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에쌤들 우울증 걸리실까봐 자제했는데 패치 개판난 김에 속 시원하게 뱉어 봐요
결론부터 말하면 이게임은 '본인의 컨트롤 여력이 허락하는 선 이상의 고난도 직업'을 고르면 무조건 손해 보는 게임임. 그리고 그 '선'이라는 게 생각보다 엄청 낮음. 웬만한 유저들은 고난도 직업 골라서 이득을 못 본다는 거
??? : 무슨소리냐 태생론 모름? 난이도 덕분에 체급 꾸준이 높은 직업이 황족인데 ㅋㅋ
라는 분위기가 주류인데, 실상은 대체로 저렇지 못함
1. 이 게임은 기본적으로 저난도 직업이 주류남의 떡이 더 커보이는 법. 자기 직업은 아쉬운 부분이 더 잘 보이고 남의 직업은 좋은 부분이 더 잘 보이는 게 당연한 생리임
이런 여론 형성 측면에서 비주류 고난도 직업은 절대 우위를 점할 수 없음
밸런스 논쟁의 기준이 되는 건 각 직업의 최고점 클탐(좀 더 가봐야 유틸차이 정도)이고, 높은 숙련도를 위해 투자하는 시간, 노력으로도 커버할 수 없는 재능 이런 건 대체로 과소평가 당하는 경향이 큼
고스펙으로 갈수록 딜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과금량이 커지기 때문에 '절대적인 딜격차'에 더욱 민감해짐
결국 연계직업은 난이도에 따른 합당한 딜량 대비 낮은 딜수준을 유지할 수밖에 없음. 게임사 입장에서 쩐주분들을 화나게 할 수 없으니 당연한 순리임
간혹 최근의 칼리, 메르 등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아웃라이어들이 있지만, 최근 너프에서도 볼 수 있듯 불타는 여론에 대체로 오래 버티지 못함
반면 저난도 비연계 직업들은 적은 인구수로 유기당하는 케이스를 제외하면 꾸준히 딜체급이 뒤처지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편
2. 높은 숙련도를 위해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함자주 간과되는 부분인데, 재능이 좀 있는 편이라 하더라도 고난도 직업을 제대로 굴리기 위해선 많은 연습이 필요함
생각보다 정말... 많은 연습이 필요함...
틈틈이 연습장에서 허수아비 사이클을 연마해야 온전한 사이클을 굴릴 수 있게 되고, 실전 보스에서도 비연계 직업 대비 딜각에 적응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됨
여기서 정말 절망적인 부분은, 본인이 만약 재능이 없다면 저렇게 시간 박아도 본인 컨트롤 수준에서 비연계 직업을 하는 것보다 성적이 낮을 수 있다는 것..
이런 이유에서 재미를 제쳐두고 실리만을 따진다면, 저난도 직업으로 숙련도 이슈를 빠르게 해소하고 남는 시간에 재획이나 하는 게 웬만한 스펙대에선 딜적으로 오히려 이득일 거임
3. 연계 직업을 고려하지 않는 듯한 신규보스 패턴직접 플레이 해볼 일은 없었지만, 이번 최초의 대적자 패턴을 처음 봤을 때 굉장히 당황스러웠음
보스패턴에 타이밍 맞춰서 패링? 실패하면 최종뎀이 두동강? 이걸 연계 직업이 어떻게 함 ㅋㅋ
패턴파훼 실패의 대가로 최종뎀을 뺏어가는 게 연계직업 입장에서 얼마나 어이없는 일이냐면, 풀 게이지를 상시 유지하는 극극고점 컨트롤이 아니고서야 동일 컨트롤 수준에서 연계직업이 무조건 딜적으로 밀릴 수밖에 없는 구조임
퍼클 이벤트에 고체급 연계직업이 없는 건 초고스펙에 연계직업 하는 사람이 잘 없기 때문이지만, 만약 초고스펙 연계직업 유저가 있었더라도 이번 대적자 퍼클은 절대 불가능했을 거임
실제로 퍼클은 캐슈 히어로 팔라딘 팟이 게이지를 거의 풀유지 하면서 가져갔는데, 연계 직업은 절대 게이지를 풀유지 할 수 없음
만약 앞으로도 신규보스가 이런 기조로 출시된다면 연계직업의 미래는 더욱 암울해질 것
정리하면, 고난도 연계직업은
1. 딜격차 이점을 제대로 누릴만큼의 높은 스펙을 위한 자본 투자
2. 해당직업 고점에 도달할 수 있는 재능
3. 숙련도를 위한 많은 시간 투자
세 가지가 갖춰져야 뽕을 뽑을 수 있음. 그게 아니면.. 그냥 재미로 하는 거지 체급 높은 직업으로 이득은 못 볼 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