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쿨1초고정
무속성 딜
활 기준 상성
천, 가죽에게는 12.5%만큼 스킬대미지가 최종적으로 증가하며
광란은 무속성이라 방어구에 따른 증뎀이 따로 없으며 유체에겐 50%의 대미지만 들어감
1. 무빙이 심해질수록, 딜을 못하면 못할수록 그 만큼 광란딜 비중이 높음
↔ 말뚝 샌드백일수록, 스킬을 낭비없고 딜사이클을 잘굴릴수록 광란딜이 차지하는 비율은 그만큼 상대적으로 낮아짐
2. 천, 가죽에게는 광란딜의 비중이 떨어지고(활 스킬은 12.5%최종증뎀을 받고 광란은 증뎀을 받지 않으니)
판금, 무방어구에게는 광란딜의 비중이 높음
유체로 가면 딜순위가 5~7위에 랭크되어짐
3. 직업자체가 모든스킬계수의 합이 낮을수록, 쓸 스킬이 별로없어서 현탐이 있는 직업일수록 광란비중은 높음(감정사와 같은)
4. 자기직업이 좋아하는 상성땐 광란의 비중은 낮고
아무 득을 못보는 방어구일땐 오히려 광란의 비중이 높다라는 말
레플메, 주레딜로 본 솔플 기준 광란 비중 참고 - 무빙이 잦은 주간과 그냥 제자리 샌드백 주간이 섞여있음 참고
천, 가죽 10%~11%
판금, 무방어구 12%~13% - 천 가죽일땐 스킬딜이 12.5% 최종증뎀을 받지만
판금과 무방어구는 증뎀이 없으니 상대적으로 광란비중이 올라감
유체 6~7%
예전에 자게에 올린 주레영상 악마'판금', 운석 무한낙하 버그로 인해 주레내내 도망다니게 되니
비중이 가장 높게 나오는 형태를 보여줌
광란은 쿨감의 영향을 못받으므로
위의 상성에 따른 광란딜의 비중이 차이나는것과 비슷한 원리로
파티시너지가 있으면 비중이 떨어지게 된다고 볼 수 있음
- 대략 타 스킬은 1.25배만큼 자주 쓸수있게 되지만
광란의 틱 간격은 내부쿨1초를 벗어날수 없으므로 쿨감이 있으나 없으나 변화가 없게되고
상대적으로 솔플때보다 비중이 떨어지게 되어있음
종합해보면 무기종류 활, 딥디쿨감이 있는 파티 플레이의 경우에 광란 비중
천 가죽 8%~9%
판금 무방어구 9.5%~11%
유체 5%
정도라고 추론해볼수있습니다
3인장 기준
21강10초월 카랄과
21강10초월 루시페리의 비교
스탯을 모두 고려한 깡물공차이 1500가량(최종적으론 딜이 5%가까이 차이가 날 듯)
카랄은 평균적으로 높은 치발과 합연산 증뎀50%
루시페리엔 광란딜
대충 유체는 보스의 패턴이 쉽냐 무빙이 잦냐, 기믹이 무빙을 강요하느냐 아니냐, 치저가 높냐 낮냐를 고려했을때
카랄과 루시페리는 아주 미세한정도로 둘중 하나가 더 좋을수 있을정도가 되겠고
나머지 방어구는 파플 솔플 안가리고 루시페리가 1%~5% 정도는 세다 정도로 생각되어집니다.
그보다 얼마전에 지인분이랑 왜저는 광란딜높고 그분은 낮은가에 대해 토론한적이 있는데 걍 제가 못하는거였군요 ㅋㅋㅋㅋㅋㅋ
광란을 7분내내 안끊기게 유지 시키고
1초의 낭비도 없이 터뜨렸느냐에따라 다를것이고(출혈틱이나 화상틱 이런거로 풀타격)
광란딜 비중에 대해 말씀하신거라면
아무래도 다른스킬을 더 잘굴려서 다른스킬들의 비중이 높은사람이
상대적으로 광란딜의 비중이 낮게 나왔을것같네요
질문 두가지 올려보겠습니당!
1. 딜링을 잘 하고 있다 여부가 광란지분과 반비례라 생각해도 되나요?
2. 유체 뎀감여부는 실험해보신건가유? 제 능력으론 정보를 찾을 수가 없네유...
딜을 잘하나 못하나 차이가 엄청 크지는 않을테니 광란딜의 비중도 항상 비슷할겁니다만 상당히 완만한 곡선을 보여주는 반비례관계를 보여줄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주레7분간 광란은 딜을 잘하나 못하나 10억 고정인데
다른스킬을 90억을박냐 95억을 박냐에 따른 광란비중 차이만큼 나는거죠.
2. 네. 만들자마자 비중이 항상 차이가 나길래 이상하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어제 유체 주레를 쳐보고 너무큰 차이가 나서 테스트 해봤습니다.
보라카드에 라자펄을 끼는건 저는 별로가 아닐까 싶네요.
석화고래 한장+게이징2장 혹은 필요시 명중이나 치발카드
이쪽이 나은것 같아요
넘어지게 만드는 애들이 워낙 많아서
대충 정리하자면 모든 종족 및 방어구 타입, 기믹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통상 루시는 카랄대비 0%~7% 내외의 최종뎀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네요.
어떤경우라도 같거나 이상의 성능을 보장할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