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갑습니다.
4편입니다.
북미 미터기로 역천지체는 어떤 방향이 좋을까를 좀 고심히 봤습니다.
일단 화요일에 글 못올린점.. 아시겠지만, 라방 본다고 못올렸습니다. 머쓱....
일단 역천... 사실 역천은 세맥만큼 아덴을 유동적으로 굴리는 거 보단
정직하게 싸이클을 굴릴 수록 잘나오는 각인입니다.
원기옥 잘맞추고, 아덴 싸이클 잘 돌리면 되는 각인이라
솔직히 어떤부분을 언급을 해야 나름 분석이라는 걸 할 수 있을 까 보니...
1. 1금1군림보 빌드 단심? 채용해야하는가?
일단 올해 초에 핫했던 단심을 이용한 1금 1군림보..
북미기준 1690~ 단심채용률이 약 20퍼 정도 됩니다.
위에 올린 스샷은 1690~ 이상 역천이 채용한 부분을 올린겁니다
Rage : 광분
con~ : 단죄
jud~ : 심판
신속은 어느정도 투자를 다들 하는 편이지만
이것도 좀 폭이 넓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팔찌 신속 유무에 따라 보통 2~5로 폭넓게 되어 있습니다.
북미 기준 고정 룬
내방 : 질풍 - 영웅
난화격 : 질풍 - 전설
섬열파 : 질풍 - 전설 / 기공장 : 출혈 - 섬열파 채용률이 75퍼 정도 됩니다. 북미는 섬열파가 주력입니다.
풍뢰 : 질풍 - 영웅
벽력장 : 출혈
순보 - 속행
여래, 환영격 룬 채용에 따른 장단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단심빌드
여래 - 단죄or심판 / 환영격 단죄or심판 <<< 본인 싸이클에 따라 순서 정하면 됩니다.
장점. 속행이랑 같이 써서 1금 1군림보 안정성이 매우 많이 오른다.
단점. 중독을 포기한 빌드. 딜지분 2퍼 가량을 순수 1금1군림보 안정성에 투자한 빌드.
다른 스킬 질풍을 빼고 중독을 넣을 만큼 2퍼가 높지 않다고 판단됨.
질풍이 그정도인가? 싶을 정도
노단심빌드
여래 - 광분or질풍or출혈 / 환영격 - 중독
장점. 중독 도트딜로 추가 딜지분 확보.
단점. 속행의존도가 매우매우 높다.
뭐 대충 이런데....
솔직히 한섭은 둘 다 챙기는 셋팅이 많다.
그렇다 보니 질풍룬 빈자리로 인한 스킬 밀림을 방지와
속행룬 추가를 통한 1금 1군림보 안정성 확보를
기공장을 채용하는사람도 더러 있다.
근데 일단 북미 지표기준 기공장을 채용하면 기공장이 그리 높은 지분을 갖는가?
그건 또 아니다.
북미 룬 채용률과 기공장 채용률이 그걸 말하는 거 같다.
2. 그럼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
일단 짤패 변수가 많는 보스몬스터의 경우는
북미 셋팅을 참고한 1속행 노단심 1금 1군림보가 좋아보인다.
ex)2막 아브, 나로크 같이 지딜 성향이 강하면사 강제 딜컷구간이 있는 곳
아무래도 짤패에 따라 산책구간이 강제되는 구간이라
굳이 쿨감에 룬이나 스킬할 이유가 없다 판단된다.
짤파변수보다 딜기믹딜기믹 같이 군림보 쿨이 놀 수 밖에 없는 곳은
당연히 노단심 빌드
현재 모르둠 처럼 허수에 가까이 쳐야 지표가 높을 예정인 곳은
한섭의 다속행 1금 1군림보 나 단심 1금 1군림보 셋팅이 좋아보인다.
결론은 곧 광휘 보석 패치 들어오면
상황에 맞게 기공장과 섬열파를 스왑하고,
룬도 보스몬스터에 맞게 스왑하는게 제일 베스트로 보인다.
3. 보석이 높은 사람들
보석이 높은 사람들은 신속은 최대한 낮추고
기공장을 채용하고 2속행 단심 빌드를 적극 추천한다.
룬은
기공장 - 속행
벽력 - 출혈
여래 - 단심
환영격 - 단심
풍뢰 - 중독or질풍 << 스킬 밀리는게 싫으면 질풍, 중독 딜지분 챙길거면 중독
북미 빌드는 어디까지나 2막이 초점이라
단심 의존도가 낮은편이라 그런지 단심채용이 그리 높지 않다.
