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스토리 인벤 자유게시판 (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드메템 가격 총괄분석: 2부-얼굴장식 (AB)

Staregg
댓글: 2 개
조회: 2341
추천: 1
2022-03-19 18:25:09

드메템 총괄분석: 얼굴장식 대상


* 본 글은 개인저장용임, PC 최적화
* 분석 대상자들은 맨 아래 포인트 부분(3줄요약)을 참고해주세요
* 2

이전에 1부로 하프이어링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었습니다. 이번 2부는 얼굴장식으로 찾아뵙게 되었습니다. 얼굴장식도 하프이어링과 마찬가지로 분석방식의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분석방법 등에 대해서는 하프이어링과 같기 때문에 생략하려 합니다. 자세한 분석방법은 하프이어링 게시글 1부를 참고해주세용~


얼굴장식도 시작해 보겠습니다.


1. 분석 과정
하프이어링과 마찬가지의 분석 과정입니다. 상기하기 위해 다시큼 [그림 1]을 올리고 활용하고자 합니다. 

[그림 1] 대략적인 분석 과정(구조)


데이터 수는 총 355개이며, 데이터 수집기간은 2월 25일~3월 16일까지입니다. 


2. 가설 설정
단 우리가 가장 알고자 하는 가설은 다음과 같습니다(주제 가설).

- 주제 가설: 한 드메템의 분야에는 가격 차별 발생 요소가 존재할 것이다.

  그러나 이 주제 가설은 너무 애매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상세 가설들을 들 수 있습니다.

- 가설1: 드템에서 아획(드)과 메획(메)에서 가격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 가설1-1: 아획 40%, 메획40%, 아획 메획 합 40%간 가격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드메템 2줄 ㅇㅇ)
- 가설1-2: 아획 20%와 메획 20%간 가격 차이가 날 것이다. (드메템 1줄 ㅇㅇ)

- 가설2: 아획과 메획을 제외한 줄에서 주스텟%별에 따른 스텟별로 가격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 가설2-1: 스텟별로 각 잠재옵션의 주스텟% 합(15%, 18%, 21% 등)은 가격 차이에 기여할 것이다.
- 가설2-2: 가설2-1에 의한 주스텟% 합별로 차이가 있는 경우(가설2-1 채택 시) 이를 구분하여 스텟별로 가격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만약 가설2-1를 기각하더라도 주스텟% 합과 상관없이 스텟별로 가격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가설1의 경우에는 당연하겠지만 아획과 메획별로 가격 차이가 발생할 것이라고 가설을 세운 것입니다중요한 점은 가설2입니다우리는 드메템에서 3줄 모두 드메인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대부분의 템들은 1~2줄이 드메이고 나머지 2~1줄은 드메가 아닌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다여기서 옵션 중 잡옵부터 스텟(올스텟체력)별로 가격 차이가 발생함을 알아보고자 가설2를 설정하였습니다.

  또한 드메가 1줄인 경우 나머지 2줄은 스텟이나 잡옵이 있기 마련입니다여기서 나머지 2줄이 전부 해당 스텟일 경우 그 스텟%를 합쳤을 때 12%이거나 15% 혹은 18%나 21%인 경우에도 가격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레전 얼장 첫 번째 잠재옵션이 아획 20%이고두 번째 잠재옵션이 힘 12%, 세 번째 잠재옵션이 힘 9%이면 힘 스텟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힘 21%인 셈입니다따라서 이에 대해 가설2를 세부적으로 검정하고자 가설2-1을 설정하였습니다가설2-1에서는 드메는 1줄이고 스텟이 2줄이기 때문에 드메 2줄인 드메 합 40%는 검정에서 제외하였습니다가설2-2는 사실 가설2-1을 매개변수로 지정하여 가설2를 검정하기 위해 작성된 수정된(Adjust) 가설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다만분석의 용이성을 위해 스텟 2줄이 각각 다른 스텟인 경우에는 잡옵으로 처리하였습니다예를 들어레전 하프이어링 첫 번째 잠재옵션이 아획 20%이고두 번재 잠재옵션이 힘 12%이나 세 번째 잠재옵션이 덱 9%이면 그냥 잡옵(스텟 0%)로 설정하였습니다왜냐하면 스텟별로 전부 분류하여 분석할 경우에는 과적합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위 레전 하프이어링의 경우 전사직업도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궁수 직업도 사용가능하여 사용자의 소비 선택 가능성이 매우 크기에 이를 모두 고려한다면 차원의 저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데이터 수가 부족한 것이 메인 이유임 ㅠㅠ


3. 가설1에 대한 검정 결과

1) 가설1-1에 대한 검정 결과

  가설1-1은 아메획 합 40%에 대한 검정 결과입니다드메템 2줄은 비싸기 때문에 차이 요소가 중요하죠한번 보겠습니다.

