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기타] 더 업그레이드 된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 (250GB)

블레더
조회: 1138
2018-03-02 19:09:28

- 소개

이 번에 소개해 드릴 제품은 마이크론 Crucial MX500 SSD 아스크텍 (250GB) 제품입니다. 마이

크론 크루셜 SSD는 유저들로에게 강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여러 SSD 모델을

통해 계속해서 시장에 출시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 Crucial MX500 SSD는 64층 3D TLC 낸드

플래시를 탑재했고, 실리콘모션 SM2258은 고성능 컨트롤러를 채택했습니다. 순차읽기 속도는

560MB/s, 순차쓰기 속도는 510MB/s로 기존 MX300 모델보다 더욱 성능이 빠르고, A/S 기간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아쉬운 점은 컨트롤러가 마벨에서 실리콘모션으로 바뀌고, 용량이 다소 줄어들었다는 점입니다.

실리콘모션 컨트롤러는 마벨 컨트롤러에 비해 안정성과 호환성이 아직 100%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저들이 앞으로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 패키지

기존 MX300 패키지와 다른 점은 없습니다.

앞면에는 아스크텍 보증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무상 A/S 기간은 5년입니다.

뒷면에는 각종 인증 마크와 간단한 정보가 적혀 있습니다.



SSD 본체는 플라스틱 보호 가이드로 잘 고정되어 있습니다.

구성품은 SSD 본체, 9.5mm 변환 스페이서, 홈페이지 소개 메뉴얼 입니다.

아쉽게도 파일 백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아크로니스 트루이미지 시리얼은 없었습니다. ㅜㅡ


- 외형



기존에 마이크론 크루셜 디자인과 같으나, 측면 나사 고정 방식이 약간은 다른 점입니다.




- 장착

포멧을 해 보니 실제 사용가능한 용량은 232GB 입니다. 역시 줄어든 부분은 아쉽긴 합니다.


- 벤치테스트 (팀그룹 L5 SSD 480GB 비교)

기존에 사용중인 팀그룹 L5 LITE 3D SSD (20% 용량 채움)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크론 Crucial MX500 아스크텍이 다소 앞서는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4K에서 ^^!









스펙상 발열이 0~70도 이지만 온도 체크를 해보니 발열은 생각보다 많이 준수했습니다.


