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트오세 일본 위키위키의 번역본입니다.
1. 스킬명은 그냥 번역할게요. 한국꺼로 다시 확인하기가 귀찮아ㅅ...
R7 페더풋
요약
HP 흡수, 저주와 관련된 기술을 취급하는 공격형 클래스
HP 흡수와 관련된 기술은 야수, 악마, 곤충형만 적용되며, "출혈 디버프 내성"에는 효과가 없는 제약이 있다.
디버프 저주와 관련된 기술은 마법 방어력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어 디버퍼에 가까운 해석도 가능.
반면 화력은 R7 군 중에서도 낮은 편에 속하기에 다른 클래스의 지원이 필요하다.
R8 에서 높은 화력의 스킬이 추가되었지만, 사용 조건이나 환경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안정성이 극도로 부족한 편이다.
스킬목록

블러드 배스
* HP 회복 효과를 받고 있을 때, 상단 버프가 추가된다.
* 몬스터가 링크되어 있을때, 공격한 대상(대상이 적절한 대상인 경우)에게만 출혈 웅덩이가 생성된다.
- 링크된 대상에게도 대미지는 공유한다.
* 대상이 야수, 곤충, 악마타입이 아니라면 첫 히트의 대미지만 발생한다.
* 아군도 피 웅덩이에 서있으면 체력이 회복된다. (컴패니언에겐 적용되지 않음.)
* 한국 서버에서는 대미지 비율로 회복되게 된 것으로 추정
- 어쩌면 플닥처럼 된걸지도.
- HP 회복력의 영향을 받아 기술란의 표기된 수치보다 많은 양을 회복한다.
- 애니무스 등의 방법으로 HP 회복력이 0이 되어도 본래 자신의 HP 회복력을 참조하는 모양.
* 서클링이나 행멘스 낫의 스플래시 방어 특성 등의 디버프로 광역 방어 비율을 0으로 만든 적을 복수 타격할 경우, 동시에 적중시킬 수 있다.
* 첫 히트 + 출혈 12히트로 총 13히트의 피해를 준다.
- 블러드 배스의 디버프가 5초 지속되는 동안 0.4초마다 대미지 판정이 발생한다.
* 출혈하는 동안 해제가 가능하다.
* 히트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라 강력하기는 하지만, 출혈당하는 대상이 한정적인 면이 난점.
* R8에서 워록이랑 결합할 수 있을지도?

블러드 서킨
* HP흡수 효과를 야수, 악마, 곤충 타입에게만으로 한정 (2016/1/14 이후)
- 야수, 악마, 곤충 타입 이외에게도 대미지는 들어간다.
- 인터스루터 글러브를 착용할 시, 변이, 식물형에게도 HP를 흡수할 수 있다.
* 최대 지속시간은 10초, 총 24 HIT
* 공격 한 방에 쉽게 취소되기 때문에 상대를 제압하거나, 슈어스펠이 필요.
* 슈어스펠을 하고도 쓰러지거나 밀려나면 취소된다.
* 스킬을 시작할 때, 광역 반경에 있으면 대상이 도망쳐도 효과가 지속
- 역으로 발동하고 나서 범위에 들어오는 적에게는 효과가 없다.
* 운가둔디보다 넓은 전방 범위 공격
* 조인트 패널티에 연결된 대상에게 사용하는 경우, 대미지와 함께 흡혈 판정도 공유한다. 흡혈 범위 내에 흡혈 대상이 없어도 연결 대상중에 있으면 히트수만큼 흡혈하게 된다. (2016/11/30 패치 이후 적용되지 않음.)

본 포인팅
* 마법사의 통상 공격처럼 보이지만 비관통의 직선형 공격
- 적이 이동하고 있으면 맞추지 못하고, 적과의 사이에 오브젝트(파이어볼, 아이스월 등)가 존재하면 그것에 히트한다.
* 2서클의 특성은 외형상으론 다단히트하지만, 계산상으로는 1Hit
* 소환된 뼈 조각은 어그로를 먹기 때문에 방패로 던져주는게 가능
* 저주의 효과 시간은 뼈의 공격이 적중할 때마다 갱신된다.
* 조인트의 연결 대상에게 저주가 전파된다. (2016/11/30 패치 이후로 적용되지 않음.)
* 뼈 자체에 체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공격을 받으면 파괴된다.
- 2016/11/30 패치 이후로 넉백, 다운에는 면역
* 저주는 보스에게도 효과가 있다.
* 스킬을 다시 사용했을 때, 먼저 소환했던 뼈는 지속시간이 남아있어도 파괴된다.
* 대미지 계산식은 현재 불명.
* 공격속도는 1회/1.5초
* 카다이챠의 추가 대미지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면, 이 스킬의 저주에도 발동한다.

