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스토리 인벤 자유게시판 (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수정) 그저께 노멀 듄켈을 처음으로 혼자서 처치했을 때 사용한 공략

아이콘 난롯돌
댓글: 1 개
조회: 1403
추천: 6
2022-04-23 22:35:43
* 이 글에 앞서, 노멀 듄켈 처치를 본캐인 팔라딘으로 성공했기에 팔라딘 기준으로 주로 설명하지만, 어느 플레이어에게나 해당되는 내용도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 '엘리트 몬스터'를 '엘리트 보스'로 수정했습니다. 혼동으로 불편으로 드려 죄송합니다.

클리어 정보



소요 시간 : 26분 5초
남은 목숨 (데카) : 3
전투 분석 :





도핑 : 반파별, 고보킬, 영메, 큰 길축, 인기도 의자 (250레벨), 향상된 10단계 힘, 익스트림 레드 & 그린, 유니온의 힘 (3단계), 우르스, 붕어빵, 노블레스 길드 스킬 4종 (49포인트) + 19주년 이유식 (1단계), 19주년 패시브 버프 (보공 10%)
* 30분 동안 사용할 때 기준으로, 반빨별 + 고관비 조합보다 반파별 + 고보킬 조합이 좀 더 낫다고 생각하는데 두 조합 모두 동일하게 보공 20%p에 방무 20%를 올려 주지만 비용은 반파별 + 고보킬 조합이 좀 더 적기 때문입니다.



스펙 정보 (간략)

레벨 : 260
직업 : 팔라딘
무릉 도장 : 51층 13분 16초 (52층을 돌파할 수 있는 스펙에 매우 가까운 수준)
유니온 :

농장 : 유효 옵션 없음



스펙 정보 (상세)



* 하이퍼 스탯 중에 주 스탯 2레벨도 있습니다.
* 어빌리티에서 3번째 줄은 증가량이 5%입니다.
* 실제로 듄켈과 전투했을 때에는 글로리온 슈프림 링 대신 리스트레인트 (리레) 링 2레벨 끼고 진행했으며, 중간에 링 교체를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 훈장은 '칠요의 몬스터 파커' 훈장을 장착한 상태에서 진행했습니다.
* 다음의 장비 정보 (무보엠 제외)에서 위, 아래 잠재 능력에서 그냥 퍼센티지만 표시한 것은 주 스탯인 STR이고, 옵션이 고정인 것은 생략했습니다.

- 고귀한 이피아의 반지 (15성)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글로리온 커맨더 링 : 윗잠 27% / 에디 공격력 11
* 1티어 반지는 아니지만, 제가 갖고 있는 이벤트 링의 윗잠이 주 스탯 21%일 때보다 더 강력하다고 해서 그대로 장착하고 있습니다.
에디 등급은 에픽으로, 에디셔널 큐브로 올린 게 아니라 감정했을 때 바로 에픽으로 나온 것입니다.
- 어드벤처 딥 다크 크리티컬 링
- 리스트레인트 링 (2레벨)
- 핑크빛 성배 : 추옵 주 스탯 48, 공격력 6, 올 스탯 4%
- 매커네이터 펜던트 (15성) : 추옵 주 스탯 20, 올 스탯 7%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주 스탯 3
- PC방 도미네이터 펜던트 : 추옵 주 스탯 16, 공격력 6, 올 스탯 6%
- 분노한 자쿰의 벨트 (17성) : 추옵 주 스탯 60, 올 스탯 5% / 윗잠 21% / 에디 공격력 10, 주 스탯 6
- 앱솔랩스 모자 (17성) : 추옵 주 스탯 79, 공격력 7 / 윗잠 12% / 에디 공격력 10
* 잠재 능력이 붙어 있는 제 장비 중 유일하게 윗잠 등급이 에픽으로, 곧 더 좋은 것으로 교체할 생각이 있습니다.
본래 윗잠 유니크 15%의 카루타 모자였으나, 예전에 토드를 해 버리는 바람에 에픽 12%로 감소한 것입니다.
- 응축된 힘의 결정석 (10성) : 추옵 주 스탯 36, 공격력 4, 올 스탯 6% / 윗잠 18% / 에디 공격력 10
* 윗잠은 에픽 6% 3줄이 아니라 유니크 9% 2줄로, 제가 직접 띄운 것입니다.
- 블랙빈 마크 (17성) : 추옵 주 스탯 35, 올 스탯 6%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카루타 상의 (17성) : 추옵 주 스탯 44, 공격력 5, 올 스탯 5%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카루타 하의 (18성) : 추옵 주 스탯 64, 올 스탯 5%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1, 5%
* 제 다른 장비에 비해 이게 유달리 좋은데 가횟이 2회밖에 안 남았는데도 성능에 비해 매우 싸다고 생각해서 경매장에서 구입했기 때문입니다. 길게는 몇 년 동안이나 장착할 수도 있을 텐데, 나중에 이걸 팔 때쯤에는 안 팔리더라도 손해가 크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거든요.
- 앱솔랩스 신발 (17성) : 추옵 주 스탯 84, 공격력 4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데아 시두스 이어링 (17성) : 추옵 주 스탯 16, 공격력 5, 올 스탯 6% / 윗잠 15% / 공격력 10
- 앱솔랩스 견장 (17성)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3
- 앱솔랩스 장갑 (17성) : 추옵 주 스탯 84, 공격력 5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조만간 윗잠에 크리티컬 데미지 (크뎀)가 1줄 붙은 것으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 크리스털 웬투스 배지
- 칠요의 몬스터 파커
- 앱솔랩스 망토 (17성) : 추옵 주 스탯 55, 올 스탯 6% / 윗잠 21% / 에디 공격력 10
- 페어리 하트 (8성) : 윗잠 주 스탯 15% / 에디 공격력 10
- 아케인셰이드 두 손 둔기 (17성) : 추옵 공격력 142, 보공 17% (정확히는 보공 12% + 데미지 5%) / 윗잠 보공 40%, 공격력 9%, 주 스탯 9% / 에디 공격력 6% / 소울 공격력 3%
- 보조 무기 : 윗잠 보공 70% / 에디 공격력 12%, 주 스탯 9%
* 최근에 경매장을 통해 교체한 것으로, 교체 전에는 윗잠 공격력 18% / 에디 공격력 6%였습니다.
- 기본 엠블럼 : 윗잠 공격력 21% / 에디 공격력 6%, 주 스탯 12 + 3%
- 펫 : 붕어빵크림이, 붕어빵탄이, 붕어빵단팥이
- 펫 장비 : 도합 공격력 74