- 나래온 더티테스트

- 드라이브 내 테스트 구간 -
테스트 구간 : 249GB ~ 0GB (빈 상태에서 테스트)
파티션 용량 : 250GB

- 모드 적용 사항 -
윈도 캐시 효과 : 미적용
무한 반복 : 미적용
***************************************
99.5% 에서의 속도 : 498MiB/s
99.4% 에서의 속도 : 499MiB/s
99.3% 에서의 속도 : 499MiB/s
99.2% 에서의 속도 : 499MiB/s
99.1% 에서의 속도 : 499MiB/s
99.0% 에서의 속도 : 499MiB/s
98.9% 에서의 속도 : 499MiB/s
98.8% 에서의 속도 : 499MiB/s
98.7% 에서의 속도 : 499MiB/s
98.6% 에서의 속도 : 499MiB/s
98.5% 에서의 속도 : 498MiB/s
98.4% 에서의 속도 : 499MiB/s
98.3% 에서의 속도 : 499MiB/s
98.2% 에서의 속도 : 493MiB/s
98.1% 에서의 속도 : 499MiB/s
98.0% 에서의 속도 : 499MiB/s
97.9% 에서의 속도 : 499MiB/s
97.8% 에서의 속도 : 499MiB/s
97.7% 에서의 속도 : 499MiB/s
97.6% 에서의 속도 : 495MiB/s
97.5% 에서의 속도 : 499MiB/s
97.4% 에서의 속도 : 499MiB/s
97.3% 에서의 속도 : 499MiB/s
97.2% 에서의 속도 : 499MiB/s
97.1% 에서의 속도 : 499MiB/s
97.0% 에서의 속도 : 499MiB/s
96.9% 에서의 속도 : 499MiB/s
96.8% 에서의 속도 : 499MiB/s
96.7% 에서의 속도 : 499MiB/s
96.6% 에서의 속도 : 499MiB/s
96.5% 에서의 속도 : 499MiB/s
96.4% 에서의 속도 : 499MiB/s
96.3% 에서의 속도 : 499MiB/s
96.2% 에서의 속도 : 499MiB/s
96.1% 에서의 속도 : 499MiB/s
96.0% 에서의 속도 : 499MiB/s
95.9% 에서의 속도 : 499MiB/s
95.8% 에서의 속도 : 499MiB/s
95.7% 에서의 속도 : 499MiB/s
95.6% 에서의 속도 : 472MiB/s
95.5% 에서의 속도 : 328MiB/s
95.4% 에서의 속도 : 486MiB/s
95.3% 에서의 속도 : 475MiB/s
95.2% 에서의 속도 : 332MiB/s
95.1% 에서의 속도 : 499MiB/s
95.0% 에서의 속도 : 471MiB/s
94.9% 에서의 속도 : 328MiB/s
94.8% 에서의 속도 : 499MiB/s
94.7% 에서의 속도 : 469MiB/s
94.6% 에서의 속도 : 499MiB/s
94.5% 에서의 속도 : 499MiB/s
94.4% 에서의 속도 : 499MiB/s
94.3% 에서의 속도 : 499MiB/s
94.2% 에서의 속도 : 499MiB/s
94.1% 에서의 속도 : 500MiB/s
94.0% 에서의 속도 : 499MiB/s
93.9% 에서의 속도 : 499MiB/s
93.8% 에서의 속도 : 499MiB/s
93.7% 에서의 속도 : 499MiB/s
93.6% 에서의 속도 : 496MiB/s
93.5% 에서의 속도 : 500MiB/s
93.4% 에서의 속도 : 499MiB/s
93.3% 에서의 속도 : 499MiB/s
93.2% 에서의 속도 : 499MiB/s
93.1% 에서의 속도 : 499MiB/s
93.0% 에서의 속도 : 499MiB/s
92.9% 에서의 속도 : 499MiB/s
92.8% 에서의 속도 : 499MiB/s
92.7% 에서의 속도 : 499MiB/s
92.6% 에서의 속도 : 500MiB/s
92.5% 에서의 속도 : 494MiB/s
92.4% 에서의 속도 : 499MiB/s
92.3% 에서의 속도 : 500MiB/s
92.2% 에서의 속도 : 500MiB/s
92.1% 에서의 속도 : 499MiB/s
92.0% 에서의 속도 : 499MiB/s
91.9% 에서의 속도 : 499MiB/s
91.8% 에서의 속도 : 499MiB/s
91.7% 에서의 속도 : 499MiB/s
91.6% 에서의 속도 : 499MiB/s
91.5% 에서의 속도 : 499MiB/s
91.4% 에서의 속도 : 271MiB/s
91.3% 에서의 속도 : 499MiB/s
91.2% 에서의 속도 : 499MiB/s
91.1% 에서의 속도 : 499MiB/s
91.0% 에서의 속도 : 496MiB/s
90.9% 에서의 속도 : 499MiB/s
90.8% 에서의 속도 : 499MiB/s
90.7% 에서의 속도 : 499MiB/s
90.6% 에서의 속도 : 499MiB/s
90.5% 에서의 속도 : 499MiB/s
90.4% 에서의 속도 : 470MiB/s
90.3% 에서의 속도 : 257MiB/s
90.2% 에서의 속도 : 499MiB/s
90.1% 에서의 속도 : 472MiB/s
90.0% 에서의 속도 : 255MiB/s
89.9% 에서의 속도 : 499MiB/s
89.8% 에서의 속도 : 499MiB/s
89.7% 에서의 속도 : 499MiB/s
89.6% 에서의 속도 : 499MiB/s
89.5% 에서의 속도 : 499MiB/s
89.4% 에서의 속도 : 499MiB/s
89.3% 에서의 속도 : 499MiB/s
89.2% 에서의 속도 : 499MiB/s
89.1% 에서의 속도 : 499MiB/s
89.0% 에서의 속도 : 499MiB/s
88.9% 에서의 속도 : 499MiB/s
88.8% 에서의 속도 : 499MiB/s
88.7% 에서의 속도 : 499MiB/s
88.6% 에서의 속도 : 499MiB/s
88.5% 에서의 속도 : 499MiB/s
88.4% 에서의 속도 : 499MiB/s
88.3% 에서의 속도 : 499MiB/s
88.2% 에서의 속도 : 499MiB/s
88.1% 에서의 속도 : 495MiB/s
88.0% 에서의 속도 : 499MiB/s
87.9% 에서의 속도 : 499MiB/s
87.8% 에서의 속도 : 499MiB/s
87.7% 에서의 속도 : 499MiB/s
87.6% 에서의 속도 : 499MiB/s
87.5% 에서의 속도 : 499MiB/s
87.4% 에서의 속도 : 499MiB/s
87.3% 에서의 속도 : 499MiB/s
87.2% 에서의 속도 : 499MiB/s
87.1% 에서의 속도 : 499MiB/s
87.0% 에서의 속도 : 499MiB/s
86.9% 에서의 속도 : 499MiB/s
86.8% 에서의 속도 : 499MiB/s
86.7% 에서의 속도 : 499MiB/s
86.6% 에서의 속도 : 499MiB/s
86.5% 에서의 속도 : 499MiB/s
86.4% 에서의 속도 : 499MiB/s
86.3% 에서의 속도 : 499MiB/s
86.2% 에서의 속도 : 261MiB/s
86.1% 에서의 속도 : 183MiB/s
86.0% 에서의 속도 : 285MiB/s
85.9% 에서의 속도 : 202MiB/s
85.8% 에서의 속도 : 218MiB/s
...

