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파티 인벤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소설] 라이트노벨 작가 지망생에게 현실을 가르쳐주지

아이콘 오토코노코
조회: 4794
2015-06-15 00:10:31

출처 : http://nyankobiyori.com/articles/40192.html


라이트노벨 작가 지망생에게 현실을 가르쳐주지




1: 名無しさん 2015/06/08()23:41:38 ID:jgj


출판 하고 폭망한 쓰레기 작가가 심야에 몰래 가르쳐 주지

       

2: 名無しさん 2015/06/08()23:42:30 ID:YGx


라노벨이 아니라 일반 소설 작가 목적으로 하고 있어


6: 名無しさん 2015/06/08()23:44:08 ID:jgj


>>2 

힘내라진짜로 힘내노력하고 있겠지만

라노벨 이상으로 수요가 줄어 매출이 어려운 상태지만일반 소설은 진짜로 중요해


3: 名無しさん 2015/06/08()23:43:08 ID:bxF


왜 꿈이 된 거야


6: 名無しさん 2015/06/08()23:44:08 ID:jgj


>>3  소설을 출판 하는 것이 꿈이기 때문에


4: 名無しさん 2015/06/08()23:43:21 ID:GyV


애니메이션화 되지 않는 라노벨은 라노벨이 아니라고 증조부에게 들었어


6: 名無しさん 2015/06/08()23:44:08 ID:jgj


>>4 

너무해팔리지 않으면 쓰레기냐


7: 名無しさん 2015/06/08()23:44:18 ID:OUF


인기 나왔다고 우쭐해서 하세쿠라 같은 짓을 하면 안 된다고-(´・ω・`)


*하세쿠라 : 하세쿠라 이스나늑대와 향신료 작가


8: 名無しさん 2015/06/08()23:44:44 ID:jgj


>>7

어떤 일이라도 우쭐해져선 안 되지겸손한 태도가 중요해


11: 名無しさん 2015/06/08()23:45:53 ID:rPg


프슈케의 눈물 같은 재밌는 라노벨 적어줘


12: 名無しさん 2015/06/08()23:45:57 ID:jgj


일단 『소설가가 되자』 등의 투고사이트나 출판사의 신인상 등라노벨 작가가 될 수 있는 기회는 늘어나고 있어.

이것은 옛날 보다 좋은 점이야.

하지만 동시에라이벌이 늘어나서 생존하기가 힘들다는 면도 있어


13: 名無しさん 2015/06/08()23:46:10 ID:h9O


소설가가 되고 나서는 취미로 꾸준히 쓰고 있습니다


14: 名無しさん 2015/06/08()23:46:41 ID:jgj


>>13 나도 처음은 꾸준하게 썼어그것이 상을 받고 소설화가 됐어


15: 名無しさん 2015/06/08()23:47:34 ID:RT0


공무원 하면서 인기 라노벨 작가가 된 사람도 있구나


19: 名無しさん 2015/06/08()23:49:39 ID:jgj


>>15 

부업으로 작가를 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해


16: 名無しさん 2015/06/08()23:48:27 ID:jgj


수상 확률은 올라가고 있어.

그러나 그것으로 데뷔했다고 골이 아냐

한 권의 시점에서 매출이 할당량에 닿지 않으면시리즈를 계속 할 수가 없어


17: 名無しさん 2015/06/08()23:48:48 ID:ymZ


나 외에도 라노벨 작가 있었나

뭐 내 경우는 누계 2만부밖에 팔리지 않은 잡어지만


19: 名無しさん 2015/06/08()23:49:39 ID:jgj


>>17 

발행 부수가 아니라 판매?

