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LC(Intelligent standby List Cleaner)에 대해서는 FPS 등... 빠른 반응이 필요한 게임을 하시는 분들은 이미 접해보셨거나 사용중이실걸로 생각되는데요,
요즘 참 정의하기 힘들지만 고사양~초고사양 PC가 아닌 경우, 욘석이 지속적으로 유휴 메모리 정리와 반응 속도(주기) 향상을 하니까 게이머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물론 저같이 게임과 여러 툴들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할 분들께도 도움이 됩니다. 로스트아크 서비스의 상태가 메롱일 때와 천차만별인 개개인의 PC 사양이 매우 특수한 경우는 예외로 합니다.
기술적인 내용은 최대한 배제하고 글을 써내려갈건데요, 기술적인 내용에 대해 관심이 있으셔서 그에 대한 질문 또는 그것이 아니라도 왜? 어떻게? 라는 궁금증/호기심이 있으신 분은 별도로 문의주세요. 확인 후 이슈가 될 것으로 판단되면 즉시, 아닐 경우 개인 여가시간이 될 때 답변 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 작성일에 댓글 답변 중 추가 :: 작동원리? 효과? 간단한 기술적 설명 >
간단하게는 윈도우즈 특히 10 이후부터는 더욱, 유휴상태라는걸 OS에서 때론 심하게 관리합니다.
대기상태라고도 표현하구요.
이 유휴상태의 메모리는 전체 메모리 중 할당될 수도 있고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대기 상태로 들어갔을 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불필요하게 관리되는 유휴상태의 메모리를 ISLC가 지속적으로 Polling해서 확인한 후,
The list size at list 1024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1기가 이상 넘어갈 땐 그것을 가용 상태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로인해 결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높아지는 결과가 됩니다.
이것저것 PC를 사용하시다가, 작업관리자/성능모니터링에서 대기/유휴를 확인해보시면 의외로 많은 메모리가 가용상태가 아니라 놀고...아니 윈도우즈에 의해 묶여 있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SLC는 컴퓨터의 찌꺼기 파일 또는 레지스트리를 정리하거나 그런 프로그램은 아니구요,
PC 사용 중에 위와 같은 원리,작동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유휴/대기 상태로 불필요하게 묶인 메모리를 가용 상태로 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Let's g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