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에 앞서, 52층 돌파를 본캐인 팔라딘으로 성공했기에 팔라딘 기준으로 주로 설명하지만, 어느 플레이어에게나 해당되는 내용도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 같은 직업끼리도 사용한 시드 링이나 52층을 돌파할 때까지 걸린 시간에 따라서 빌드가 제가 설명한 것과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클리어 정보
날짜 : 2022년 4월 25일
기록 : 14분 36초
전투 분석 :
도핑 : 반빨별, 고대영비, MVP 슈퍼 파워 버프, 영메, 큰 길축, 향상된 10단계 힘, 익스트림 레드 & 그린, 유니온의 힘 (3단계), 우르스, 붕어빵, 노블레스 길드 스킬 4종 (49포인트) + 19주년 이유식 (1단계), 19주년 패시브 버프 (보공 20%, 공마 5)
* 이때 붕어빵은 2번 써야 하는데 한 번은 18층이나 19층에서, 또 한 번은 45~47층에서 쓰면 괜찮습니다. 물론 완전히 처치하고 나서 뿌려야 합니다.
스펙 정보 (간략)
레벨 : 260
직업 : 팔라딘
유니온 :
농장 : 유효 옵션 없음
스펙 정보 (상세)
* 시드 링은 리스트레인트 (리레) 2레벨, 웨폰퍼프 (웨펖)과 리스크테이커 (리테) 3레벨을 사용했습니다.
* 훈장은 '카오스 벨룸 킬러' 훈장을 장착한 상태에서 진행했습니다.
* 다음의 장비 정보 (무보엠 제외)에서 위, 아래 잠재 능력에서 그냥 퍼센티지만 표시한 것은 주 스탯인 STR이고, 옵션이 고정인 것은 생략했습니다.
- 고귀한 이피아의 반지 (15성)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글로리온 커맨더 링 : 윗잠 27% / 에디 공격력 11
* 1티어 반지는 아니지만, 제가 갖고 있는 이벤트 링의 윗잠이 주 스탯 21%일 때보다 더 강력하다고 해서 그대로 장착하고 있습니다.
에디 등급은 에픽으로, 에디셔널 큐브로 올린 게 아니라 감정했을 때 바로 에픽으로 나온 것입니다.
- 어드벤처 딥 다크 크리티컬 링
- 글로리온 슈프림 링 : 윗잠 21% / 에디 공격력 10, 주 스탯 9
- 핑크빛 성배 : 추옵 주 스탯 48, 공격력 6, 올 스탯 4%
- 매커네이터 펜던트 (15성) : 추옵 주 스탯 20, 올 스탯 7%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주 스탯 3
- PC방 도미네이터 펜던트 : 추옵 주 스탯 16, 공격력 6, 올 스탯 6%
- 분노한 자쿰의 벨트 (17성) : 추옵 주 스탯 60, 올 스탯 5% / 윗잠 21% / 에디 공격력 10, 주 스탯 6
- 앱솔랩스 모자 (17성) : 추옵 주 스탯 79, 공격력 7 / 윗잠 12% / 에디 공격력 10
* 잠재 능력이 붙어 있는 제 장비 중 유일하게 윗잠 등급이 에픽으로, 곧 더 좋은 것으로 교체할 생각이 있습니다.
본래 윗잠 유니크 15%의 카루타 모자였으나, 예전에 토드를 해 버리는 바람에 에픽 12%로 감소한 것입니다.
- 응축된 힘의 결정석 (10성) : 추옵 주 스탯 36, 공격력 4, 올 스탯 6% / 윗잠 18% / 에디 공격력 10
* 윗잠은 에픽 6% 3줄이 아니라 유니크 9% 2줄로, 제가 직접 띄운 것입니다.
- 블랙빈 마크 (17성) : 추옵 주 스탯 35, 올 스탯 6%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카루타 상의 (17성) : 추옵 주 스탯 44, 공격력 5, 올 스탯 5%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카루타 하의 (18성) : 추옵 주 스탯 64, 올 스탯 5%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1, 5%
* 제 다른 장비에 비해 이게 유달리 좋은데 가횟이 2회밖에 안 남았는데도 성능에 비해 매우 싸다고 생각해서 경매장에서 구입했기 때문입니다. 길게는 몇 년 동안이나 장착할 수도 있을 텐데, 나중에 이걸 팔 때쯤에는 안 팔리더라도 손해가 크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거든요.
