코어 클럭 1100, 메모리클럭 1300의 디폴트 상태에서 윈도우 체험지수 테스트를 한 결과입니다.

▲ 그래픽, 게임그래픽부분 모두 7.6점을 받았습니다. 준수하죠?
자 이제 그러면 본격적으로 게임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성능테스트(게임)

지금부터는 요즘 대세인 각종 게임들을 대상으로 프레임 테스트를 실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임 테스트는 단순히 그래픽카드의 성능 외에도, 저장매체 및 CPU의 성능에 굉장히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금부터의 테스트 결과는 참조만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글의 처음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프레임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Fraps를 이용하였습니다.


첫번째 테스트 게임은 <요즘엔 내가 대세!> 리그오브레전드입니다. 별로 고사양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무리가 없을 것이라 예상되지만 한번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풀옵션 
처음부터 과감하게 풀옵션에 도전했습니다.

▲ 결과는 아주 준수하네요.(가로 수치는 프레임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최소 프레임이 30이 넘고 평균프레임이 60이 넘으면 게임 충분히 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적인 기준입니다. 리그오브레전드는 크게 고사양이 아니기때문에 무리없이 풀옵으로도 게임이 가능했습니다.
다만 각종 마법이 난무하는 5:5한타시에는 제가 측정한 프레임보다 낮은 프레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옵션을 약간 타협해봤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풀옵션에서 그림자 옵션만 - 중간


▲ 테스트 결과는 최소 60프레임 최대 160프레임 평균 110프레임 정도를 보였습니다. 이정도면 아주 널널한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2560X1440 해상도가 이정도이기 떄문에 1080P 해상도는 측정하나 마나겠지만 1080P 풀옵션 테스트를 진행해보았습니다.
▼ 1920X1080 해상도 풀옵션


▲ 역시나 아주 쾌적합니다.
예상했던 대로 리그오브레전드는 고사양 게임이 아니기 떄문에 옵션을 과하게 주어도 안정감 있는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악마의 게임 디아블로 역시 근래 들어 출시한 게임치고는 고사양 게임은 아닙니다. 디아블로를 상대로는 7770 Vapor-X가 어떤 결과를 내줄지 기대가 됩니다. 테스트는 액트3 아즈모단의 소굴에서 일반몹을 거쳐 아즈모단을 잡으러 가는 루트에서 진행하였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풀옵션


▲ 30프레임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다가 딱 한번 15프레임을 기록했네요. 대체로 30프레임이상은 유지해주는 모습을 보였습니다만 역시 대규모 전투에서는 불안할 수 있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풀옵션에서 그림자 품질 중간으로, 계단현상 방지 및 FX 낮춤 체크 해제


▲ 상당히 안정적이 되었습니다. 최소프레임이 43프레임 정도에 평균프레임이 75프레임 정도로 이정도면
안정적으로 게임을 즐길만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최소 60프레임을 이상을 요구하는 하드 게이머들에게는
다소 부족해 보일 수도 있습니다.
▼ 1920X1080 해상도 풀옵션


▲ 이건 뭐 아주 안정적으로 게임하실 수 있습니다. 널널하죠 프레임?


다음은 NC의 야심작 블레이드 앤 소울입니다. 근래 출시한 온라인 게임중에서도 아주 고사양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더불어 MMORPG 답게 CPU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습니다. 따라서 좋은 CPU는 제가 측정한 프레임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다음과 다다음에 진행할 아이온 및 와우 역시 공통되는 사항입니다.
▼ 2560X1440 해상도 중옵션 정도


▲ 역시나 블소의 장벽은 높군요. 최소프레임이 20대에 평균프레임이 30대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정도로 쾌적한 플레이는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
▼ 1920X1080 해상도 중옵션 정도


▲ 조금 나이지긴 했으나 최소프레임 38. 평균프레임 58정도로는 다소 부족합니다.
왜냐하면 블레이드앤소울은 MMORPG이기 때문이죠. 제가 측정한 프레임은 솔로 사냥기준입니다.
대규모 전투나 전쟁에 있어서는 훨씬 더 낮은 프레임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레이드 앤 소울을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좀 더 성능이 뛰어난 CPU를 섭외하거나 옵션 조율이 좀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역시나 NC의 히트작 아이온입니다. 출시한지 꽤 오래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기를 구가하고 있습니다. 블소보다는
당연히 사양이 낮을테지만 어느정도인지 기대가 됩니다.
▼ 2560X1440 해상도 풀옵션


▲ 최소프레임 20대 평균프레임 31정도로 간당간당합니다. 이정도로는 게임을 쾌적히 즐길 수 없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중옵션


▲ 여전히 힘든 수치입니다. 사실 크게 변한게 없네요;
▼ 1920X1080 해상도 중옵션 정도


▲ 이제 좀 숨좀 돌릴 수 있겠네요.
하지만 이 역시도 솔로 사냥 기준의 프레임이기 때문에 레이드나 대규모 전쟁등의 컨텐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좀 더 옵션을 타협하거나 좀 더 우수한 CPU(i5-750 4Ghz보다)를 보유할 필요성이 느껴집니다.


