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입력만 하면 글 정리를 잘해줘서 좋네요
달 별 코어 나머지는 별로인 것 같아 제외했습니다
오버로드 특신빌드 추가해서 비교했고
공속때문에 아크패시브에서 쿨감누르는 것 보다
신속을 올리는게 좋았습니다
똑같이 읽기 귀찮으신 분들은 3줄만 보시면 됩니다
1. 분석의 개요 및 목적
이 문서는 데빌헌터의 아크그리드 '블러드하운드'와 '샷건 오버로드'에 모든 코어를 적용했을 때의 효율을 비교하고, 나아가 '샷건 오버로드'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세팅을 가정한 '오버로드(특신)' 빌드의 잠재력까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분석은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이며, 실제 게임 환경과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선택에 참고하는 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 아크그리드 코어별 데미지 증가량 요약
모든 코어는 20포인트 최대 투자를 가정하며, 각 효과는 곱연산으로 적용됩니다.
🌙 달 코어 (산탄강화): 모든 샷건 스킬 피해량 +6.91%
⭐ 별 코어 (탄환 폭발): 주력기(만찬, 샷연, 심날) 개별 강화, 사이클 총 데미지 기준 약 +6.45%
🌞 해 코어 (선택)
'해' 코어는 빌드의 방향성을 결정하며, 선택에 따라 효과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아래는 '해' 코어 자체만의 순수 데미지 관련 효과입니다.
블러드하운드 선택 시:
주요 효과: 적에게 주는 피해 +5.0%, 모든 샷건 스킬 피해 +2.3%, 주력기 3종 피해 +7.0%
사이클 데미지 기여도: 위 효과들을 종합했을 때, '해' 코어 단독으로 사이클 총 데미지를 약 +11.18% 증가시킵니다.
샷건 오버로드 선택 시:
주요 효과: 일반 샷건 피해 -10.0%, 모든 샷건 스킬 피해 +1.7%, '샷건의 지배자' 피해 +17.1%
사이클 데미지 기여도: 위 효과들을 종합했을 때, '해' 코어 단독으로는 사이클 총 데미지가 약 -3.83% 감소합니다. (이 감소분을 쿨타임 감소로 인한 DPS 상승으로 메꾸는 구조입니다.)
3. 4종 빌드별 최종 데이터 및 분석
3-1. 기본 상태
모든 비교의 기준점이 되는 순수한 상태입니다.
사용된 빌드 세팅: 아래 두 가지 빌드는 효율이 거의 동일하여 기준으로 삼음.
1) 원한, 저주받은 인형, 마나 효율 증가, 기습의 대가, 아드레날린 각인 / 뭉툭한 가시 효과
2) 원한, 저주받은 인형, 마나 효율 증가, 기습의 대가, 예리한 둔기 각인 / 마나 용광로 효과
주요 특성: 특화 30, 치명 10
단일 사이클 데미지: 117.2억
사이클 시간: 53.82초
DPS: 2.178
3-2. 블러드하운드 풀코어 빌드
'해' 코어로 블러드하운드를 채용하고, '달', '별' 코어를 모두 적용한 안정적인 빌드입니다.
단일 사이클 데미지: 148.59억
이론상 DPS: 2.763
실전 DPS: 2.763
3-3. 샷건 오버로드 풀코어 빌드
'해' 코어로 샷건 오버로드를 채용하고, '달', '별' 코어를 모두 적용한 고점 지향형 빌드입니다.
단일 사이클 데미지: 128.32억
이론상 DPS: 2.893
실전 DPS: 2.716
3-4. 샷건 오버로드(특신) 풀코어 빌드
샷건 오버로드 빌드에 추가적인 쿨감과 데미지 감소 가정을 더한 세팅입니다. 이 빌드의 이론상 사이클 시간은 36.94초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수련장에서 실제로 37초 내외로 측정되는 것을 검증했습니다.
사용된 빌드 세팅: 원한, 저주받은 인형, 예리한 둔기, 기습의 대가, 아드레날린 각인 / 마나 용광로 효과
주요 특성: 특화 30, 신속 10
단일 사이클 데미지: 118.62억
이론상 DPS: 3.084
실전 DPS: 2.765
4. 최종 종합 비교 및 결론
4-1. 종합 비교
단일 사이클 데미지 비교
기본 상태: 117.2억 (기준)
블러드하운드: 148.59억 (기본 대비 +26.78%)
샷건 오버로드: 128.32억 (기본 대비 +9.49%)
오버로드(특신): 118.62억 (기본 대비 +1.21%)
이론상 DPS 비교
기본 상태: 2.178 (기준)
오버로드(특신): 3.084 (기본 대비 +41.60%)
샷건 오버로드: 2.893 (기본 대비 +32.83%)
블러드하운드: 2.763 (기본 대비 +26.86%)
실전 DPS 비교 (쿨타임 효율 70%)
기본 상태: 2.178 (기준)
오버로드(특신): 2.765 (기본 대비 +26.95%)
블러드하운드: 2.763 (기본 대비 +26.86%)
샷건 오버로드: 2.716 (기본 대비 +24.70%)
4-2. 최종 분석
가장 주목할 점은, 실전 변수를 대변하는 '쿨타임 효율 70%'를 적용했을 때, '블러드하운드'와 '오버로드(특신)'의 최종 DPS가 거의 동일한 수준(2.763 vs 2.765)에 도달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두 빌드의 평균적인 실전 성능 기댓값이 사실상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선택의 기준은 **'어떤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가'**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론상 최고점(고점)을 추구하는 경우: 자신의 컨트롤에 자신이 있어 평균 70% 이상의 효율을 뽑아내거나, 0.1%라도 더 높은 잠재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플레이어에게는 '블러드하운드' 대비 이론상 DPS가 11.6% 더 높은 '오버로드(특신)'이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안정성과 순간 폭딜을 추구하는 경우: 안정적인 실전 DPS를 기본으로 확보하면서, 짧은 딜 타임에 압도적인 화력을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한다면 '오버로드(특신)'보다 단일 사이클 데미지가 25.3%나 더 높은 '블러드하운드'가 훨씬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4-3. 추천 빌드
두 빌드는 각기 다른 장점을 가진 최종 세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버로드(특신)'은 높은 난이도와 리스크를 감수하고 이론상 최고점을 노리는 빌드이며, '블러드하운드'는 안정적인 실전 성능과 강력한 순간 화력을 모두 챙기는 균형 잡힌 빌드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3줄 요약
풀코어 적용 시, 블러드하운드는 26.78% 샷건 오버로드는 32.83%의 효율을 보임
실전 DPS(쿨타임 효율 70%)는 '블러드하운드'와 '오버로드(특신)'가 거의 동일함.
따라서 선택은 취향에 따라 안정성과 순간 폭딜(+25.3%)의 '블러드하운드' vs DPS 최고점(+11.6%)의 '오버로드(특신)‘구도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