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서커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비기 연구 1일차 공략글 백업용

Tengu
댓글: 20 개
조회: 2634
추천: 2
2025-03-06 13:03:09

▶ 비기 버서커 | 리메이크 최종 가이드 


https://www.youtube.com/watch?v=xvjhqzrRHQM



https://youtu.be/2Xr1uXBUUrQ

안녕하세요 루현입니다

25년 5월 7일, 구조개선 밸런스 패치가 있었죠

드디어 비기 버서커가 리메이크 되었습니다

비기 버서커 리메이크를 반영해서
여러가지 빌드를 연구해왔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새롭게 연구된 빌드의 세팅과
딜사이클, 장단점들을 간략하게만 다룰 예정입니다

아직 패치가 된지 하루밖에 지나지 않았고,
자세한 딜 비교는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언제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빠르게 공유하기 위해서 새로운 빌드의 세팅을
소개하는 식으로 간추려서 만들었기 때문에,

추후에 연구가 완전히 마무리 되는대로
더 자세한 딜비교와 분석을 담아서
비기 가이드 글과 영상을 새롭게 제작할 예정입니다

한마디로, 지금은 러프하게 참고만 해주세요 아직 1일차입니다

이번에 비기는 리메이크 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변경점이 엄청 많았습니다

따라서 그 패치 내용들을 하나하나 전부 담으면,
본 공략 글이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변경점만 싹 모아서 정리한 글과 영상을 미리 올려두었습니다



▶ 버서커 리메이크 변경점 알아보기 | 25.05.07

https://www.youtube.com/watch?v=zj3dceOgyME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위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갈수록 서론이 길어지네요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세팅만 달랑 보여주면 이게 좋은 세팅인지,
어떤 흐름으로 빌드가 완성되었는지 전혀 알 수가 없죠

이번에 리메이크된 비기의 변경점들을 몇가지만 짚으면서
해당 빌드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흐름을 같이 따라가볼게요

바쁘시거나 세팅부터 빨리 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부터 보셔도 좋습니다


원래는 폭주시 치적 60%를 얻었는데, 30%로 너프가 되었습니다
너프 이유는 특화 스탯 효과의 변경과 관련이 있는데요





기존에 있던 특화 스탯의 폭주 지속시간 증가 효과가
폭주 효과 증폭 효과로 변경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직 의문이 다 풀리지 않았죠
저 폭주효과 증폭은 대체 무슨 효과이며,
치적 30% 너프는 어떻게 보완할건데!


버서커는 폭주시, 공이속이 20% 증가하고 치적이 30% 증가합니다

폭주효과 증폭은 바로 이 폭주시 얻는 버프효과를 증폭시켜줍니다





따라서, 특화 1800 기준으로는 폭주할 경우
기존 치적 30%에서 50.2%로 증가 된 치적을 얻을 수 있고
공이속은 기존 20%에서 33.5%로 증가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패치 전후 폭주시 치적과 공이속을 정리하면,
기존 폭주시 얻었던 치적은 60%에서 50.2%로 10% 정도 너프가 되었고,
공이속은 20%에서 33.5%로 13% 정도 버프가 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치적 10%가 공이속 13%로 바뀌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미 눈치채신 분들도 있을 것 같네요
치적이 떨어지면 뭉가 효율이 내려가죠
그리고 공이속이 올라가면 음돌 효율이 올라가죠
질증 각인을 십분 활용할 수 있다는 메리트도 생기구요





또한, 도약 노드 패치로 인해
일격-뭉가에서 갈아탈 명분이 더 생겼습니다

폭주 상태는 비기 버서커만 돌입할 수 있죠
분노증폭을 채용한 퓨리 메소드를 사용할 경우,
차지 단계와 속도가 모두 증가합니다

그런데 퓨메는 백어택이 없기 때문에
일격-뭉가와는 궁합이 안좋았죠

여러 변경점들이 비기로 하여금
일격-뭉가를 쓰지 않도록 마치 유도하고 있는 것 같네요





따라서, 리메이크 된 비기의 핵심 세팅은 두가지입니다

다섯번째 각인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한
질량증가,

그리고 치적 너프, 공이속 버프,
퓨메 도약 노드 버프와 맞물려서 부상한
음속돌파


물론, 이번에 치적이 내려간 만큼 다섯번째 각인으로
아드레날린을 채용해서 메꾸는 방법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아드는 버서커와 안어울린다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은 나중에 딜 비교를 통해 다뤄보겠습니다

