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기타 개선사항들을 다루겠습니다
앞서 올린 공통, 비기, 광기의 개선점 보다는 우선순위가 떨어집니다
주로 버그와 관련된 내용들입니다
거기에 버서커 유저분들의 소소한 희망사항을 약간 첨가했습니다
앞서 올린 개선안 보다는 가볍게 봐주세요
그럼 본격적으로 기타 개선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헬 블레이드 - 피격 판정1>
<헬 블레이드 - 피격 판정2>
제일 먼저 다룰 내용은 스킬 피격 판정의 괴리입니다
버서커의 일부 스킬은 이펙트와 피격 판정이 다릅니다
헬블레이드의 폭발 이펙트가 보스를 적중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피격이 되지 않아서 데미지가 뜨지 않습니다
디트의 사이즈믹은 버서커의 헬블과 모션 및 이펙트가 유사합니다
디트의 사이즈믹은 이펙트와 동일한 피격 판정을 지니고 있습니다
버서커의 헬블은 슬레이어의 볼케이노와 동일한 스킬인데요
그래서 볼케이노 또한 똑같은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버서커와 슬레이어 공통으로 계속 나오던 문제인데요
이번 기회에 같이 수정하면 좋겠습니다
<오버 드라이브 피격 판정1>
<오버 드라이브 피격 판정2>
오버드라이브 또한 직관적이지 못한 피격 판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펙트 사이즈를 보면 전진 하면서 올려치다 보니 시전 위치보다 훨씬 앞에 생성되지만
이펙트 끝자락까진 닿지 않는 사거리를 가졌습니다.
땅이 검게 파인 이펙트와 완전히 겹치는 위치까지만 닿게 됩니다
이는 몹이 백대쉬를 하거나, 살짝 위치를 틀면 피격되는 히트박스가 보이는 것보다 작다고 느껴집니다
직관적이지 못한 옵드의 히트박스는 허수아비로 범위를 측정 해보면 보다 확연히 느낄 수 있습니다
숄더차지는 캐릭터가 보스의 공격범위를 벗어났어도, 후딜이 완전히 끝난게 아니라면
여전히 원래 위치에 있었던 것처럼 판정합니다
오른쪽 발탄의 사례에서 이를 더 극명하게 체감할 수 있는데요
첫번째 공격인 외곽장판은 넘어지는 피격 판정 공격이고,
두번째 공격인 중앙휠윈드는 넘어지지 않는 경직 판정의 공격입니다
숄더차지를 통해 피격 판정 공격인 외곽장판을 벗어났지만,
캐릭터가 여전히 외곽에 있는 걸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넘어지지 않는 경직 판정의 공격인 중앙 휠윈드를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피격되어 날아가고 있습니다
5년동안 있었던 버그입니다
최근 숄차 채용 빌드가 대세가 됨에 따라 숄차의 이러한 문제점이 다시 부각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이제라도 수정해주길 바랍니다
광기는 체력 비례 데미지에 취약합니다
받는 모든 피해가 72% 감소하는 반면, 최대 생명력은 75% 감소합니다
이 차이로 인해 똑같은 체력 비례 데미지를 받아도, 광기는 다른 클래스보다 더 큰 데미지를 받습니다
물론 과거 패치로 인해 다소 완화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풀피 상태에서 즉사할 가능성은 예전에 비하면 확실히 줄어들었습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광기는 체력 비례 데미지를 통한 즉사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혹시 레이드에서 광기의 체력이 많았음에도, 한참 오버랩인 유저임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끔살 당하는 걸 보신 적이 있나요?
