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케이스/파워] EVGA 500 W2 80PLUS Standard 파워 서플라이 필드테스트 - EVGA가 좋다! 1부

아이콘 레시메르베주
조회: 1243
2019-07-09 13:19:47



그래픽 카드로 유명한 북미 브랜드인 EVGA에서 보급형 파워를 출시했고, 얼마 전 이엠텍에서 한국에서 정식 유통하기 시작했습니다.  EVGA의 명성은 EVGA RTX 2080 Ti FTW3 Ultra Gaming과 EVGA CLC 280 그리고 EVGA 750 BQ로 직접 체험했죠. 그 결과 지금은 나름 EVGA 팬이 됐습니다. 그래픽 카드, 일체형 CPU 수냉쿨러, 파워 서플라이 할 것 없이 EVGA 제품을 가리지 않고 쓰고 있죠. 

 

지금도 보유 중인 ANDYSON R 1200W 플래티넘이 작년 여름에 돌연사했습니다. 돌연사한 이유를 알 수가 없었죠.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해서 그런가 하는 의문이 있었습니다. 그때 예비로 가지고 있던 EVGA 750 BQ를 사용했습니다. 34도에 이르는 작년 그 무더위 속에서 노에어컨 상태에서 말 그대로 하루 종일 돌렸지만 아무런 문제가 없더군요(제 방에는 현재도 에어컨이 없습니다 =_=). 그리고 지금까지 고장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EVGA 750 BQ BRONZE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이런 식으로 직접 확인했습니다. 

 

ANDYSON 1200W 플래티넘은 신품으로 교체받았고, EVGA 750 BQ와 함께 각각 메인 시스템과 서브 시스템에서 밥값을 했죠. 말이 길어졌는데 EVGA 500 W2 또한 하이엔드 카드를 장착하고도. EVGA 750 BQ처럼 아무런 문제없이 작동하는 신뢰성있는 모습을 보여줄까. 개인적인 궁금증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필테라는 형식을 통해 사용해보게 됐습니다. 

 

 

 

■ EVGA 500 W2 박스 및 구성품 


▲ EVGA 500 W2 상자는 이엠텍 유통 제품들이 으레 그렇듯 비닐로 밀봉돼 있죠. 

비닐을 뜯으면 상자 뒷면에 봉인지가 붙어 있죠.

저는 이미 봉인지를 제거한 상태입니다.  

 


 


▲ EVGA 500 W2는 80PLUS 및 230EU 인증을 받았습니다. 

최대효율은 50% 구간에서 85%라고 하는군요. 

 

 



▲ 상자를 열면 이렇게 단촐한 구성물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파워 본체, 전원 케이블, 설명서, 나사 4개가 전부입니다. 

500W 보급형 파워에 복잡하게 이것저것 넣을 필요가 없지 않나 합니다. 

 


 

 

■ EVGA 500 W2 사양 및 본체 살펴보기 


http://prod.danawa.com/info/?pcode=8107354&keyword=EVGA%20500W&cate=112777

▲ 다나와 제품란에 기재돼 있는 EVGA 500 W2 기본 사양 

 

보호회로는 보급형 파워에 걸맞는 수준으로 있을 건 다 있습니다. 

정보가 경신되지 않아서 AS 기간이 3년으로 나와 있지만 실제로는 5년입니다. 

얼마 전 이엠텍에서 AS 기간을 2년 연장해 5년이 됐습니다. 

 




▲ 냉각팬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120mm입니다. 

울트라 콰이어트 팬이라고 하는군요. 

팬 그릴이 뭔가 형이상학적인 느낌을 줍니다. 

 


 

 

▲ 측면입니다. 

전압/전류/전력 관련 정보가 기재돼 있습니다. 

싱글 레일 구조로 12V의 경우 최대 480W를 가용 가능하죠. 

 

 



▲ 뒷면은 별 게 없습니다. 

케이블이 연결돼 있는 부위입니다. 

저 톱나바퀴 모양의 결속부에 케이블 다발이 보기 좋게 모여 있죠. 

잡고 흔들어도 봤는데 잘 결속돼 있더군요. 

 


 


▲ EVGA 500 W2 케이블 사양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그래픽 카드용 PCI-E 커넥터가 2개라는 점입니다. EVGA RTX 2080 Ti FTW3 UG가 전기를 좀 먹는 녀석이다 보니 약간 걱정이 들더군요. 마찬가지로 CPU 보조전원 커넥터 또한 2개입니다. 케이블 길이는 미들타워 케이스에 아주 빡빡하지 않고 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여유로운 길이입니다. 빅타워 케이스의 경우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제가 메인 시스템 케이스로 썼던 3RSYS T1000의 경우는 좀 빡빡하긴 해도 장착할 수 있더군요. 500W 파워를 사용할 정도의 사양을 가진 PC에 필요한 만큼은 달려 있죠. 

 

 

 

▲ 파워 뒷쪽은 벌집 모양으로 구멍 숭숭 나있어서 열 배출 아주 잘 되겠다는 느낌이 들죠. 

전원 스위치 생김새를 눈여겨 봐주십시오. 

EVGA 750 BQ와는 달리 상하가 아니라 좌우로 스위칭됩니다. 

 

 



▲ EVGA 750 BQ와의 크기 비교 사진입니다. 

EVGA 500 W2가 작고 귀엽죠. 

미들 케이스라면 전혀 무리가 없는 크기입니다. 

 

 

 

 

■ EVGA 500 W2 장착 


▲ EVGA 750 BQ를 떼어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열심히 RADEON VII 돌린 그대 떠나라! 

RX 5700 XT 나왔겠다, 라칠이도 미국 가즈아~

 



▲ EVGA 500 W2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그래픽 카드 또한 EVGA RTX 2080 Ti FTW3 UG로 교체했습니다. 몇 가지 부품을 더 교체하고 싶었는데, 그래픽 카드가 소모할 전력량을 고려하니 선뜻 실행에 옮기지 못하겠더군요. 다만 이 부품 구성에서는 최대 전력 사용량을 면밀히 계산한 결과 풀로드 시에도 절대 500W를 넘을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기에 2080Ti 오버클럭까지 감안했습니다. 

 

PCI-E 케이블 하나에 2개의 8핀 커넥터가 달려 있지만, 이런 구성은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케이블 하나를 한 개의 유닛으로 봤을 때, 2080Ti 급 카드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서 2개의 유닛 그러니까 2개의 케이블에서 커넥터 1개씩만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EVGA 500 W2는 PCI-E 케이블 1개에 8핀 커넥터가 2개뿐이라 별 수 없습니다. 

 

AIDA64를 이용한 시스템 안정성 테스트를 비롯해, EVGA 500 W2가 2080Ti에 밥을 잘 공급했느냐에 관해서는 2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이 사용기는 이엠텍아이엔씨로부터 EVGA 500 W2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인벤러

Lv82 레시메르베주

인벤 만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