스킬 정보

링크 스킬 :

* 모법 링크 스킬의 레벨은 메가 또는 테라 버닝이 다시 나올 때 올릴 예정입니다.
5차 코어 : 팔라딘 전용 5차 4종 모두 30레벨, 주요 강화 코어 (생츄어리, 블래스트, 디바인 저지먼트/스티그마) 모두 60레벨 (참고로 디바인 차지, 파이널 어택, 스마이트는 51레벨), 오라 웨폰과 메용 2 모두 30레벨, 스인미 15레벨, 블링크 10레벨, 쓸 만한 어드밴스드 블레스 & 샤프 아이즈 & 윈드 부스터 사용, 블리츠 실드는 6레벨 (기본 1 + 슬롯 5)로 사용
* 디바인 차지는 일반적으로 주요 강화 코어로 보지만, 스펙이 높아질수록 디바인 차지보다 생츄어리가 좀 더 중요해진다고 생각합니다.



노멀 듄켈을 상대할 때의 공략

앞서 전투 분석을 보셨다시피, 단거리 평딜인 '블래스트'에 비해 극딜인 '그랜드 크로스'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는 극딜을 쏟아부을 때 외에는 거의 생존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진행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투 시간 내내 링 교체 없이 아예 리레 2레벨을 낀 채로 진행했으며, 광역 스킬인 생츄어리 또한 매우 중요해지는데 듄켈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공격해야 하면서 듄켈이 잡몹을 수시로 소환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생존 면에서는, 물론 팔라딘은 피격 시 데미지의 경감이라는 특성 덕분에 다른 직업에 비해서 좋은 편이지만, 노멀 더스크, 노멀 윌, 노멀 루시드 등 비슷한 수준의 다른 보스에 비해서는 좀 더 안 좋은데 이는 듄켈 맵에서 나오는 엘리트 보스의 연속 공격 때문에 '블레싱 아머' 유지 시간이 다른 보스와의 전투에 비해 현저히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사냥용 맵에서도 볼 수 있는 '공중 사슬' 패턴은 피격 시 데미지가 6줄로 뜨는데, 블레싱 아머가 적용된 상태에서 피격된 경우 1회가 아니라 6회 방어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남은 방어 횟수가 9회였다면 피격 시 8회가 아니라 3회로 줄어듭니다.
이 때문에, 팔라딘은 홀리 차지 5스택에 블레싱 아머가 적용된 상태라면 블리츠 실드를 안 써도 별도 가른다는 거대한 검기에 즉사되지 않지만, 실상은 엘리트 보스 공격 패턴으로 인한 짧은 블레싱 아머 적용 시간 때문에 즉사되는 경우가 더 많죠.