 아획40%는 비참하게도 22개의 케이스메획40%는 34개의 케이스아획20%+메획20%은 40개의 케이스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벌써부터 데이터 수가 불안불안하시죠? 대략 3주 간의 경매장 판매완료 데이터를 모았음에도 확실히 하프이어링에 비해 데이터 수집이 까다로웠습니다. 그래도 분석을 해야 하니 이 데이터라도 소중이 활용해 보겠습니다.

  일단은 데이터 수가 중심극한정리에 따른 정규성을 보장받기 어렵기 때문에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메획40%의 정규성이 기각되어 아쉽게도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여 순위차이검정을 실시하고자 합니다. (비모수검정 방식은 하프이어링에서 상세 설명함!)

  순위차이 검정 결과 카이제곱 값이 23.473,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확률이 0.000(7.997e^-6)으로 나타나 적어도 하나 이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bonferroni 방식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습니다그 결과 메획 40%와 아획20%+메획20%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반대로 아획40%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에 따라 우리는 메획40%와 아획20%+메획20%가 비슷하며 동시에 아획40%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프이어링과 같은 패턴을 보여주네요. 따라서 자본이 조금 부족하신 분들은 메획40%만 고려하시는게 아니라 메획20%와 아획20%도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이번 보스 보상 패치로 인해 아획의 중요성이 정성적으로 증가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메획의 상대적 입지가 줄어든 상태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메획40%보다는 아획20%+메획20%를 챙기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림 2-1] 얼장 드메 차이 (드메 2줄 기준)



[표 1] 가설1-1 검정 결과 요약



2) 가설1-2 검정 결과

  가설1-2는 아메획 20%(드메 1줄)에 대한 검정 결과입니다. 얼장은 하프이어링과 달리 비싸기 때문에 드메템 한 줄도 큰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2줄은 최소 60억이 넘기 때문에 많이 부담스럽죠. 저도 얼장은 한줄로 만족하고 있을 정도이니깐요. 검정 결과 보겠습니다.

  아획20%는 104개의 케이스메획20%는 154개의 케이스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다음으로 Levene의 등분산성 검정 결과 F값이 1.2414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확률이 0.2663으로 나타나 등분산성을 가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다음으로 차이검정에서 t값이 -0.84667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확률이 0.3982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아획20%의 평균은 약 23.65억, 메획20%의 평균은 24.18억이며, 아획20%의 각 사분위수는 Q1=20억, Q2=23.29억, Q3=26.5억이며 메획20%의 각 사분위수는 Q1=20.51억, Q2=24.07억, Q3=26.64억 입니다.


결국, 드메 2줄에서는 아획 메획 전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가설1은 채택하였으나 드메 2줄에서는 차이가 없어 가설1을 채택하지 못하였습니다.



4. 가설2에 대한 검정 결과
1) 가설2-1에 대한 검정 결과

  가설2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주스텟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주스텟별로 차이가 있다면 우리는 %별로 구별한 뒤 스텟별 차이를 검정해야 합니다만약 차이가 없다면 주스텟%와 상관없이 스텟별 차이를 검정할 수 있겠죠과연 유저들은 12%~21%까지 2줄 주스텟합을 신경 쓸까요드메 1줄 템을 대상으로 각각 분석해 보았습니다.