블리자드사의 글로벌 히트작 저와 오랜시간 함께했던 와우입니다. 와우는 조만간 신규 종족(판다렌?!) 출시를 앞두고 있어 많은 올드 와우져들이 복귀 의향을 보이고 있는 게임입니다. 근래 MMORPG의 아버지라 불릴만한 대작입니다.
와우의 수많은 장점중 하나는 굉장히 최적화가 잘되어 있습니다. 옵션 조절만 하면 낮은 사양의 컴퓨터에서도 게임을 플레이 가능합니다. 7770으로는 어느정도까지 타협가능할지 기대됩니다.
▼ 2560X1440 해상도 높음


▲ 최소프레임이 30프레임을 겨우넘는 것은 마음에 걸리지만 이정도 옵션에 평균프레임이 60프레임인 것은 인상적입니다.
하지만 레이드나 대규모 전쟁 컨텐츠를 고려한다면 이 역시 부족한 프레임이라고 보여집니다.
▼ 1920X1080 해상도 높음


▲ 최소프레임이 40대이상까지 끌어올려졌습니다. 하지만 와우는 특이하게도 해상도가 높아진다고 해서 프레임이 엄청나게 차이난다거나 하지 않습니다 최적화 차이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솔로사냥에서는 이정도 옵션으로 충분하겠지만 레이드나 대규모 전쟁 컨텐츠를 위해서는 조금더 옵션을 조정해야할 것 같습니다.

레이싱 게임 더트시리즈의 최신작인 더트쇼다운입니다. 요즘 종종 그래픽카드 구매시 사은품으로 게임 쿠폰이 동봉되어 있기도 합니다. 근래의 레이싱 게임답게 그래픽이 우수하고 그만큼 요구사양도 제법 높습니다.
일단 크게 지르고 시작해보겠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풀옵

▲ 최소프레임이 제법 낮습니다. 다만 일정한 트랙을 도는 레이싱게임은 급격한 프레임 저하를 일으킬 요소가 거의 없고 온라인 게임 처럼 예외상황이 잘 없기 때문에 최소와 최대 프레임 간의 간격은 좁습니다.
▼ 2560X1440 해상도 멀티샘플링을 꺼보겠습니다.


▲ 약간의 프레임 상승이 있긴 합니다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 1920X1080 해상도 멀티샘플링을 끈상태


▲ 이제 좀 할만해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저는 개인적으로 프레임차이를 별로 못느끼겠습니다. 1440이나 1080이나 ㅎㅎ
그래서 저는 그냥 1440으로 합니다. 대체적으로 20대 후반의 프레임을 뽑아주고 있어서 불편함은 잘 못느꼈습니다.
작은 차이에 민감한 분들에게는 좀 아쉬울 수 있는 프레임입니다.
하지만 제 개인적인 평으로는 "더트쇼다운도 충분히 즐길만하다"입니다.
■
장단점 및 총평
지금까지 사파이어 RADEON HD 7770 GHZ Edition Vapor-X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 제품은 AMD사의 메인스트림급 VGA인 라데온 HD 7770을 사파이어에서 Vapor-X를 장착하여 출시한 비레퍼런스 모델로써
레퍼런스 대비 10-15%의 팩토리 오버클럭이 되어있고 그에 걸맞는 쿨링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사파이어 제품군 중에서도 Vapor-X는 최고급 쿨링 솔루션이라 할 수 있으며, 디자인 또한 굉장히 세련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비록 국내에 정식 수입이 되지 않은 점은 아쉽지만 이렇게 AMD 코리아를 통해 접할 수 있어 반가웠습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게임을 약간의 옵션타협을 통하면 구동이 가능한데다 더운 날씨에 착한 VGA의 온도는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더불어 혁신적인 전력대 성능비의 7000대 라인업은 미약하나마 전기세 절감의 효과도 가져온다는 점이 나쁘지 않네요.
리뷰를 진행할 수 있게 기회를 주신 AMD 코리아와 쿨엔조이에 감사 말씀드립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장점 :
우수한 전성비(전력 대비 성능비)와 낮은 전력소모량,
고성능(저소음) 쿨링 솔루션,
세련된 디자인,
현존하는 대부분 게임을 풀옵 또는 옵션을 타협하여 충분히 구동할 수 있다는 점
단점 :
가성비 및 절대성능이 형제모델인 6850에 약간 못미친다는 점,
사파이어 RADEON HD 7770 GHZ Edition Vapor-X는 국내에 정식 수입되지 않았다는 점,
메인스트림급의 한계로 대부분의 MMORPG나 고사양 게임에서 옵션타협이 필요하다는 점
을 뽑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 리뷰를 읽어주신 모든 분께 감사말씀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