이번 패치 핵심이 공이속 증가인데 이걸 활용하는건 너무 아쉬운 것 같아요

그리고 제가 수련장에서 대략 계산하고 쳐본 결과,
음속돌파가 기존의 비기 버서커가 쓰던 일격-뭉가 보다 딜적으로 좋거나 비슷했는데
이 부분도 나중에 로스트빌드를 통해 세세하게 데미지 비교를 해서 다루겠습니다

대강 봤을 때는 음돌이 더 좋은 것 같더라구요
더군다나 음돌의 경우, 팔찌옵션과 진화노드에서
자유도가 더 생기기 때문에 세팅 유연성이 훨씬 좋아보였습니다

여기까지가
리메이크 된 비기의 새로운 빌드,
그 발상의 흐름이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각인, 아크패시브, 보석, 트포 등의 세팅들을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각인입니다

원한, 예둔, 돌대, 저받, 질증을 채용하시면 됩니다
이제는 다섯번째 각인으로 질증이
완전 메이저가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아크패시브 입니다
얘는 세세하게 변동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이번에 비기는 마나 고갈 문제가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그래서 도약 1티어 노드인 즉각적인 주문을 빼고,
초월적인힘에 마저 투자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럴리는 없겠지만 만약 마나가 부족하다면,
깨달음 사이드 노드인 분노소모를 빼고
신체각성을 찍어서 마나회복을 노릴 수도 있습니다

마나와 관련된 이와 같은 선택지는
실전 데이터가 쌓이면 좀 더 최적화가 가능할 것 같아요

그래서 이부분은 훗날 최신화해서 다시 다룰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도약 2티어 노드는 비기와 상승효과가 있는
퓨메의 분노증폭을 찍어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진화 노드는 특화30과 음돌은 고정인데
나머지는유저마다 변동사항이 꽤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은 제 캐릭 기준으로 치적 85%를 맞춰놨습니다
적정 치적과 쿨타임은 로스트빌드를 통해
연구가 완료되면 다시 한번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당장은 특화30, 음돌, 치적 85% 정도만 맞추면
나머지는 취향껏 마음대로 찍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최종 스탯인데요

제 캐릭 기준으로는 저렇게 찍으면 치적이 85%가 찍힙니다

그리고 공이속을 만찬을 통해 5%, 서폿을 통해 9%를 챙기고,
질증을 채용할 경우 공속은 137%, 이속은 147%가 됩니다

음속돌파의 풀효율은 공이속 153% 입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공이속을 더 챙겨서 풀효율에
가깝게 맞춰주시면 좋습니다





추가로 챙길 수 있는 공이속 수단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팔찌를 통해 공이속을 추가로 챙길 수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비기 팔찌는 공이속 팔찌로 돌리면
가성비도 좋고 엄청 좋다고 했었죠
지금이 깎을 타이밍입니다

참고로 지금 보여드리는 세팅과 딜사이클은
전부 특화 80 팔찌를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팔찌로 특화를 80 챙길 경우, 최종 특화가 1812가 됩니다
생각보다 더 널널해서 맞추기 수월하실 거에요





각인과 아크패시브 세팅을 전부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보석과 트포, 그리고 룬 세팅을 알아봅시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사전에 알아야 할 정보가 있는데요

가장 중요한 정보입니다
블러디 러쉬가 총 3단계로 진화합니다
스킬을 사용하면 단계가 오르고,
단계에 따라 모션과 데미지가 모두 변합니다

몬스터헌터 대검을 아시는 분이라면,
쉽게 모아베기, 강모아베기, 참모아베기 라고 생각하셔도 좋아요

따라서, 저희는 이 러쉬를 폭주동안 3번 사용하는게 목표인데요

쿨타임이 36초인데 대체 어떻게 3번 사용하냐?