 

  가설2를 검정하기 이전에 가설1-2가 기각되었음으로 데이터를 보다 확보하기 위해 아획 메획 구분없이 통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드메1줄을 기준으로 각 스텟별로 주스텟데이터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힘(str)은 합 15% 11개, 18% 9, 21% 2개, 24%가 1개 있음을 확인되었습니다. 이중 데이터 수가 너무 적은 21%와 24%는 제외하였습니다. 이후 t-test의 비모수 검정 방식은 왈콕슨 쉰위 합 검정을 크루스칼 왈라스 검정을 이용하여 차이검정을 실시하였습니다그 결과 힘에서는 차이가 없었습니다(각 표본에서 최소 순위 합 36유의확률 0.3231)

  두 번째로 덱스는 합 15%가 9, 18%가 7, 21%가 6개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크루스칼 왈라스 검정을 통한 순위 차이검정 결과 덱스도 차이가 없습니다(카이제곱 합 0.40553유의확률 0.8165). 

  세 번째로 인트의 경우에는 15%가 11, 18%가 5, 21%가 1개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중 21%를 제외하고 윌콕슨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습니다그 결과 인트도 차이가 없습니다(각 표본에서 최소 순위 합 33, 유의확률 0.5708). 

  네 번째로 럭의 경우에는 15%가 8, 18%가 7, 21%는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왈콕순 순위합 검정 결과 럭도 차이가 없었습니다(각 표본에서 최소 순위 합 22유의확률 0.5237). 

  다섯 번째로 올스텟은 데이터 수가 부족하여 대략적으로 파악한 결과 큰 차이가 없어 보였고 체력은 유감스럽게도 18% 외에는 없어 차이검정을 실시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얼장에서는 각 스텟에 따른 주스텟% 합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얼장 드메템 1줄에서는 스텟별 집단을 힘, 덱, 럭, 인올스텟체력잡옵(노스텟)으로 각 구분하여 가설2-2를 검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표 2] 가설2 검정결과 요약



2) 가설2-2에 대한 분석 결과

  가설2-1 검정 이후 우리는 하프이어링에 대하여 드메 1줄을 기준으로 각 차이를 검정할 변수를 지정하였습니다마찬가지로 드메 2줄짜리 하프이어링도 힘올스텟체력잡옵(노스텟)별로 차이를 검정하여 가설2-2를 검정할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과연 스텟별로는 차이가 있을까요이를 알아보고자 가설1과 가설2-1에 기반하여 가설2-2(가설2)를 검정하겠습니다.

 

  일단 드메 2줄을 대상으로 가설2-2를 검정하겠습니다. 첫 번째로 메획40%와 아획20%+메획20%간 차이가 없었기에 메획40%와 아메획 합 20% 데이터를 합쳐서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힘은 8덱은 7인트는 9럭은 7올스텟은 5, 체력은 8개, 잡옵은 29개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데이터 수가 많이 적다고 판단하여 비모수 검정 방식인 크루스칼 왈라스 검정을 실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카이제곱 값이 9.2066이고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확률이 0.1623으로 나타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의사결정나무를 통해 이진 분류로 분류하였을 때에도 역시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경매장이나 1교환에 있어서 메획 2줄이나 아획1줄+메획1줄의 경우에는 상관없이 자기 직업에 맞도록 교환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그림 3-1] 얼장 메획40% 및 아획20%+메획20% 중 스텟별 가격 차이 그래프


 

[그림 3-2] 얼장 메획 40% 및 아획20%+메획20% 중 스텟별 가격 차이 (의사결정나무)


사용 함수: party 세트의 ctree 함수 사용(CART방식, testtype="Bonferrori", maxdepth=4, stump=FALSE)


                       [표 2하프이어링 메획 40% 및 아획20%+메획20%의 분석과정 및 결과 요약


  두 번째로 아획 40%를 기준으로도 분석을 실시하려 하였으나 문제는 데이터 수였습니다. 아획40%의 총 데이터 수는 22개로 각 집단별 최소 필요한 데이터 수가 5개라고 가정한다면 13개의 데이터 수가 부족하다는 의미가 됩니다(최소 35개의 데이터 필요). 따라서 비모수적 분석으로도 판단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여 별도 분석을 실시하지는 않았습니다. 

  또한 차후 데이터를 추가하여 넣기에는 이번 보스맵 보상 패치로 인한 영향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면서 넣기에는 힘들다고 생각하여 메획과 비슷하겠거니~라고 생각합니다. 데이터 수집에 있어서도 3주 가량 수집하였는데도 22개의 데이터라면 사실상 얼장에서는 거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장사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거라고 판단하였습니다.