여기서부터는 모든 직업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먼저 엘리트 보스에 대응하기 위한 공략입니다.
엘리트 보스 (엘보)별로 각종 공격에 대응하는 공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적이나 의지 스킬을 사용하는 것 또한 피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 모카딘 : 당하면 진짜 골치 아픕니다.
피격 시 스턴에 당하게 되는데 지속 시간이 1~1.5초 정도로 하드 스우보다도 살짝 긴 것 같았습니다.
고작 다섯의 목숨만으로 생존해야 하는 듄켈 상대로는 공격 패턴을 수시로 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때 스턴에 걸리면 평상시에 비해 죽을 위험이 매우 커지므로 피할 수 있으면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거기에 공격 횟수도 4회여서 팔라딘은 블레싱 아머가 적용된 상태라면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 카리아인 : 카리아인의 구체에는 피격 시 걸리는 상태 이상이 없고, 땅에서 솟는 사슬에 피격돼도 이동 속도 감소에 불과해서 모카딘이나 줄라이보단 낫지만, 다른 공격 패턴과 겹치면 구체 또한 위협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웬만하면 피하는 게 좋습니다.
참고로 듄켈의 ㄴ자형 검기와 카리아인의 구체는 엎드리면 피할 수 있다고 하는데, 엎드리는 순간 다른 공격 패턴에 노출돼서 그 패턴에 그대로 피격될 수 있고 심하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엎드리는 것보단 차라리 그냥 맞거나 윗점 (블링크와의 연계 포함)으로 피하는 게 훨씬 낫습니다.
그리고 역시 공격 횟수가 4회이므로 팔라딘은 블레싱 아머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줄라이 : 모카딘과 함께 정말 성가신 보스인데, 엎드려도 맞을 수 있는 데다가 화살이 날아오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화살에 맞으면 점프를 할 수 없게 되는데, 그래도 스킬은 사용할 수 있어서 스턴이나 스킬 봉인보단 조금 낫지만 패턴 회피에 도움을 많이 주는 점프가 불가능해져서 약간 치명적이기에 아래쪽을 항상 잘 주시해야 합니다.
다른 공격 패턴을 피하고 있는데 갑자기 밑에서 화살이 날아오는 경우가 은근히 많거든요..
- CQ57 : 다른 엘리트 보스는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주기는커녕 해를 끼치기만 하지만, 이 엘리트 보스는 오히려 플레이어에게 도움을 줄 때도 있는데

바로 이 패턴을 사용할 때입니다.
이 패턴에 맞으면 슈퍼 넉백과 함께 체력이 깎이면서 빗나가는 상태 이상에도 걸리게 되는데, 이때 이 패턴의 슈퍼 넉백을 역이용하는 것입니다.
허약, 스킬 봉인, 스턴 등으로 인해, 점프를 이용한 회피가 불가능하거나 힘든 상황일 때 이 패턴에 맞으면 듄켈이나 다른 엘리트 보스의 공격 및 맵의 각종 공격 패턴이 슈퍼 넉백에 의한 자동 이동 덕분에 알아서 회피되면서 사망 위기로부터 벗어나는 상황이 종종 나옵니다.
이 패턴에 의해 걸리는, 빗나가는 상태 이상도 생존에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으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오히려 플레이어에게 고마운 패턴이 되기도 합니다.
맵의 양쪽 구석도 다른 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하는데, 이 엘리트 보스가 구석으로 밀어 주면 정말 고마워지죠.
그 외에 6번 공격하는 패턴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상태 이상에 걸리게 하진 않으므로 엘리트 보스 중엔 가장 덜 위협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플레드 : 과녁으로 미리 경고해 주고 경고 시간이 그리 짧지 않아서 그 패턴을 회피하는 건 쉬운 편입니다.
다만 맞았을 때에는 혼란 상태가 되는데, 잘못하면 다른 공격 패턴을 피하지 못해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패턴으로 상태 이상을 걸지 않지만 무려 9번이나 공격하기도 하는데, 팔라딘은 블레싱 아머가 순식간에 파괴될 수 있으므로 이것 또한 주의해야 합니다.
- 공중 사슬 : 모카딘과 줄라이가 사용하는 패턴으로, 사냥용 맵에서 엘리트 보스가 등장했을 때에도 볼 수 있습니다.
공격 범위가 상당히 넓은 데다가 피격 시 데미지도 크고 공격 횟수도 6회라서 웬만하면 피하는 것이 좋으며 팔라딘은 블레싱 아머 관리 때문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 패턴입니다.

듄켈의 공격 패턴 중에 별도 가른다는 거대한 검기를 날리는 패턴이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즉사이고 노멀 모드 기준으로 팔라딘은 윗점만으론 회피가 불가능한 대신 홀리 차지에 블레싱 아머가 적용된 상태면 한 번 맞아도 살아남을 수 있는데, 앞서 설명했다시피 듄켈 상대로는 블레싱 아머를 유지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서 한 번 맞고 즉사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그걸 피해야 할 때 무적 스킬을 쓸 수 있으면 완전히 피할 때까지 쓰고 있습니다.

운석은 더스크의 운석에서 언데드가 스킬 봉인으로 바뀐 형태인데, 더스크와 달리 생김새가 셋 다 서로 비슷하고, 또 듄켈 상대로는 그 외의 공격 패턴을 수시로 피하기도 해야 해서 극딜을 퍼부을 때 무적 상태가 아니면 극딜 공격에 지장이 생길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단, 팔라딘의 극딜인 '그랜드 크로스'는 스턴을 무시하므로 무적 상태가 아니어도 다른 직업보다 좀 더 안정적으로 퍼부을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듄켈은 잡몹을 소환하므로 펫 자이언트 스킬을 들고 가서 펫 자이언트 버프를 받으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며

공홈 캐릭터 정보, 핸즈 모두 열려 있습니다. (닉네임 : https://maple.gg/u/%EB%B9%A0%EB%8F%84%ED%98%84)
다만 그쪽에서 보실 땐 장비 세팅이 사냥용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