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미드 정글이 AD나 AP몰빵이면 함부러 2:2보지마라. 상성이용한 푸쉬바탕으로 인원수 싸움이 가장 최선이다.
2.대각선 원칙 지켜서 사린 반대편 라인의 경우, 너가 반대쪽에서 작업 후 귀환하고 나와서 최소한 강가시야라도 뚫게 해줘야 그 라인이 안무너진다.
2-1.대각선 원칙 안지켜서 터진 경우 그 라인을 너가 단독으로는 절대 개입하지마라. 라인 주도권도 없어서 너 동선 들키고 역갱 가능성도 높고 안들키더라도 교전이 지지부진해지면서 걍 백업에 겜 터진다. 이런 라인을 굳이 풀어야할 경우엔 인근 다른 라이너랑 같이 가야 된다.
3. 라인전이 끝나고 난 후로는 돌거북 두꺼비는 시야 장악과 라이너 푸쉬 봐주는 것때매 사실상 먹기 힘들다. 얘넨 거의 귀환 후 나올때나 동선 맞으면 먹으면서 강가나가서 시야먹는거다. 라인전 이후론 미드, 서포터 끌고 적 칼날이나 늑대 침투해서 빼먹는게 가장 좋다.
3-1. 시야장악에 대해서 부가 설명을 붙이자면, '시야 장악했고 우리 라인 푸쉬했으니 이제 정글 먹어도 되겠지?'가 아니다. 애초에 우리 어디 (포탑, 정글, 용 등) 먹자라는 기준하에 시야를 장악하고 푸쉬하는 것이기 때문에 라인 푸쉬했으면 이제 다같이 목표지역으로 뚫고 들어가서 작업치는거다. 그 전까진 상대가 시야 못뚫고나오게 대치하면서 각내주면 아군이 먼저오니까 걸어서 교전으로 이득보는거다
4.라이너 상성이나 구도는 대략적으로는 알아둬야된다.
대표적인걸 예를 들면 잭스 대 피오라, 서로 근거리에 성장형 브루져라 딜교도 빈번한데 킬 따내는 쪽이 계속 우세하다. 즉 전형적인 먼저 갱치는 쪽이 이긴다. 즉 근거리 브루져 구도
봇으로 예를 들면 쓰레쉬 대 노틸러스, 시야를 바탕으로 푸쉬할 수 있는 쪽이 일방적으로 딜교당하는 구도가 빈번히 나온다. 즉 전형적인 공격형 탱폿 구도. 다만 봇은 카르마, 세나 이런 친구들의 경우 계속 푸쉬해서 적을 갉아먹지 못하면 한방싸움에서 터지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해당 라인이 귀환 후에 시야 케어가 필요하다.(다만 이런 픽가지고 탱폿에 2:2를 자체적으로 지면 그 라인 개입은 포기하는게 대부분 좋다. 갱호응 구리지, 순간딜 구리지...)
5.아군 시야, 스펠, 라인 상황이 다 좋다면 풀캠프 쭉쭉 돌아라(막 카정들어가도 되고 다이브를 쳐도 되고). 다만 저렇지 않은 경우 지금 메타는 갱킹으로 얻어지는 이득이 너무 크니 저 잠재적 빈틈을 메꾼다를 우선해라. 이미 터지고 나선 수습하기가 너무 힘들다. 이 부분에서 많은 정글러들이 '아 동선 낭비 없이 정글 잘 돌고 남는 시간 갱킹도 잘했는데 팀운 ㅅㅂ'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걸 안다.
6. 미드랑 너랑 66되고 난 후론 미드도 정글러처럼 쓸 수 있어야 된다. 솔랭하다보면 미드가 라인전은 잘하고 있어서 갱각은 안나오고 정글러는 혼자 사이드 갱킹을 다닌다. 근데 역갱을 맞거나 반대편에서 손해를 봐서 게임이 지지부진한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미드랑 같이 한 쪽을 후비거나 시야와 성장 상황에 따라 미드는 반대편 뛰는 플레이하게끔 채팅을 하자
7.너가 가장 동선에 있어 가장 자유로워 설계많이 하는 포지션이다. 말 안듣는 새끼 버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