높은 확률로 체력 비례 데미지를 주는 패턴을 맞아서입니다
대상의 체력에 비례한 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강화를 통해 아무리 방어력을 높여도 소용없습니다
23년 1월 밸런스 패치를 통해, 광기의 컨셉은 기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에서
끝나지 않는 폭주, 속도감 있는 전투로 방향이 바뀌었습니다
예전에는 하이리스크를 유지하기 위해 체력 비례 데미지 문제를 등한시 해왔지만,
지금은 컨셉이 바뀌었기 때문에 그에 걸맞은 패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트라이커 - 뇌호격>
<버서커 - 오버 드라이브>
오버 드라이브는 버서커의 핵심 스킬입니다
그런데 여러 하자가 있는 스킬이라 기타 개선안에서 중점적으로 다뤄봤습니다
옵드는 한계돌파 트포를 찍으면 차지스킬로 변경됩니다
그런데 선회 속도가 너무나 느려서 보스의 패턴을 대응하기 힘듭니다
같은 차지스킬인 스트라이커의 뇌호격과 비교하면 확연히 알 수 있습니다
<브레이커 - 파천섬광>
<브레이커 - 낙화>
브레이커의 차지스킬인 파천섬광과 낙화 또한,
우수한 선회속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차지 스킬의 선회 속도를 상향해준 사례는 너무나 많습니다
옵드의 사용감 향상을 위해 선회 속도를 올려주면 좋겠습니다
<오버 드라이브 - 긴 선후딜 및 체공시간>
옵드는 선후딜 및 체공시간이 너무 깁니다
그래서 비기의 깨달음 노드인 강인한 육체의 2.5초 피면 효과 조차 온전히 누릴 수가 없습니다
또한, 체공 중엔 이동기 캔슬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스트가드를 발동할 수도 없습니다
공통 개선안에서 버서커의 느린 스킬 모션에 대한 개선점을 집중적으로 다뤘지만,
그중에서도 옵드는 특히 시급합니다
<오버 드라이브 - 한계돌파 찍기 전>
<오버 드라이브 - 한계돌파 찍기 >
옵드는 원래 데미지가 단타로 표시되는 스킬입니다
그런데 한계돌파를 찍으면 갑자기 데미지가 2타로 표시됩니다
관련된 문구가 한계돌파 툴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물론, 최근 패치로 인해 모든 스킬의 데미지를 단타로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사실 이 부분은 넘겨도 괜찮습니다
2년동안 방치되어 있었던 사항이기도 하고, 툴팁이라도 변경해주는 세심한 패치가
버서커에게 있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넣어봤습니다
평소 버서커 유저분들은 조금이라도 고점을 올리기 위해
최대한 백어택 적중률을 높이려고 노력합니다
과거 디렉터님이 밸패에 대한 말씀을 해주셨는데요
추후 구조개선을 진행할 때, 해당 클래스 유저들의 플레이 패턴을
분석해서 그에 맞는 개선을 진행할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백어택 포지션을 유지하는 버서커의 플레이 패턴에 걸맞게
백어택을 추가하면 좋겠습니다
시즌3 들어오면서 사멸이 삭제됐으며,
기습 각인과 일격노드를 통해 저점을 많이 올려주었습니다
백어택을 보너스 효과로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된 패치가 여러번 있었습니다
사멸에 대한 경계가 모호해졌습니다
백어택 추가를 통해 버서커에게도 선택지를 늘려주면 좋겠습니다
현재 비기 버서커는 다섯번째 각인이 애매한데요
백어택 추가로 인해 선택지로서 기습 각인이 추가되면 좋겠습니다
공통 개선안에서는 옵드의 백어택 추가만을 언급했지만,
기타 개선안인 만큼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슬쩍 희망사항을 넣어봅니다
기왕 하는 김에 퓨리 메소드와 브레이브 슬래쉬 등
다른 스킬들에도 백어택을 같이 추가해주면 좋겠습니다
숄더 차지는 버서커의 이동기입니다
연속 돌진 트포를 찍으면 2회까지 연속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대신, 5레벨 기준 쿨타임이 5.5초 증가합니다
와일드 러시는 슬레이어의 이동기입니다
숄더 차지와 모션이 같으며,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돌진 준비를 찍으면 2회까지 충전되는 스택형 스킬로 바뀝니다
비교적 신스킬인 만큼 숄더차지와 다르게 쿨타임에 대한 패널티가 없습니다
숄더 차지는 OBT 출시 때부터 있었던 스킬인데, 5년동안 어떠한 변화도 없었습니다
그로 인해 낡고 노후화 된 트포 효과가 지금까지 이어져 온거라고 생각합니다
트라이포드 레벨을 5레벨 찍었음에도 불구하고