- 앱솔랩스 신발 (17성) : 추옵 주 스탯 84, 공격력 4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데아 시두스 이어링 (17성) : 추옵 주 스탯 16, 공격력 5, 올 스탯 6% / 윗잠 15% / 공격력 10
- 앱솔랩스 견장 (17성)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3
- 앱솔랩스 장갑 (17성) : 추옵 주 스탯 84, 공격력 5 / 윗잠 15% / 에디 공격력 10
* 조만간 윗잠에 크리티컬 데미지 (크뎀)가 1줄 붙은 것으로 교체할 예정입니다.
- 크리스털 웬투스 배지
- 카오스 벨룸 킬러
- 앱솔랩스 망토 (17성) : 추옵 주 스탯 55, 올 스탯 6% / 윗잠 21% / 에디 공격력 10
- 페어리 하트 (8성) : 윗잠 주 스탯 15% / 에디 공격력 10
- 아케인셰이드 두 손 둔기 (17성) : 추옵 공격력 142, 보공 17% (정확히는 보공 12% + 데미지 5%) / 윗잠 보공 40%, 공격력 9%, 주 스탯 9% / 에디 공격력 6% / 소울 공격력 3%
- 보조 무기 : 윗잠 보공 70% / 에디 공격력 12%, 주 스탯 9%
* 최근에 경매장을 통해 교체한 것으로, 교체 전에는 윗잠 공격력 18% / 에디 공격력 6%였습니다.
- 기본 엠블럼 : 윗잠 공격력 21% / 에디 공격력 6%, 주 스탯 12 + 3%
- 펫 : 붕어빵크림이, 붕어빵탄이, 붕어빵단팥이
- 펫 장비 : 도합 공격력 74
스킬 정보
링크 스킬 : '스펙 정보 (상세)'에 나온 이미지 참조
* 모법 링크 스킬의 레벨은 메가 또는 테라 버닝이 다시 나올 때 올릴 예정입니다.
5차 코어 : 팔라딘 전용 5차 4종 모두 30레벨, 주요 강화 코어 (생츄어리, 블래스트, 디바인 저지먼트/스티그마) 모두 60레벨 (참고로 디바인 차지, 파이널 어택, 스마이트는 56레벨), 오라 웨폰과 메용 2 모두 30레벨, 스인미 15레벨, 블링크 10레벨, 쓸 만한 어드밴스드 블레스 & 샤프 아이즈 & 윈드 부스터 사용, 추가로 에르다 노바 (1레벨)도 사용
* 디바인 차지는 일반적으로 주요 강화 코어로 보지만, 스펙이 높아질수록 디바인 차지보다 생츄어리가 좀 더 중요해진다고 생각합니다.
52층을 돌파하면서 사용한 빌드 및 층별 몬스터 특성
* 바인드 스킬은 '스마이트'와 '에르다 노바'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1~30층 공통 : 가운데에서 광역 공격 스킬인 '생츄어리'를 사용하고, 5초 뒤에 타이머가 다시 시작된다는 문구가 뜨면 다음 층으로 넘어갑니다. (단, 30층에서는 유니티나 엔버 링크 스킬 등 강력한 버프를 모두 사용해야 생츄어리 원 킬이 가능하며 처치 후 바로 다음 층으로 넘어가도 무방합니다.)
단거리 평딜 스킬인 '블래스트' 말고 생츄어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몬스터가 등장 위치를 알려주지 않으면서 무작위 위치에서 등장하므로 맨 왼쪽이나 오른쪽 구석만 아니면 어디서 나타나든 나타나자마자 바로 처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쿨 타임도 짧기 때문입니다.
망치가 돌아가는 '블레스드 해머'도 같이 사용해주면 좋은데, 몬스터가 플레이어 바로 옆에서 등장하면 생츄어리를 쓰기 전에 처치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0층대에서는 어차피 생츄어리를 써야만 바로 돌파할 수 있으므로 블레스드 해머를 굳이 쓰지 않아도 되지만, 27층에서는 몬스터가 나타나자마자 스턴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스턴에 걸린 상태에서도 보스를 처치할 수 있게 그때만큼은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5포인트짜리 (만렙) 노블레스 길드 스킬 3종은 9, 13, 15층에서 하나씩 사용하는데, 그쪽의 몬스터는 HP가 0이 돼도 바로 죽지 않고 약 4초간 반짝이다가 죽어서 여유가 약간 생기기 때문입니다.
추가로, 25층의 보스는 오른쪽으로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유혹을 겁니다.
34층 : 순간 이동을 하고, 중간에 몇 초 동안 무적 상태가 되기도 하며, 특히 스턴을 걸기도 하므로 원 킬이 난다고 해서 무작정 방심할 수만은 없습니다.
