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지션별 위험 정신병 일람 |
|
|
|
|
|
탑: |
|
|
설명: |
강박증. 한 대 맞으면 반드시 두 대 때려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린다. 증상이 |
|
심해질 경우, 나는 반드시 퍼블을 따야 하며, 딸 수 있다는 환상에 시달리게 된다. |
|
|
위험증상: |
게임을 시작하자 마자 리시도 관두고 상대편 앞 부쉬에 숨어있다면 전문의의 |
|
상담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
|
|
해결책: |
정글러가 적절한 갱을 가주면 쉽게 해결되기도 한다. |
|
|
|
|
|
|
설명: |
망상장애. 자신이 최강이라고 착각하기 쉬운 탑에 특히 위험한 질병. 많은 이들이 |
|
탑솔증후군의 증상이라 말하는 "저 딸피가 살아가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적 정글러는 |
|
항상 탑에서 살고 우리 편 정글러는 와서 더블버프만 주고 간다고 확신, 아군에게 |
|
패드립, 적군에게 쌍욕을 거듭하고 있다면 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
|
위험증상: |
딸피 상태에 적 터렛으로 다이브 했다 혼자 죽은 다음, 당연히 이길 수 있는 건데 |
|
재수가 없어서 졌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볼 것을 |
|
추천한다. |
|
|
해결책: |
답이 없다. 포기하자....라고 말하고 싶지만, 일단 방법은 있다. 탑솔러를 제외한 |
|
나머지 모든 팀이 서폿의 마인드를 가지면 된다. 이를 통해 트롤러에서 세계최고의 |
|
자리에 등극했다는 모 프로게이머의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
|
|
|
|
|
|
|
원딜 |
|
|
설명: |
뮌하우젠 증후군. 일명 관심병. 게임의 모든 것은 나를 위해 존재한다고 여기며, 우리 |
|
편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존재하고 상대는 내게 죽기 위해 존재한다고 여긴다. 주로 20분 |
|
정도가 지나서 코어템이 한 둘 정도 나온 상태의 원딜에게서 나타나기 쉽다. |
|
|
위험증상: |
우리편은 탑에서 한타하고 있는데 혼자 밧으로 CS먹으러 가면서 "내가 없으니까 한타하지 마 |
|
이 ㅄ들아!" 라고 외친 경험이 세번 이상 있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
|
|
해결책: |
서폿의 관심과 사랑, 끊임없는 GJ (Good Job) 콜을 통해 어느 정도 완화가 가능하다. 단, |
|
서폿에게 우울증을 선사할 수 있다는 점은 주의. |
|
|
|
|
|
|
설명: |
강박증. CS 강박. 딜교 강박등의 세부 증상이 있다. 주로 CS를 먹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
|
휩싸인 나머지, 모든 것에 미니언 막타가 우선하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흔한 예로 적진에서 |
|
CS 하나 더 먹겠다고 우리 편 다 빠지는데 홀로 남아서 미니언을 치고 있거나, 터렛 부수러 |
|
와서 미니언만 잡고 있는 모습등이 있다. |
|
|
위험증상: |
남들 다 모여 있는데 혼자 CS먹다가 짤리는 경험을 매 판 세번 이상 한다면 증상을 의심할 |
|
필요가 있다. |
|
|
해결책: |
별다른 해결책이 없다. CS가 숨쉬듯 먹어질 만큼 실력이 늘던가, 그냥 봇라인을 접자. |
|
|
|
|
|
|
설명: |
난독증. 모든 라인에 공통되게 위험한 병증으로 대표적인 예는 "ㅁㄷㅁㅇ" 가 "미드모여" |
|
로 보이는 것 등이다. ADC에게 특히 위험하다. |
|
|
위험증상: |
분명 우리편이 미아를 쳤음에도 미아콜 어딨나요 ㄳ야 등의 드립을 치고 있는 자신을 |
|
발견했다면 전문의의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다. |
|
|
해결책: |
독서를 하자. |
|
|
|
정글러 |
|
|
설명: |
대인기피증. 정글러에게 특히 위험한 질병. 주로 혼자서 고독하게 RPG를 즐기는 정글러에게 |
|
많이 나타난다. 갱승을 거듭하다 먹은 욕이 임계치를 넘어설 경우 나타나기 쉽다. 아무튼 사람만 |
|
보면 피하며 정글몹만 끊임없이 먹는다. |
|
|
위험증상: |
봇라인이 당겨져 있고 피도 딱 가면 잡기 좋은 견적이 나오는 순간 "아, 탑에 작골 리젠됐다" |
|
(퍼플 기준) 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면 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
|
해결책: |
상대편 정글로 카정을 보내는 등의 적극적인 치료방법이 있으나, 실패할 경우 증상이 더욱 |
|
심각해 질 위험이 있다. 정글러를 자주 호출하고, 갱의 성공여부를 떠나 와 준 것에 감사하는 |
|
모습을 계속 보여줄 경우 증상의 완화가 가능하다. |
|
|
|
|
|
|
|
|
설명: |
공황장애. 정글러가 걸리기 쉬운 정신질환의 하나. 카정을 심각하게 따일 경우, 그냥 이동하는 |
|
것만으로도 공포에 휩싸이는 체험을 하는 나머지 "AFK함" 이라고 선언하게 되는 등의 증상이다. |
|
|
위험증상: |
부쉬를 볼 때마다 (우리편 맵인데도) 그 안에 적이 숨어있다가 뛰쳐나올 것 같은 나머지 플래쉬로 |
|
우리편 정글 부쉬를 뛰어넘을 정도가 되었다면 공황장애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
|
|
해결책: |
와드를 깔자. |
|
|
|
서폿 |
|
|
|
서폿을 고를 정도의 강인한 정신력을 갖고 있다면 대다수의 정신병을 이겨낼 수 있다. 단, 과도한 |
|
서폿은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