쿨타임이 감소 되기는 커녕 여전히 증가하고 있는 모습은 무척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기회에 개선이 되면 좋겠습니다
버서커와 슬레이어, 대검 클래스를 키우시는 유저분이라면,
회오리 감자가 아닌 얄상한 재련 이펙트가 얼마나 소중한지 아실 겁니다
월광대검은 24년 4월 출시 당시, 새해의 애정 대검처럼 얄상한 이펙트였습니다
그런데 재련 이펙트의 위치가 틀어지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2개월 후, 재련 이펙트의 위치 버그가 수정되었습니다
그런데 기존의 얄상한 이펙트가 갑자기 회오리 감자 이펙트로 변경되었습니다
많은 버서커 유저분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분개하신 분들도 굉장히 많았습니다
얄상한 이펙트만 보고 월광 대검 아바타를 사신 분들도 무척 많았으니까요
대검 클래스 유저분들의 얄상한 이펙트에 대한 사랑은 과거 사례를 통해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슬레이어 5주년 무기의 재련 이펙트는 23년 11월 7일 출시 당시에는 회오리 감자 이펙트였습니다
슬레이어 공모전 아바타의 제작자 뿐만 아니라, 많은 슬레이어 유저 분들이
버서커의 새해의 애정 대검과 같은 얄상한 이펙트를 원했습니다
실제로 새해의 애정 대검은 출시부터 지금까지 얄상한 이펙트로 인해
버서커 무기 아바타 중 인기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일주일만에 이러한 요청이 받아들여져서 23년 11월 15일
슬레이어 5주년 무기의 이펙트가 얄상한 이펙트로 변경되었습니다
월광 대검 이펙트 문제는 무려 2년 남짓한 시간동안 방치되고 있습니다
조금 강하게 표현한다면, 이는 소비자 기만입니다
환불이 불가능한 물품을 팔았는데, 소비자에게 어떠한 설명도 없이 갑자기 내용물을 바꿨습니다
또한 그에 대한 경위를 2년동안 언급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은 일이 과연 이번 한번만 일어날까요?
슬레이어도 언제든지 비슷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구수가 꼴등인 만큼 버서커의 목소리는 무척 작습니다
그래도 한번쯤은 부디 귀를 기울여주세요
<버서커 - 2차 각성기 버서크퓨리>
버서크 퓨리, 버서커의 2차 각성기인데요
많은 버서커 유저분들이 버서커를 키우는 이유
로망 그자체인 스킬입니다
그만큼 버서크 퓨리의 초각성기 연출에 대한 기대 또한 무척이나 컸습니다
<버서커 - 2차 각성기 버서크퓨리>
<버서커 - 초각성기 레이지 블레이드>
기대가 너무 컸던게 문제였을까요
스트라이커의 미네랄킥 정도는 아니지만, 아쉽다는 평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사실, 옆동네 버서커처럼 피를 사용하지도 않는데 러쉬도 그렇고 혈흔 연출은 왜 계속 있는지 모르겠어요
다른 클래스들이 느끼는 각성기의 역할과 이미지와 다르게,
버서커에게 있어서 버서크 퓨리는 각성기 그 이상,
정말 특별한 의미를 갖는 스킬입니다
이는 투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카멘의 멋드러진 대검 연출1>
<카멘의 멋드러진 대검 연출2>
<카멘의 멋드러진 대검 연출3>
<카멘의 멋드러진 대검 연출4>
몇가지 연출 개선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로스트아크 개발자분들은 대검을 멋지게 표현하는데 일가견이 있습니다
카멘을 통해 멋드러진 대검 연출을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버서커의 초각성기 연출에서도 그 실력을 발휘하면 좋겠습니다
25년 1월 패치에서 몇몇 클래스의 초각성기 연출 및 이펙트가 개선되었습니다
우선순위가 다소 떨어지는 기타 개선안인 만큼 자그마한 희망을 품고 요청해봅니다
<초각성기 - 1차>
<초각성기 - 2차>
사실 1차 각성기인 체인 오브 벤전스의 초각성기 연출도 불호가 압도적입니다
원판인 체인 오브 벤전스의 연출이 애초에 별로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몇몇 클래스는 원판인 각성기와 다르게 아예 색다르고 멋있는 연출의 초각성기가 적용되었더라구요
이렇게 말은 했지만 사실, 1차 각성기는 그대로 어떠한 변화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이미 많은 버서커 유저분들이 포기했어요
부디 버서크 퓨리의 초각성기 연출만이라도, 카멘처럼 멋드러진 대검 연출로 개선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