36층 : 역시 스턴에 주의해야 하는 층으로, 스턴 한 번에 기록이 1초씩 늦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39층 : 할퀴기 공격의 데미지는 데미지 감소 스킬이 하나도 없을 때 플레이어 최대 체력의 10%입니다. 스펙이 40층대 초반일 때까지는 플레이어가 죽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40층 : 생츄어리 원 킬 또는 그에 준하는 스펙이 아닌 이상 웬만하면 바인드를 걸어야 하는데, 몇 초 만에 처치할 수 있어도 바인드를 안 쓰면 빙글빙글 공격 (사용 중 무적)이나 잠시 체공 후 공격 때문에 기록이 5~6초 정도 더 늦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바인드 스킬로 스마이트를 사용했으며, 44층까지는 45층에서 다시 쓸 스마이트 쿨 타임을 돌리기 위해 잠시 기다렸다가 2초 뒤에 타이머가 다시 시작된다는 문구가 떴을 때 다음 층으로 넘어갔습니다.
41층 : 방어력 증가 버프를 사용하고, 처음엔 할퀴며 앞으로 약간 돌진하다가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오고, 체력이 25%쯤으로 감소하면 풍선을 타면서 위로 약간 떠오르고 나서 눈에서 레이저를 발사하는데, 이때 보스 주력 스킬의 y축이 낮으면 고생을 좀 하기도 합니다.
예전 (모험가 리마스터 전)에 41층을 처음으로 돌파했을 때 블래스트가 위로 떠오른 몬스터를 공격하지 못해서 약간 답답했었거든요.. ㅠㅠ 제논의 퍼지롭은 위로 떠올라도 공격할 수 있었지만요.
스펙이 40층대 초반인 모험가 전사라면, 몬스터가 방어력 증가 버프를 사용했다면 '매직 크래시'라는 몬스터 버프 제거 및 방지 스킬을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42층 : 공격력 증가 버프를 사용하며 순간 이동도 조금씩 합니다. 물몸 직업이 아니면 공격력 증가 버프는 무시해도 될 수준입니다.
43층 : 순간 이동을 하는데, 42층의 몬스터보다 더 자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좀 더 안정적으로 돌파하기 위해 이번엔 또 다른 바인드 스킬로 에르다 노바를 사용했습니다.
44층 : 대부분의 직업은 그다지 신경 안 써도 되는 샌드백에 불과하겠지만, 모험가 전사는 신경을 쓸 필요가 있는데 바로 매직 크래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방어력 증가 버프를 거는데 41층의 몬스터보다 훨씬 자주 걸며, 종종 아예 걸린 상태로 등장하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50층대 초반까지의 스펙을 가진 플레이어는 그 버프를 없애거나 방지할 수 있는 매직 크래시를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데, 그때의 효과가 시드 링 스킬을 발동했을 때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방어력 증가 버프 적용 여부에 따른 차이가 생각보다 크다는 것이죠.
스펙이 40층대 중반까지면 방어력 증가 버프를 걸었을 때 사용하고, 그보다 더 높으면 등장하자마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드 링을 안 썼을 때 기준으로, 50층을 돌파할 수 있다면 매직 크래시 효과가 끝나기 전에 처치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방어력 증가 버프는 매직 크래시로 제거와 방지하는 것 모두 가능합니다.
나무위키에는 아무런 추가 설명도 없는데, 모험가 전사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층이죠.
45층 : 15층의 몬스터와 비슷한 방식으로 순간 이동을 하고, 플레이어에게 달라붙기도 하면서 40층의 몬스터와 비슷한 체공 공격도 사용하는데, 참고로 리마스터 전의 블래스트는 몬스터가 체공하면 공격이 닿지 않았었습니다.
이때 스마이트를 다시 사용했으며, 최대한 빨리 처치하기 위해 웨폰퍼프 링도 사용했습니다.
HP가 0이 되면 9, 13, 15층에서처럼 약 4초 정도 빛나다가 죽습니다.
46층 : 가끔 플레이어를 혼란 상태로 만드는데, 유니티 버프가 걸린 상태에서 엔버 링크 스킬과 리스트레인트 링 쓰고 극딜인 '그랜드 크로스'를 퍼부으면 바로 처치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부턴 극딜 쿨 타임을 돌려야 해서 40~44층에서처럼 잠시 기다린 후에 마찬가지로 2~3초 남았을 때 다음 층으로 넘어갔습니다.
47층 : 플레이어가 없는 방향으로 느리게 이동합니다.
극딜을 쓰지 않았으므로, 스인미를 사용했습니다.
