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속 저 쿨감 세팅>
신속400 / 3한돌 2무마 /메인3렙 / 8작(엣지9작)기준
운부: 4.7초
스크: 5.9초
엣지: 5.2초
스트림: 14.2초
대충 이런 느낌으로 보면 되는데
1. 스크래치는 스트림 전 단독 초벌 (먼저 쓰고 현타 만듬)
2. 운부-루인-엣지엣지-루인까지 진행
3. 스크래치 초벌
이후
3+2에서 루인기를 (A+B+C) + a+b 라고 칭하면
이후 2번쨰 운부타이밍에 쓰는 루인기 즉 스트림내 3번쨰 루인기 C는
1. 스트림 버프를 받은 채로 운부를 발라서 나가야 한다.
2. 운부는 엣지2초->1초될때 눌러야 스트림 밖에 첫번째 루인 a에게 치피증이 묻는다
3. 즉 운부를 엣지 기다리다가 늦게 쓰면 C의 스트림 버프가 빠진다.
이러한 딜레마가 있습니다.
영상은 엣지 5.2초로 진행되었는데
여기서 쿨타임이 더 늘어나면
엣지쿨이 늘어나서 스트림버프 지속시간이 C입장에서 타이트합니다.
스크는 단독시행이라 작열의 우선순위는 낮은데
엣지 가동률=스택기의 가동률이라 보시면 되서
여기서 신속이 높아질수록 도태/스트림 버프의 안정성이 확보됩니다.
1싸이클의 기댓값을 넘기 위해서 쿨을 진짜 쉼없이 굴려야한다,
스트림내 루인가동률을 허수처럼 유지해야한다
=> 실전에서 똑같이 실수하면 한3 주는게 좋다
라는 거라
결국 한돌3으로 수렴하고
신속은 350~400까지 먹는게 좋습니다.
요약
1. 한돌 뭉트림에서 한돌3은 정말 가치가 높다. 끝1이랑 최1을 주는게 편할지언정 실전성이 내려간다
2. 신속은 사이클의 안정성, 자버프의 시간 여유를 늘려주어 실전에서 버프가 빠지는 참사를 막아준다.
3. 고로 한돌3기준 신속350~400정도 먹는게 좋다
정확하게 말하면 [(루인-스크-운부-루인)시전시간+1.x초] 만큼의 쿨감이 최소로 확보되어야 한다.
대략적으로 '6초' 보다 높은 엣지 쿨이면 실전에서 쓰기 상당히 빡빡할 수 있음.
4. 엣지의 고렙 작열을 추천한다.
5. 저 쿨감의 치는 맛이 불호라면 성능을 포기하고 한돌을 끝마나 최적 고려 가능
이 경우 진피30확보에서 내려가는만큼(2끝1최면 진피가 5가 되겠죠)
더 쿨관리+스트림내 루인가동률이 높아야 한다.
6. 범부세팅의 경우 치적도 작열도 낮아 한3 주기 어려울 수 있으니 2끝 정도 챙기고
(범부니까 성능낮은건 어쩔 수 없음)
3+3사이클보다 3+2로 굴려라 (=엣-스트림-엣-루인을 활용해라) 이게 쿨 요구치가 3+1 반복보다 낮음
한돌은 치는맛 덜합니다 확실히
쿨누수 디톡스와 성능에 온전히 초점이 맞춰져있으니
재미없으면 딴거 하시는게 맞아요.
영수증은 좀 재밋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