그 해답은 이번에 리메이크된
아크패시브-깨달음 4티어 메인 노드에 있습니다

리메이크 된 비기 버서커의 러쉬는
총 3단계로 사용할 때마다 진화합니다





마지막에 있는 바뀐 폭주강화 효과만 보시면 되는데요

폭주 상태에서 일반 스킬 사용시 러쉬의 쿨타임이 9초씩 감소합니다

보통 일반 스킬을 3번 사용하면 다음 러쉬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3번째 러쉬를 사용하면 폭주가 종료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예전부터 주력기로 잘 사용했던
피니쉬 스트라이크인데요

피니쉬는 쿨타임이 긴데
폭주시 쿨타임 초기화 효과도 갖고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러쉬 진화를 위해 사용할 시
딜사이클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따라서, 지금부터 소개해드릴 3가지 빌드는
피니쉬의 이러한 고충에서 출발했습니다





피니쉬의 채용여부 즉,
피니쉬를 그대로 주력기로서 채용하는지

만약 피니쉬를 뺀다면,
어떤 스킬을 채용할지

그 선택에 따라 빌드가 나뉘게 됐습니다


먼저, 크라임 빌드는 피니쉬를 빼고
크라임해저드를 채용하는 빌드입니다

그리고 어설트 빌드는 피니쉬를 빼고 크해가 아닌
어설트 블레이드를 채용하는 빌드입니다

마지막으로, 피니쉬 빌드는 지금까지 주력기로서 활약해왔던
피니쉬 스트라이크를 여전히 채용하는 빌드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각 빌드별 보석, 트포, 룬 세팅을 알아보겠습니다





크라임 빌드는 5겁6작을 사용합니다
스킬 포인트 분배의 경우 1레벨 정도는
추후에 정확한 딜 비교가 끝나면 변동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크해의 룬은 중독, 정화, 질풍 취향껏 넣으시면 됩니다

등급에 따른 풍요룬 분배는 지금 세팅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추후 연구에 따라 살짝 바뀔 수도 있는데
그래도 딜사이클과 특화컷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닐거라서
일단은 그대로 찍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설트 빌드는 6겁5작을 사용합니다
스킬과 룬에 대한 설명은 앞서 소개한
크라임 빌드와 동일합니다





피니쉬 빌드는 4겁7작을 사용합니다
피니쉬 빌드는 윈블을 폭주사이클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열이 많아졌습니다

스킬과 룬에 대한 설명 또한 앞서 소개한 빌드와 동일합니다
스킬포인트 분배, 등급에 따른 풍요룬 분배 정도만
나중에 바뀔수도 있는데 별로 영향이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https://youtu.be/cDP-xgguuDk

본격적으로 빌드 별로 딜사이클을 알아보겠습니다

여담으로 한가지 눈여겨볼 점이 있습니다

다른 스킬을 사용한 직후 러쉬를 사용할 경우,
러쉬의 발동이 조금 더 빨라지고
반짝이는 흰색 이펙트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가지 빌드의 딜사이클을
하나씩 알아봅시다



https://youtu.be/Q_shjMRqj50

그럼 먼저 크라임 빌드의 딜사이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러쉬, 2단계 러쉬, 3단계 러쉬를 1러, 2러, 3러로 간략하게 표시했습니다

그리고 아까 일반스킬을 3개 정도 사용하면 다음 러쉬를 사용할 수 있다고 했죠

따라서, 스킬 3개를 쓰고 러쉬를 사용한다
이거 하나만 기억하시면 사이클 굴리기 수월하실 거에요

조우 사이클만 더 강한 데미지를 위해, 순서가 살짝 다르고
그 이후에는 동일합니다

특히, 초각성스킬 사이클에서도
특별한 점은 없고, 조우때와 마찬가지로
옵드 헬블과 같이 딜을 몰아서 넣어주시면 됩니다



https://youtu.be/oGXNMayBV3I

다음은 어설트 빌드의 딜사이클을 알아보겠습니다

크라임 빌드와 비교해서 달라진건 딱 하나! 크해 대신 어설트를 쓰는 것 뿐입니다

그래서 딜사이클에서도 크해 자리에 어설트를 넣기만 하면 됩니다

폭주 사이클을 자세히 보시면 원래 크템레였었는데 어템레로 바뀐것 뿐입니다

사실, 어설트는 크해보다 쿨타임이 짧아서 어템레 대신
템어레를 써도 상관없긴한데 딜사이클이 헷갈릴 수도 있으니
그냥 크해 자리에 그대로 어설트를 쓸게요

