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피셜 다수.(정확한건 나와봐야 압니다.)
자세한 기본/사전지식은 위 포피셜 영상 참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사전지식>
- 질서: 직업 내 특수옵션 / 혼돈: 공용옵션
- 코어: 영웅 전설 = 최대 14P / 유물 고대 = 최대 20P
- 17P에서 특수효과 존재
- 코어당 총 6가지 존재 (황후: 3종류 / 황제 3종류 예상)
- 코어포인트는 젬포인트로 올림.(1코어당 4개의 젬)
- 17P를 위해서는 질서 5,4,4,4의 젬이 필요
- 4개의 젬 의지력 효율을 5 4 4 4 를 띄워야함
- 코어에는 의지력이라는게 존재 = 유물기준 15
=> 의지력을 소모해서 젬을 박는방식 (젬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의지력이 존재(전설9 유물 8 고대 7)
=> 젬 가공을 통해서 의지력 효율을 띄우고 필요의지력을 낮춰야함
=> 전설젬 기준 의지력효율 5를 띄우면 9-5 = 4의 필요 의지력(유물=3)
=> 젬가공으로 유물기준. 의지력효율 5,4,4,4를 띄워야 유물코어에 4개의 유물젬을 박을 수 있음
=> 젬가공으로 중요한건 의지력효율, 혼돈포인트
-------------------------------------------------------------------------------------------------------------------------
<2. 기본정보>
1) 왜? 나왔는가?
1-1 기존 클리어 보상(엘릭서, 초월, 상재, 계승)은 졸업기간이 존재
=> 졸업이후에 클리어골드만 남고 다 버리는 재료가 됨.
1-2 개발자입장에서 밸런스 예측을 할때 A를 쓰라고 만들었으나,
유저들이 새로운 조합을 찾아내고 새로운 세팅을 만들어냄(오버 밸런스)
=> 아크그리드를 만들고 출시 -> 이거 쓸땐 그냥 정해진 코어세트로 해라
-> 밸런스 예측이 쉽다. (이거쓰고 스킬 고정해라. 연구하지말고)
2) 기본정보
- 스킬강화를 통일할수록 효율이 좋을 가능성이 있음
- [운명]을 어떤스킬로 키냐의 따라 딜지분과 성능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있음
해: A로 [운명]발동시 다음 쓰는 B강화
달: A강화 / A사용시 [운명] 발동
별: A, B 강화
예시1)
해코어: [운명] 발동시 레인 강화
달코어: 운부사용시 [운명]발동
별코어: 레인,시가 강화
예시2)
해코어: [운명] 발동시 시가 강화
달코어: 레인 사용시 [운명]발동
별코어: 레인,시가 강화
-> 다음 사이클 이후 레인강화 (별코어 버프가 남아있다는 가정하에)
-------------------------------------------------------------------------------------------------------------------------
<3. 개인적인 생각>
코어 강화 효과는 무엇을 줄지 알 수 없지만,
기공사, 기상술사 예시로 확인해봤을떄
'[운명] 발동스킬 -> [운명] 으로 강화된 스킬' 메커니즘을 고수할 것으로 생각됨.
1. 자기 직각에 맞는 스킬 조합이 완성되어야 성능이 발휘될 것
-> 예) 닼리로 [운명] 발동 -> 레인 강화 같은 코어를 장착하면 '황후는 사용할 수 없음'
-> 이 경우 닼리를 채용하는 빌드가 연구될 가능성도 존재하긴하다.
2. 유동적인 사이클에 제약이 생길것으로 예상.
-> 스킬서순의 중요성이 더 커질것으로 보임.
-> 상황에 맞는 유동적인 사이클 변화보다 코어의 효과를 최대로 활용하는 딜사이클이 주를 이룰것으로 예상.
3. 딜지분의 변화
-> '데빌(초각스)' 강화에 대한 정보는 없다는 가정하에,
데빌 지분이 내려가고 일반스킬 비중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
아무래도, 빌드나 세팅 쪽에서 엄청 다양한 변화가 있을것으로 예상되고
A세팅이 이론상 고점이라 한들 내가 먹은 코어가 구비되어있지않다면 그저 이론일뿐.
파밍 기간이 '장기간'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개개인마다 스킬채용, 세팅변화가 주를 이룰거 같습니다.
총 216가지 되는 조합의 성능비교를 할 자신이 없기에 (질서만 36개인데 너무 많아요ㄷㄷ)
아크그리드는 연구해도 공유하기는 어려울것으로 보입니다. (연구실 문닫아야될지도)
어디까지나 뇌피셜, 추측이며
자세한건 나와봐야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