그렇다면 가슴을 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21: 名無しさん 2015/06/08()23:52:12 ID:L0y


>>17

충분히 굉장한데


20: 名無しさん 2015/06/08()23:51:40 ID:YLI


전격, MF, 후지미 이외는 쓰레기


22: 名無しさん 2015/06/08()23:52:30 ID:jgj


개인적인 예라 미안하지만

나는 데뷔작으로 1만부 찍었어인세로 40만엔을 얻었지

대학생인 나에게는 큰 돈 이였지만만일 3달에 한 권 속도로 낸다면 연봉은 160정도.

사회인으로서 자랑 할 수 있는 수익이 아냐


>>20

그 정도가 대형 출판사지그러나 전격의 작가라도 살아남는 것은 소수야


25: 名無しさん 2015/06/08()23:53:54 ID:KFO


>>22

~~~~

확실히、「취미로 적은 소설로 40만」이러면 , 가 되지만

「일로 적은 소설로 40만」이라면 「에…」 가 되네


24: 名無しさん 2015/06/08()23:53:42 ID:YTr


마오유우의 작가 체포 됬다고 하네

라노벨 작가는 모두 저렇게 기분 나쁜 모습의 아저씨야?


26: 名無しさん 2015/06/08()23:54:34 ID:jgj


>>24 

평균 연령은 30~40세 정도

그 사람 작품의 팬이었기 때문에 진짜 충격


28: 名無しさん 2015/06/08()23:55:09 ID:pp2


애니화 되거나 상당한 인기 작가라고 생각되는 사람도 후기 읽으면 부업 작가라고 알게 되는 패턴이 많더라고

 아무튼 보통으로 생각해서 뭔가를 계속 만들다니 힘들겠지

샐러리맨 만세


29: 名無しさん 2015/06/08()23:57:35 ID:jgj


데뷔하고 애니메이션화까지 가는 작가는정확하게 통계를 받은 것은 아니니까 대충 보자면 전체 10%도 못 미칠 거라고 생각해

대체로 데뷔해도 조기 중단 되거나 4권정도 내고 종료 6권까지 낼 수 있으면 애니메이션의 이야기도 오겠지


31: 名無しさん 2015/06/09()00:00:09 ID:uz6


신인상 수상자도 인터넷 소설가도자신이 생각한 이야기를 책으로 내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그대로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담당과 편집부의 의견을 받아서 수정 해야 한다무조건이다.

원활하게 진행되면 좋지만좌절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32: 名無しさん 2015/06/09()00:02:05 ID:uz6


그렇게 무사히 출판해도매출이 떨어지면 아웃이야

나는 1만부 찍고, 6천권 팔렸어

그러나 할당량의 70%에 닿지 않았기 때문에 속편을 내지 못하고 1권으로 중단이 되었지


33: 名無しさん 2015/06/09()00:05:21 ID:uz6


나의 패인으로는

취미에 치우쳐 너무 고객을 향해 있지 않았어

독자를 즐겁게 하는 프로 의식이 낮았다

간단한 경험지식실력 부족

이런 것이 있겠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패인이 있어


34: 名無しさん 2015/06/09()00:05:30 ID:cf2


6천권이나 팔렸다니 굉장하지 않아?


37: 名無しさん 2015/06/09()00:08:11 ID:uz6


그것은 고정 팬이 적다’ 라는 것이지.

투고 사이트에서 출판을 노리는 사람은 잘 들어고정 팬은 어쨌든 중요해.

항상 연재를 읽어주고 있는 사람이 많을수록데뷔 후에도 도서를 구입해줘서 살아남기 쉬워져.


조그마한 사이트 출신의 나는 약 200명의 고정 팬이 있었지만그 모두가 구입한다고 하더라도 미미하지


38: 名無しさん 2015/06/09()00:10:42 ID:uz6


재미있고 팔리는 작품을  쓸 수 있으면 아무 문제 없어

그런 재능이 있는 사람은 순조롭게 애니메이션화까지 가길 원해.

그러나 실제로 그런 사람은 많지 않아그러니까데뷔 행복 절정의 신인이 절망 하지 않도록 나는 메시지를 보내고 싶어


