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극신 갈증 관련 얘기가 급증해서 통합 답변하는 그런 글
이상하다 분명 예전에 다 했던 정리 끝난 얘기인데
갈증 A to Z 인증글 보면 알겠지만 신속의 밸류가 타 직업의 두 배 이상의 효율을 보여주는 것이 갈증 리퍼임
그렇기에 이론 상 반박 불가 극신이 맞지만 이론은 이론일 뿐 실전과 거리가 먼 세팅임.
시즌2는 처형의 개편 전 으로 극신속이 사파 트리였다면 지금은 스매셔 모션 개선 + 레이지 처형의 추가로
분명 극신속이 메리트가 있는 것도 맞음,
다만 극신속은 고점과 거리가 먼 세팅임
??? : 북미 갈증 1위는 극신속이던데?
=> 고점 세팅으로 본다면 틀렸음
현재 1위 스펙을 천천히 분석해보면
눈 여겨 봐야 할 부분은 신속 80 팔찌와 쿨증 2% 옵션임
신속 1760 + 8작열 + 쿨증 팔찌 이 상태에서 신속 1760의 쿨감 계수는 37.79%
레이지의 총 쿨감 계수를 구해보면
최적화 0.92 * 신속 0.6221 * 8작 0.8 * 쿨증팔찌 1.02 = 0.467022912
레이지 쿨타임 16 * 0.467022912 = 7.47 (초)
저 쿨증 팔찌를 띡 떼서 가져오면 0.6221 * 1.02 = 0.634542
이 수치가 나오고 쿨감 수치는 36.54% 로 나옴
이 수치는 신속 1702 이며 극신속이 아니라는 의미임
문제는 갈증의 절대적인 스킬 쿨타임 계수가 10작열 + 신속 1800이면 단 1프레임의 로스도 없이
레이지 닷 닷 을 누르면 레이지가 저스트 딱코로 돌아옴
이 이유 때문에 극신속이 고점 세팅인 10작에서 아예 불가능 하다는 의미
또한 갈증은 레이지 + 쉐닷이 반복적으로 나갔을 때
레이지 -> 닷 연계가 로스가 없는 프레임의 쿨타임을 가져야 함 (항상 강조하는 내용)
이게 이해하기가 어려우면 트리시온 가서 레이지 닷 닷 레이지 닷 닷 레이지 닷 닷 누르다보면
레이지와 쉐닷이 극신속에서는 점점 틀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것임
더 자세한 수식도 있기는 하나 이번 글에서는 PASS
10작열 기준 레이지 닷 닷 에서 프레임 손실이 최소한으로 나오는 구간이 바로 신속 1500 구간
그렇기 때문에 신속 1500을 권장하는 것 이고
마법같이 신속 1600 넘어가면 10작열 기준 레 닷 닷 쿨타임이 비틀어지기 시작 함
반대로 8작열 기준 신속 1700 까지는 레 닷 닷 쿨타임이 딱 맞지만
신속 1800 기준에서 레 닷 닷이 쿨타임이 비틀어지게 됨
결론 저 북미 갈증분도 쿨증팔찌 + 8작 + 신속 1700 으로 레 닷 닷 쿨타임 로스가 없는 세팅을 했으며
결국 이 세팅이 정석 세팅임이 미터기로 증명 되었으며
뭉가 >> 음돌은 시즌3 시작 이후로 뭉가 고정이다,
음돌은 고점이 아니다, 라고 하는 것도 미터기로 과거부터 이미 내려온 정석 세팅임
음돌 개편 전 이라 북미에서 음돌 안 쓰는거 아님? 할 수 있지만
언제나 계산은 음돌 가동률 100%를 기준으로 고점 비교를 했기 때문에 따지는 것이 의미가 없음
결국 뭉가가 정석 + 고점 세팅이 맞음
마지막 엘릭서는
아드 유각이 없으면 달인 껴도 ㅇㅋ (이미 다 A to Z ~ 가이드에 포함된 내용)
하지만 아드 전각 단계에서도 회심이 유의미하게 좋고 치적 시너지를 감안한다면
공팟에서의 범용성은 회심이 좋다고 판단
또한 고점 세팅인 아드 유각과 반지 치명 연마 기준에서는 더욱이 회심이 고점이 됨
[ 결론 ]
가이드와 A to Z에서 제작한 내용이
결국 고점이 맞았으며
따로 개편이 없는 이상 쭉 이어질 예정.
본문 글 얘기도 분명 수없이 많이 했을 것임, 몇 번째 인지도 기억이 안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