..

.

0.4% 에서의 속도 : 197MiB/s
0.3% 에서의 속도 : 197MiB/s
0.2% 에서의 속도 : 173MiB/s
0.1% 에서의 속도 : 198MiB/s
0.0% 에서의 속도 : 199MiB/s
***************************************
테스트 시간 : 00:18:03
***************************************
최대 속도 : 500MiB/s
최소 속도 : 37MiB/s
평균 속도 : 243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0.2%
***************************************


***************************************

- 드라이브 내 테스트 구간 -
테스트 구간 : 125GB ~ 0GB (절반 정도 채운 상태에서 테스트)
파티션 용량 : 250GB

- 모드 적용 사항 -
윈도 캐시 효과 : 미적용
무한 반복 : 미적용
***************************************
50.1% 에서의 속도 : 408MiB/s
50.0% 에서의 속도 : 164MiB/s
49.9% 에서의 속도 : 256MiB/s
49.8% 에서의 속도 : 243MiB/s
49.7% 에서의 속도 : 263MiB/s
49.6% 에서의 속도 : 255MiB/s
49.5% 에서의 속도 : 283MiB/s
49.4% 에서의 속도 : 256MiB/s
49.3% 에서의 속도 : 244MiB/s
49.2% 에서의 속도 : 222MiB/s
49.1% 에서의 속도 : 262MiB/s
49.0% 에서의 속도 : 261MiB/s

...

..

.

0.6% 에서의 속도 : 241MiB/s
0.5% 에서의 속도 : 246MiB/s
0.4% 에서의 속도 : 280MiB/s
0.3% 에서의 속도 : 260MiB/s
0.2% 에서의 속도 : 283MiB/s
0.1% 에서의 속도 : 263MiB/s
0.0% 에서의 속도 : 275MiB/s

***************************************
테스트 시간 : 00:08:08
***************************************
최대 속도 : 493MiB/s
최소 속도 : 14MiB/s
평균 속도 : 257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 1.8%
***************************************


- 소프트웨어 (Crucial Storage Executive)

Crucial Storage Executive 다운로드 : www.crucial.com/usa/en/support-storage-executive

실행하면 시스템 정보 메뉴가 나오며 각 각의 드라이브 내용이 나옵니다.니다. 펌웨어 확인도!

드라이드 세부 정보에서는 사용량, 온도, 드라이브 및 펌웨어 버젼 표기가 있습니다.

S.M.A.R.T 메뉴에서는 각 드라이브 별로 자세한 값들을 보여줍니다.

현재 펌웨어 버젼을 확인하고 파일 선택 및 실시간 업데이트도 할 수 있는 곳입니다.

드라이브 삭제 메뉴는 디스크를 초기화 시키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PSID 되돌리기 메뉴는 보안 모드 드라이브를 원래 상태로 초기화 시키는 곳입니다.

모멘텀 캐쉬 메뉴는 램의 일부를 캐시로 사용해서 성능을 증폭시키는 기술입니다. 성능과 수명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하지만 체감은 미비합니다. 모멘텀 캐쉬 활성화 시켜서 벤치를 했습니다.


Flex Capacity 메뉴는 쓰기 성능, 작업 부하에 더 효율적인 성능 효과를 주는 곳입니다.


오버 프로비저닝 메뉴는 일부 공간을 남겨두고 안정성을 높여 나머지 공간을 가지고 사용하는

방식인데, 성능과 내구성이 향상된다고는 하나 그렇게 유용하지는 않습니다


- 게임




- 총평


장점

- 더욱 업그레이드 된 성능과 내구성 그리고 수명성.

- 5년 A/S 기간과 스펙 대비 매우 합리적인 가격.

- 마이크론 Storage Executive 효율적인 관리툴 제공.

- 데이터 복구 무료 (데이터팩토리 홈페이지 접속 / 2년 동안 1회 가능)


단점

- 275GB에서 250GB로 다소 용량이 줄어든 점.


개인블로그 : http://blog.naver.com/bleder20/221220332606


"이 사용기는 아스크텍의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이 사용기는 제휴사와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Lv23 블레더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