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 뿌리기, 용맥 분출, 용맥 흡수만 사용하였을 때, 헥사 풀강 기준 딜효율을 나타낸 표입니다. 가로축은 분출의 유지 시간이며, 분출 갱신 시 분출 키를 꾹 눌러 3개의 분출을 한 번에 갱신한다고 가정합니다. 남는 시간에는 정기 뿌리기를 꾹 누르되, 예정된 용맥 분출이 510ms 미만으로 남은 상태에서는 정뿌를 뗐습니다.
분출을 30.00초에 갱신할 때의 딜효율을 100%로 정의하여, 각 갱신 기준의 딜효율을 비교했습니다. 허용 오차는 딜효율이 99% 이상인 구간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1.59초 갱신: 최대 딜효율 121.28%입니다. 사실 이 빌드는 분출 꾹 누르다가 정뿌, 분출 꾹 누르다가 잠깨, 분출 꾹 누르다가 용솟음 쓰는 기괴한 빌드인데, 바람과 해가 다 해먹네요. 1주기 당 허용 오차는 0.36초입니다.
7.20초 갱신: 최대 딜효율 104.99%입니다. 돌개바람을 3번 볼 때 갱신하는데, 정기 뿌리기를 잘 박아야 딜효율이 나와 꽤나 어려운 빌드입니다. 1주기 당 허용 오차는 0.71초입니다.
13.44초 갱신: 최대 딜효율 103.24%입니다. 돌개바람을 5번 볼 때 갱신하며, 7.20초 빌드와는 반대로 갱신을 제때 해야 딜효율이 나오는 빌드입니다. 1주기 당 허용 오차는 0.85초입니다.
23.17초 갱신: 최대 딜효율 101.38%입니다. 너울을 12번 볼 때쯤 갱신하며, 소수점 단위의 철저한 갱신을 요구하지 않는 안정적인 평딜로 승부하는 빌드입니다. 1주기 당 허용오차는 1.48초입니다.
29.17초 갱신: 최대 딜효율 101.97%입니다. 아마 개발진의 의도에 가장 가까운 빌드인데, 세 분출의 마지막 공격이 29.10초 근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공격을 보고 갱신하면 됩니다. 1주기 당 허용 오차는 1.20초입니다.
여기서 산의 씨앗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본섭에 들어올 때 무언가 개선이 있을 거라 예상해서 추가를 하지 않았지만, 아마 개선 없이 들어올 경우 산의 씨앗을 직접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빌드의 수정이 필요해보입니다. 하나의 빌드를 고집할 필요는 없으며, 극딜 및 준극딜 운용에 따라 여러 분출 빌드를 유동적으로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