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재설치 밖에 방법 없나요?
44GB 다시 다운로드 해야하나요?
와 같은 상황에 놓여보신 분이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오늘 저녁에 메이플을 잠시 끄고 키니 패치를 하길래 가만히 보던 와중에 오류가 발생하며 패치에 실패했습니다. 보아하니 지혼자 패치하다가 뭔가 실패하면서 꼬인듯한 모습이었습니다.
혹시 몰라 다른 프로세스에 접근하거나 컨트롤 할 수 있는 보안프로그램이 실행된 프로세스를 모두 종료하고 (저는 롤 켜져 있었습니다) 게임 런처로 실행하니 메이플이 켜졌습니다.
이때까지는 문제가 없어라 기도한게 먹혔나 싶었는데, 문제는 캐릭터 접속이었죠.
보시는 그림과 같이 캐릭터 접속 도중 팝업 창과 함께 접속에 실패했고, 내용은
"메이플 파일 손상됨^^ 다시 깔아오셈"
이었습니다 확실하지만 무식한 방법을 추천하네요.
하지만 저는 100Mb 인터넷을 쓰고 있어서, 44GB의 메이플을 재설치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었고, 개인적으로 이에 대해 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확인해봤습니다.
여기서부터 본론인데, 앞서 말씀드린대로 저는 처음 업데이트를 진행했을 때 패치에 실패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패치, 설치 프로그램은 자체적으로 로그를 떨구는 기능이 내제되어 있습니다.
물론 프로그램을 배포할 때, 낮은 레벨의 로그는 비활성화 시키지만 보통 치명적인 에러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리포트를 수집하기 위해 남겨두고 있기 때문에, 보통 남겨두는 편입니다.
메이플도 직접 개발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크게 다르지 않겠죠. 따라서 저희는 메이플이 설치된 폴더에 들어가서 직접 로그를 확인해서 문제를 파악하고, 직접 해결할 수 있으면 해결하고, 아니면 재설치하는게 현명하겠죠.
일반적으로 메이플이 설치되는 PATH를 건드리지 않았다면 C:NexonMaple 해당 경로에 메이플이 설치되어 있을겁니다.
해당 폴더에 들어가면 여러 파일들이 있을 텐데, 저희는 이 중에서 패치와 관련된 log 파일을 확인할겁니다.
일반적으로 window에서 임의로 떨구도록 구현된 log는, 데이터가 아니라 디버깅을 위한 텍스트가 들어있고, 개발자가 봤을 때 해당 파일이 log 파일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og 확장자를 사용하곤 합니다. ( txt라거나 다른 확장자로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케바케 )
다행이도 메이플은 보시는 바와 같이 .log 확장자로 되어있는 Patcher.log가 있습니다.
해당 .log에 대한 내용물 확인을 위해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는 필요없고, 메모장이든 뭐든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뷰어를 사용해서 열어봅시다.
출력된 로그를 보아하니 패치가 있긴 있었군요.
내부 00406_06 버전에서 00406_07 버전으로 패치 버전을 확인하고 패치를 시작한 모습입니다.
조금만 더 내려보죠.
패치를 위해 다운로드한 파일을 임시로 저장하는 tmp 경로에서 파일의 무결성을 CRC로 진행한 모습입니다.
업데이트 된 파일은 총 6개의 파일로 보입니다.
여기까지 특별한 문제는 보이지 않네요.
조금만 더 내려봅시다.
문제의 원인이 여기 있었네요. MapleStory.exe 파일 교체에 실패한 것으로 보입니다.
MapleStory.exe 파일을 패치한 파일로 대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에 대해 retry를 시작합니다.
혹시나 켜져있을 MapleStory.exe 프로세스에 대해 kill 을 날리고 process가 살아있는지 확인한 로그가 보이네요.
하지만 MapleStory.exe 파일 삭제에 실패했고, 임시 파일로 대체하지 못한 모습이 눈에 띕니다.
그렇게 총 15회 retry 했고, 모두 실패한 모습입니다.
이 문제가 발생한 원인이 ~때문이다 단정지을 수 없으나, 해결 방법은 명확하게 눈에 보입니다.
교체에 실패한 임시폴더 내부의 00006.tmp 파일을 현재 MapleStory.exe와 교체해주면 될 것 같네요.
Maple 폴더 내부에 이와 같이 임시 폴더가 다행이 아직 남아있는 모습입니다.
아마 패치 완료 후 임시 폴더를 정리하는 코드가 있었으나, 오류로 인해 진행하지 못했기 때문이겠죠.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임시폴더를 날릴 수 있는 예외처리를 해놓지 않아서 다행이네요. 들어가봅시다.
익숙한 파일이 있습니다.
남은 패치를 직접 진행해봅시다.
1. 임시 폴더 내부의 00006.tmp를 복사해서 Maple 폴더로 옮기기.
2. 기존 MapleStory.exe 파일을 백업하기 (MapleStory.exe_backup 처럼 기억할 수 있게 이름 바꾸기. 혹시 모르니까)
3. 00006.tmp 파일을 MapleStory.exe 파일로 변경하기.
이제 실행해서 잘 접속되는지 확인해봅시다.
나이스 ^^
+ 성공하시면 백업한 maplestory.exe 날리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