군림보 쿨을 맞추는데만 신경쓰면 역천지체는 작열효율이 0일 수 밖에 없다.
극특세맥은 구조상 어쩔 수 없는 효율 0이지만,
역천지체는 군림보 하나때문에 효율을 강제로 0으로 맞추는 행위라
이걸 극복할려면 룬을 통한 강제 쿨감말곤 답이 없어보인다.
역천지체는 어떻게 해야 딜을 잘 넣을까?
간단하다. 정직하게 게임하면 된다. 세맥타통은 보스패턴에 맞게 플레이어가 아덴을 맞춰야하는 구조이지만,
역천지체는 딜각이 나왔다 > 아덴을 킨다 > 딜을 한다.
끝이다.
다른 자버프형 아덴캐릭터와 다르게 아덴을 채우는 행위 조차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천지체편인데 지표는 안올리고 애먼 스킬 채용률만 올린 이유가 그것이다.
1. 원기옥을 최대한 굴리고, 명중률을 늘리자.
북미로그사이트 기준Q3, Bset 지표들은 대게 원기옥 타격률이 굉장히 높다.
원기옥의 경우 러닝타임에 따라 대게 9~12퍼 정도 차지하는데
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2가지이다.
러닝타임이 짧아서 초각성기 딜지분이 많이 잡아먹을 경우
원기옥을 못 맞출 경우
원기옥 한번 못 맞출때마다 그냥 전체 딜지분에 3퍼씩 날려먹는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물론 러닝타임이 길면 길수록 못맞췄을때 수치 감소는 줄어든다.
2. 피면기를 잘 활용하자. 스페를 신중히 쓰자.
정직해야한다. 다른말로는 싸이클을 놓치면 안된다는 말이다.
극신세맥은 애초에 압도적인 쿨감으로 스킬을 놓쳤을때 리크스가 적고, 현타가 아닐 시 아덴으로 복구도 가능하다.
극특세맥은 높은 싸이클 복구력 덕에 스킬을 놓쳐도 아덴을 이용해 쉽게 복구가 가능하다.
하지만 역천지체는 피격혹은 경직에 매우 취약한 딜구조를 가졌다.
내방 쓰자마자 넘어지면 모든 싸이클이 무너진다.<<극신세맥은 아덴을 날리는거라 결이 좀 다름.
역천지체는 싸이클이 무너지면 다음 1금 1군림보를 사용하기 위한 변수가 우후죽순 늘어나기 때문에
3. 순순순 여벽(기)을 최대한 우겨넣자. but 욕심부리진 말자.
뭐 당연한 말이다. 정직.. 이거말곤 할말이 없다.
일단 속행을 터뜨릴 목적이라도 금강 순순순 현타 순순순은 빠지지 말고 넣는게 좋다.
아덴이 능동적인 조작이 필요한게 아니라 싸이클 비는 구간에 순순순여벽기 같이 쿨이 빨리 도는애들
빨리빨리 털어주는게 좋다.
물론 무리하게 넣다가 넘어질빠엔 순순순만 써서 속행만 터뜨리는 용도로 쓰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다.
4. 운이 좋아야 한다.
역천지체... 이 각인은 군림보 쿨때문에 룬 의존도가 너무 절실하다.
속행, 단심 의존도가 너무 높다.
극특세맥은 싸이클을 일부로 단축하거나 늘리거나 하면 되는데
역천은 속행, 단심 운 뒤지게 없어서 안터지면
그만큼 산책을 가지던가 군림보를 밀려서 쓰고 다시 맞추던가 해야한다.
운빨좢망겜
개선 방향성
이번에 역천지체 지표를 보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군림보에 매몰된 셋팅이 문제라고 생각이 든다.
일단 현타 때 기믹수행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건
지표상 확인이 불가능 하니 논외로 하고
생각보다 아래 무력 지표 만 봐도 2막 2관 기준 무력이 약한것도 아니다.
물론 누적무력을 확인 가능한 게 아니라 3막 출시하기전까진 모른다.
암튼 그로 인한 작열 효율을 강제로 낮추는 신속포인트가 걸림돌이다.
역시 천공참을..... 어느정도 쓸 수 있게 개선해주는 게 가장 베스트 이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도약 노드에
쿨타임이 증가하고 데미지가 대폭 증가하는 노드 하나 추천해주면
모두가 해피해피한 천공참을 쓰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
이걸 띠바 ! 왜 안 해주는지 모르겠다!
채용률 0퍼 초각성스킬이 어디 있냐고!
개선 좀 해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