그리고 초각성스킬 사이클에선
원래 퓨옵헬크 까지 넣고 3러를 썼는데
어설트는 데미지가 완전 낮기 때문에 안넣어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비기 버서커를 연습하는 단계에서는
어설트 빌드가 제일 좋습니다

빌드별 장단점은 피니쉬 빌드까지
다 알아보고 한번에 정리할게요



https://youtu.be/9FVMuqJL-kg

마지막으로 피니쉬 빌드의 딜사이클을 알아보겠습니다

피니쉬는 쿨초도 없고 쿨도 길기 때문에 러쉬를 위해
묶어 쓰는 3개의 스킬 중 윈블을 소모해야 합니다

그리고 중간에 사이클이 살짝씩 바뀌기 때문에
딜사이클 난이도가 제일 높습니다

맨처음에 피니쉬를 어떻게든 채용할려고
딜사이클을 계속 깎았는데요

답이 안보여서 크해랑 어설트로 틀었는데
막상 피니쉬 빌드도 계속 하다보니 꽤 잘 굴러가더라구요

대신 수련장에서 좀 많이 연습해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실전에서는 더 어지러울 것 같아요

이것도 뒤에서 빌드별 장단점 정리할 때 더 자세하게 다룰게요



https://youtu.be/7oQSMneNgLY

그리고 아드로핀 딜몰이 딜사이클은
좀 더 깎아야 해서 이번에는 좀 간략하게 다루겠습니다

일부러 강한 스킬들을 한곳에 몰아서 배치했기 때문에,
아드로핀의 지속시간인 10초안에 딜이 강한 스킬들은 거의 다 넣을 수 있습니다

처음 1-2개 스킬 정도만 아드 전에 쓰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빌드별 장단점을 알아보고 비교하겠습니다

먼저, 크라임 빌드와 피니쉬 빌드부터 비교해볼게요


크라임 빌드는 폭주 동안 크라임을 총 2번 사용해서,
1.6억의 데미지를 낼 때 피니쉬 빌드는 폭주 동안 피니쉬를
총 1번 사용해서, 2억의 데미지를 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둘의 데미지 차이에 비해
딜사이클 운용 난이도는 피니쉬가 훨씬 높은 것 같습니다

데미지와 난이도를 저울에 올려놓고,
본인의 숙련도를 반영해서 보다 원하시는 쪽을 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크라임 빌드와 어설트 빌드를 비교하겠습니다

데미지 차이가 극심하죠
어설트는 크라임 보다 데미지가 확연히 떨어집니다

대신 쿨이 짧고 모션이 간결해서 운용 난이도는 더 쉬워집니다

그리고 아드레날린 각인과 궁합이 무척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연습단계에서는 어설트 빌드가 제격인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빌드 선택에 있어 몇가지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난이도와 고점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피니쉬, 크라임, 어설트 순입니다

비기 버서커를 처음 입문하신 분은 일단은
크라임 빌드로 먼저 찍먹을 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런데 아직 비기가 낯설고 연습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어설트 빌드로 바꿔서 연습을 더 하시고
차츰 숙달이 되면 그때 다시 크라임 빌드로 넘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두 빌드간의 딜사이클이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넘나들기가 무척 편한 것 같아요

그리고 '내가 이제는 완벽히 마스터 했다'
혹은 '나는 항상 고점을 제일 우선시 한다'
라고 하시는 분께는 피니쉬 빌드를 추천합니다

저는 실전성과 운용난이도를 우선시 해서
일단은 크라임 빌드로 익숙해진 뒤에
피니쉬 빌드를 계속 연습해 볼려고 합니다





아까 빌드간의 데미지 비교는 러프하게 계산한거라
추후에 로스트빌드가 업데이트 되면
 더 정확한 자료와 함께 더 디테일하게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빌드간의 데미지 비교 뿐만 아니라
일격-뭉가와도 정확히 비교를 해봐야겠죠

그리고 그때는 각성기 딜사이클과
아드 딜몰이 사이클도 같이 다뤄보겠습니다

직후에는 25년 5월 밸런스 패치가 반영된
광기 공략글로 먼저 찾아뵙겠습니다

광기도 잊으면 섭하겠죠






Lv43 Tengu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로아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