  다만, 아쉽다고 생각하여 간단하게 "무지성" 의사결정나무를 한번 써 봤습니다. 그 결과, 메획40% 및 아획20%+메획20%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즉, 없다고 추측합니다!


[그림 4] "무지성" 얼장 40% 스텟별 가격 차이 (의사결정나무)



  세 번째로 얼장 드메 1줄 기준으로도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데이터는 힘15%가 20덱스가 22인트가 16 15올스텟은 8체력은 5잡옵(노스텟)은 166개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하여 체력의 데이터 수가 부족하므로 마찬가지로 크루스칼 왈라스 검정을 실시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47.899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확률이 0.000(1.238e^-8)으로 나타나 적어도 하나 이상 순위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사후검정과 시각화를 통해 알아본 결과, 럭이 가장 높고, 가운데 힘, 올스텟, 인트로 구성되며 덱, 체력, 잡옵이 낮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후검정에서도 럭과 덱, 체력, 잡옵은 확실한 순위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럭이 확실히 높다는 것과 덱, 체력, 잡옵이 똥 취급임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를 통해 (), (올스텟인트), (덱스, 체력잡옵)의 형식으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여기에 추가로 의사결정나무를 통해 이진 분류로 분류하였을 때에도 처음에는 (럭, 힘, 올스텟, 인트여부와 아닌 여부로 분류되었습니다이후에 (럭, 힘, 올스텟, 인트) 집합은 럭 유무로 다시 가격 분류가 되었습니다. 결국, 얼장 드메 1줄은 올스텟-인트-힘, 덱스-체력-잡옵 그룹 내에서 유사함과 동시에 그룹 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흥미로운 2~3줄이 스텟으로 구성되다 보니 확실히 드메 2줄에 비해 사람들이 스텟에 따라 까다롭게 가치를 두고 가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프이어링보다 드메 줄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크게 말이죠.


[그림 5-1] 얼장 드메 1줄 중 스텟별 가격 차이 그래프


기준중위수 (평균아님!)

 

[그림 5-2얼장 드메 1줄  스텟별 가격 차이 (의사결정나무)


사용 함수: party 세트의 ctree 함수 사용(CART방식, testtype="Bonferrori", maxdepth=4, stump=FALSE)


                                          [표 3얼장 드메 1줄의 분석과정 및 결과 요약


5. 결론


  드메템 중 얼굴장식에 대한 가격 차별 요소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일부의 가격 결정 패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가설을 세워 검정하였으며 좋은 인사이트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림 7] 얼굴장식 정리



  크게 드메 한줄과 두줄에서 패턴의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드메 2줄은 정확한 검정을 거치지는 못한 점도 있으나 추측컨데 스텟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단지 아획40%이냐 아니냐의 차이가 가장 뚜럿하게 관찰되는 차이인 것 같습니다.

 반면, 드메 1줄은 제가 만족할 만한 차이와 검정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봤을 때 럭의 가치가 압도적으로 높았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덱스와 데벤져가 쓰는 체력은 잡옵과 똑같이 똥 취급받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하프이어링에 이어 데벤저 또 패배냐!). 이를 통해 드메템에서 나타나는 가격 요인은 메획과 아획 여부(드메 2줄만), 스텟별로 차이가(드메 1줄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차이검정을 통해 각 가격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드메템 가격 결정 및 장사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팬던트이며, 이렇게 점차 드메템에 대한 비밀을 벗기는 맛이 있습니다. ㅅㅅ




3줄 요약

1. 얼장에서 드메 2줄은 아획40%이냐 아니냐가 주요 가격 차별 요인이며, 그 외에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다.


2. 얼장에서 드메 1줄은 아획과 메획을 상관하지 않는 대신에 스텟에 대한 차이를 잘 보여주었다. 차이는 스텟 집단별로 (럭) | (올스텟, 힘, 인트) | (덱스, 체력, 잡옵) 을 보여주었다. 


3. 데벤저 연전연패중. 하프이어링과 다르게 덱스도 1패


4. 포인트로는 각 표의 중위수와 평균을 참고하라(사분위수도!)



- 사족

하프이어링은 거래가 활발하여 데이터가 많으나 다른 부위는 데이터가 적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 협력자: 피랫

AuroraBank




Lv13 Staregg

경매장 및 이벤트 탐색 (모노모, 캡틴, 268)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