39: 名無しさん 2015/06/09()00:13:08 ID:uz6


담당과 편집부의 의견은 순순히 들어주는 것

이러니 저러니 해도 저쪽은 프로다출판의 노하우와 비즈니스적인 것에는 익숙하지

조건이나 양보 할 수 없는 부분이 있어도 조언을 받아들이면 작품의 퀄리티는 상승하지

그러나 도저히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있으면 잘 상담하는 것이다


40: 名無しさん 2015/06/09()00:14:56 ID:uz6


고정 팬을 중요시하는 것

고정 팬이 그대로 출판 후에 구매층이 된다.

인터넷 시대에 비판과 욕을 쓴 경우도 있을 것이다하지만 화가 나서 싸움을 하거나팬을 줄일 짓을 하지 마라

가장 나쁜 것은 좋은 평가 나쁜 평가도 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42: 名無しさん 2015/06/09()00:17:14 ID:uz6


독자를 의식하는 것

데뷔 적에는 제멋대로 좋아하는 것만 쓰게 된다.

그러니까 그것이 상품이 되면당연히 사줄 고객을 생각해야 한다.

하렘물이나 나 TEEEE*가 인터넷에서 평판이 나쁘더라도그것이 팔린다면 정의니까


*오레TEEEE(俺ツエー) :  + 강해의 합성어주인공이 먼치킨인 작품


54: 名無しさん 2015/06/09()01:20:48 ID:TiS


>>39 >>40 >>42가 주된 주장이군


55: 名無しさん 2015/06/09()01:22:27 ID:uz6


>>54

그런 것 같아

그렇지만 나는 실패를 바탕으로 썼기 때문에 반드시 적용된다고는 할 수 없다.

어쨌든 출판 데뷔 한 사람이 절망하지 않도록이라고 생각했어


41: 名無しさん 2015/06/09()00:17:08 ID:5ae


이제 그만 둘 생각이야?


43: 名無しさん 2015/06/09()00:19:00 ID:uz6


>>41

중단 되었지만담당이 새로운 기획을 마련해 보라고 말해 줬으니까.

여름 정도에는 신작을 낼 것 같아

뭐랄까 중단 되고 나니 진심이 되었어

원래 쓰고 싶어서 썼었으니그만하라고 말해도 그만 둘 생각은 없어


44: 名無しさん 2015/06/09()00:21:27 ID:uz6


누구든지 『글 쓰는 것이 좋으니까』 라고 생각할거야

자신의 상상한 스토리를 적어서 많은 사람 사람들과 두근두근 하고 싶어

그런 마음을 잃지 않으면 데뷔하지 않아도 누군가가 분명히 평가해 줄 거야


45: 名無しさん 2015/06/09()00:23:18 ID:f3r


출판사를 통해 라노벨을 써서 먹고 사는 것은 어렵다는 인식.

그 필력을 살려 뭔가를 연구하면 잘 될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 유행하니까 더 입문하기 쉽고 많은 사람이 읽어 줄 것 같은 방법이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드는군


47: 名無しさん 2015/06/09()00:25:42 ID:uz6


>>45

개인 출판하는 것은 시나리오 작가가 되거나

실력이 있으면 방법은 여러 가지 있다고 생각해

하지만 가장 확실한 것은 착취 당하지만 출판사 기술과 선전에 의존하는 거지


46: 名無しさん 2015/06/09()00:24:01 ID:uz6


줄줄 적었지만 전하고 싶은 것은 대체로 적었어

어쨌든 꿈을 쫓는 사람은 힘내길 원해

적어도 나는엄청 재미있는 작품이 좀 더 세상에 증가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48: 名無しさん 2015/06/09()00:28:58 ID:Ope


개인이면 1만권 인쇄도 파는 것도 힘들어


50: 名無しさん 2015/06/09()00:31:13 ID:sSL


>>48

이거라면

코미케던가제법 있다고 생각해


53: 名無しさん 2015/06/09()01:17:40 ID:uz6


아직 남아있는 사람 있어?

질문 이라던지 있으면 간단히 대답해 줄게-


