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몇일전 이슈&토론 게시판에
[접지않아도돼요 리니지는재미있으니가요.] 라는 글을썼던 사람입니당.
이도류 크로우 궁굼하신거같아서
린알못티는 조금 벗어난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말씀드릴게요.
* 실험글 및 인증된글을 가지고 말씀드리는거니 많이 틀린얘기는 아닐거에요.
크로우와 이도류의 차이
크로우 : 크리티컬
이도류 : 더블
*크리티컬 : 확률적으로 무기가 낼수있는 최대데미지를 낸다.
*더블 : 확률적으로 무기 데미지의 두배를 낸다.
일단 간단히 보자면 이차이인데요.
확률 분석은 인증글과 실험글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크리티컬 확률이 30~40% 쯤 돼는걸로 보였고
더블 확률이 20~30% 쯤 돼는걸로 집계 되어있네요. (물론 무기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크리티컬과 더블에 대해서 조금만 더 자세히 파보자면.
크리티컬은 무기의 최대데미지를 낸다였고, 더블은 무기 데미지의 두배를낸다 였습니다.
이말이 무슨말이냐?!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ex) 파괴의 크로우 18/19 = 크리티컬 데미지 작은몹 18 큰몹 19
파괴의 이도류 16/10 = 더블 데미지 작은몹 2~32 큰몹 2~20
(여기서 공격성공과 추타는 뺐습니다. 이둘은 고정 수치거든요.)
크로우의 크리티컬데미지는 일단 발동하면 무조건 최대데미지로 나오기때문에 강한공격력을 안정적이게 가져가는게
장점입니다. 더블보다 확률도 높구요. 그래서 크로우가 평뎀이 준수하여 사냥에는 역시 크로우 이런말들이 나오는겁니다.
크리티컬만 터지게돼면 무조건 최대데미지 이니까요.
이도류의 더블은 크로우보다는 확률이 낮은 편이고
일단 발동하게되면 무기공격력이 무조건 최대데미지로 나오는것이 아니니 더블이 터졋다 하더라도
적은 데미지가 나올수있다는 겁니다. 16짜리의 데미지가진 무기를 들고도 2의 더블데미지가 나올수있다는 것이죠.
물론 최대데미지 일때 터지는 더블데미지는 크로우와 비교가 불가할정도로 높은거구요. (16짜리 데미지 무기 = 32)
다들 대인전,PVP는 이도류다!! 뭐이런말들 하시잖아요. 그것이 이도류가 크로우보다 데미지가 엄청강력해서
그런것이아니구. 최대 데미지의 더블이나 그에 근접한 높은 데미지일때의 더블은 상대방이 베르타이밍(귀환) 타이밍을
놓치게 할정도로 강력하기때문에 상대방을 눕힐수있는 확률이 있는 무기니 대인전 용이라는것이죠.
ex) 20~30씩 피가빠져서 방심하고있는데 갑자기 50~60이 팍팍.
여기서 더블브레이크,버닝스피릿츠 라는 다엘마법을 배우면 차이는 조금더 커지게 됩니다.
뭐 더블배우면 이도류지. 이런말씀도 많이들하시는데. 무조건은 아닙니다.
잘생각해 보면 크로우도 쎕니다.
파크같은경우 18/19니까 36/38 이돼겠네요. 버닝까지 같이터졋다치면 54/57 이네요. 와우!!!
(크로우의 높은 크리티컬 확률과 높은 고정데미지는 이도류가 최고가 될수없게하는 크로우만의 경쟁력이죠.)
하지만 결코 틀린말은 아닙니다.
이도류의 경우 이도류 자체의 최대 더블데미지와 다엘마법인 더블브레이크,버닝스피릿츠가 합쳐진다면??
네 . 다들 아실거에요.
바로 흔히들 말씀하시는 왕땁이라는거죠.
파이로 비교하자면 2~32/2~20 니까 4~64/4~40가 돼고. 버닝까지 같이터지면 6~96/6~60이 되는겁니다.
무서웡..ㅠㅠ
(이 어마무시한 데미지는 터질확률은 낮지만 터지면 귀환도 못하고 죽는게 이해되는 이도류의 경쟁력입니다.)
바로 이 차이입니다.
크로우는 높은 크리티컬 확률의 고정데미지 평댐이 고평가가 되어 사냥시에
안정적인 사냥이 됨으로 사냥용이라는 말이나오고,
이도류는 높지않은 더블 확률에 들쑥날쑥한 데미지지만 조건에 맞는 발동만 되면
무시무시한 데미지를 줄수있어 대인전,PVP용이라는 말이나오는거죠.
사실 저도 다엘 클래스를 키우고있고. 현재는 크로우 이도류 다섞어 쓰지만 특별히 뭐가 좋다 뭐써라 고는
말씀못드리죠... 그냥 둘다 좋아요. 저는 갠적으로 이도류의 더블터지는 소리가 좋아서 이도류써요.
근데 쓰다보면은 확실히 크로우의 크리티컬이 굉장이 잘터지는거구나 느껴져요... 이도류 너무비교될정도로...ㅋㅋㅋ
다들 무기고민 너무많이 하시지말고 그냥 내가 가지고 있는무기중에 좋은거 쓰세요.
마음에 드는거 더고인첸 무기!!
그럼 다들 즐린하십쇼. (__)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