48층 : 43층의 몬스터와 비슷한 방식으로 순간 이동을 하며, 두 바인드 스킬이 모두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는 에르다 노바를 썼습니다.
스마이트는 49층에서 써야 하는데 에르다 노바보다 지속 시간이 좀 더 길고 쿨 타임도 훨씬 짧거든요.
49층 : 공격력 증가 버프를 걸고, 왼쪽으로 점프하면서 이동하는 유혹을 걸기도 하는데 저는 그걸 최대한 막고자 무적 스킬인 '새크로생티티'를 사용하는 걸 택했습니다.
또 어차피 무적 상태가 되므로 리스크테이커 링을 사용했는데, 입장 직후 스마이트 걸고 극딜 쓸 때 같이 사용했습니다.
극딜을 쓰고 나서 리스크테이커 링 효과를 유지할 겸 유혹도 방지하기 위해 바로 무적 스킬을 사용했는데, 무적 스킬이 끝나기 전에 처치됐다면 52층을 위해 무적 스킬을 바로 해제해야 합니다.
50층 : 입장 후 20~30초 정도 지났을 때 또는 HP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깎였을 때, 이후 약 70초에 한 번씩 공격 반사를 사용하며, 가끔 혼란 상태로 만들기도 합니다. 모험가 전사에게는 매직 크래시가 다시 중요해지는 층으로, 공격 반사에 대응할 때 한 번은 타이밍을 잘 맞춰서 매직 크래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공격 반사는 매직 크래시로 없앨 수 없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즉, 방지만 가능하다는 것이죠.
매직 크래시 사용 여부와 사용 시의 타이밍은 스펙이나 빌드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는데, 이번 경우에는 첫 번째 공격 반사를 매직 크래시로 무시했고, 두 번째 공격 반사 땐 매직 크래시를 사용하지 않고 적용 시간 동안 일반 링에서 리스트레인트 링으로 교체했습니다.
또, 첫 번째 공격 반사를 매직 크래시로 넘기면서 집중적으로 공격하기 위해 49층에서 다른 시드 링 말고 일반 링으로 교체했지만, 공격 반사를 무시할 수 없는 직업은 처음에 웨폰퍼프 링을 사용하고, 첫 번째 공반 시간 동안 일반 링으로 교체하는 전략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매 공격 반사 직전에 매직 크래시를 사용할 수도 없는데, 매직 크래시에는 저항 시간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 공격 반사를 매직 크래시로 넘겼다면, 두 번째 공격 반사 직전에는 매직 크래시가 안 먹히는 게 대부분이므로 매직 크래시를 몇 번째 공격 반사 때 사용할지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51층 : 어떠한 상태 이상이나 버프도 걸지 않고, 어떠한 특별 행동도 하지 않는 완전한 샌드백입니다.
다만 시간이 약간 걸려서 시드 링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52층 : 표시된 체력이 M과 O 사이로 떨어질 때까지는 51과 마찬가지로 샌드백이므로, 처음에는 극딜을 사용하지 않고 평딜로만 진행하다가 표시된 체력이 O 부분까지 떨어졌으면 무적 스킬을 쓰고 무적 상태가 끝나기 직전까지 계속 평딜로 진행합니다.
표시된 체력이 M과 O 사이보다 더 떨어지면 평균적으로 약 10~15초에 한 번씩 '촤악~' 하고 실을 내뿜으며 플레이어를 석화 상태로 만드는데, 한 번도 석화에 걸리지 않기 위해 무적 스킬을 최대인 30초 내내 가동했습니다.
몬스터의 등에 나 있는 구멍이 빛나기 시작하면, 석화를 걸기 직전이었던 경우가 많았습니다.
무적 상태가 끝났을 때쯤에 스마이트 걸고 극딜을 퍼부으면 몬스터는 또 다른 행동을 하기 시작하는데, 바로 벼룩처럼 높이 올라갔다가 바닥으로 내려오는 것입니다.
이때 그 높이가 41층이나 45층에서처럼 조금 떠 있는 수준이 아니라 완전히 사라진 수준이므로, 몬스터가 올라가 있는 동안 플레이어는 거의 공격 불가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52층에서는 바인드, 극딜, 의지, 그리고 무적 스킬이 있으면 무적 타이밍을 맞추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또, 역시 51층에서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약간 걸려서 시드 링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마치며
공홈 캐릭터 정보, 핸즈 모두 열려 있습니다. (닉네임은 동영상에 나와 있습니다.)
다만 그쪽에서 보실 땐 장비 세팅이 사냥용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