56: 名無しさん 2015/06/09()01:28:12 ID:ygh


직접 전격 같은 곳에 보내는 것 보다는 인터넷 투고가 좋다는 소리야?


58: 名無しさん 2015/06/09()01:31:16 ID:uz6


>>56 

전격 수상 같은 것은 고정 팬은 없지만 『박*』이 붙지

대상이라던가 그런 것은 기대치도 크지당연히 팔리지 않으면 대상작품이라고 해도 중단하지만


* : 상으로 인해 평가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


57: 名無しさん 2015/06/09()01:28:50 ID:rLR


수상해도 팔리는 것은 운이지


58: 名無しさん 2015/06/09()01:31:16 ID:uz6


>>57 

운도 실력이지하지만 아무리 운이 좋더라도실력 없는 놈은 도태된다.

나는 운 좋게도 출판 했지만실력이 없어서 중단되었지


59: 名無しさん 2015/06/09()01:33:08 ID:TiS


팔리는 장르에 맞추지 않고 제멋대로 하는 것은 고정 팬을 버리는 거지


61: 名無しさん 2015/06/09()01:37:32 ID:uz6


>>59 

균형의 문제야

아첨만 떠는 것은 재미가 없고

그렇다고 너무 개성 있게 해도 신규 독자가 생기지 않지


60: 名無しさん 2015/06/09()01:33:23 ID:bEG


라노벨 따위 나 TEEEE 계나 나 Motemote* 계 뿐인데 고생할 것이 있는 걸까


* Motemote  : 나 인기 많다 의 합성어 하렘 물을 의미.


61: 名無しさん 2015/06/09()01:37:32 ID:uz6


>>60 

패턴은 치우쳐져 있지만잘 차별화 해서 기본을 바꾸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

고생 없는 직업 따위 없다고 생각해


62: 名無しさん 2015/06/09()01:40:28 ID:uz6


라노벨은 실제로 고등 취미나 직업이라고는 말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

그렇다고 얕보면 무조건 성공 할 수 없어

나는 약간 얕보고 있었다출판 했고 애니메이션화까지 여유라고 생각했다.

현실은 그런 나의 멸시를 훌륭하게 꺾었지


63: 名無しさん 2015/06/09()01:46:48 ID:xg7


라노벨 작가 희망인 내가이야기를 듣고 가슴이 아파오기 시작했어


64: 名無しさん 2015/06/09()01:52:25 ID:uz6


>>63

나는 단지 노력하면 좋겠다 라고 말할 수 밖에 없어

그냥 쓰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아무리 현실이 어려워도 썼으면 좋겠어

나는 누군가에게 명령 받은 것도 아니고좋아서 쓰고 프로가 될 수 있었다.

가능성은 어떤 사람이라도 있어


65: 名無しさん 2015/06/09()02:20:38 ID:tNK


데뷔 전에는 하루 얼마나 썼어?

아니면 뭔가 특별한 습관 같은 것이라도 있었어?


67: 名無しさん 2015/06/09()02:59:39 ID:uz6


>>65 

하루 30분으로 천 글자 적었어.

특별한 것은 아무 것도 하지 않았지만어쨌든 매일 썼어. 

49: 名無しさん 2015/06/09()00:31:00 ID:uz6


결코 데뷔가 골이 아니야

오히려 출판이 결정 되고부터 승부다

그것을 작가 지망생들은 알아두길 바래


51: 名無しさん 2015/06/09()00:49:18 ID:sSL


그래수고했어 -


-------------------------------------------------------------------------------------------




라이트 노벨 작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은 없었는데, 번역하다보니 제법 알게 된 것이 많군요.


Lv76 오토코노코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