운가둔디
* 매우 좁은 범위지만 일단은 여러 명에게 적중이 가능
* 부패 디버프를 제공
- 미사일 대미지를 100% 증가
- 링크된 대상에게 전부 적용 (11/30 패치 이후로 적용되지 않음)
- 최대 HP를 초당 3.75% 감소
- 부패 Lv 1. 13초 지속시 최대 HP를 50%까지 감소
- 부패 Lv 5. 25초 지속시 최대 HP를 93.75%까지 감소
- 부패는 몬스터를 쓰러뜨릴 수 없다. 최소 HP 1은 반드시 남아있다.
- 제 2 마족수감소의 수감된 피렌트와 같은 적이 방어막을 치더라도 효과가 계속 적용되므로, 방어막이 만료된 후에 쓰러뜨리기가 쉬워진다.
- HP 14만의 몬스터에게 디버프가 25초 걸리면 남은 HP는 약 3만 4천이 된다.
- 보스에게는 효과가 없다.
- 디버프중에 대미지를 주더라도 HP의 감소속도를 가속화하지는 않는다.
- 부패는 몬스터의 현재 HP와는 독립적.
- 아우슈리네, 스트레아트로페, 마캉달 등의 무적을 쓰더라도 HP 최대치를 줄일 수 있다.
- 디버프에 의한 대미지 표기는 나타나지 않는다.
- 저항하는 몬스터도 있기 때문에 과신은 절대 금물.
* 쏘마터지의 스웰 바디 (크확) 를 사용해서 HP를 2배로 늘리면 최대 HP를 참조한 대미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체력을 줄여버릴수 있다.
- 그러나 사냥에서 여러 대상을 상대로 사용하려면 먼저 행맨스 낫으로 여러 마리를 묶더라도 각각의 객체에게 스웰 바디와 부패가 효과 저항하지 말아야하기에 성공률이 낮고, 부패만으로 감소시키길 바란다면 그만한 시간을 기다려야만 한다. (스웰바디 Lv 1. 운가둔디 Lv 1 을 기준으로 13초) 또한 운가둔디 자체의 효과 범위가 좁아 빗맞히기가 쉽고 현실적으로는 어렵다.

카다이챠
* 카다이챠를 배우지 않아도 특성은 배울 수 있다.
* 본 포인팅의 저주 효과에도 2배 대미지의 기회가 있다.
* 버튼을 떼면 종료하는 유형의 기술이므로 카다이챠 사용 중에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 없다.
* 공격을 받으면 중단되어버리므로 적 한가운데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슈어스펠이 필요
* 날고 있는 대상에게는 효과가 없다. 조인트 패널티를 사용하더라도 저주를 걸기 위해선 직접 걸어야한다.
* 1번 누적되어 효과가 사라질 것같은 몬스터에게 갱신되지 않는다. 버그인지는 불명.
* R8 환경에서 링커를 넣은 빌드에서 솔로잉을 위한다면 카다이챠를, 보스 기여도를 높이고 싶다면 본 포인팅을 선택할 것.
2서클

쿤데라 슬래시
* 운가둔디와 달리 광역 스킬
- 대상의 광역 방어 비율이 0이라면 여러 객체에도 적중이 가능 (범위는 적 1.5개체정도로 작다)
* 오버히트 3회이지만 모션이 있기 때문에 연타를 아무리 열심히 해도 초당 1타정도
* 카다이챠로 저주를 여러 객체에 묻혀놓고 링커로 묶고 패는 콤보가 강력.
- 평범한 장비로도 300레벨 이상의 높은 내성을 가진 맵의 몬스터에게 유효타를 먹이는게 가능하다. (슈어스펠 필수콤보)
* 행멘스 낫-스웰 바디-쿤데라 하면 스플래시 방어 특성 디버프의 지속시간이 3초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늦는 경우도.

레비테이션
* 하단 버프 (우클릭으로 해제가 가능)
* 비행중 휴식할 수 없다.
* 비행중 사용할 수 없는 기술이 있다.
- 페더풋 스킬 : 블러드 배스, 운가둔디, 카다이챠, 쿤데라 슬래시
- 페더풋 이외의 스킬 : 스피리추얼 체인, 스노우 롤링

블러드 커스
* 범위 내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4~5 객체 정도? 광역 공격 비율 무제한? (검증 필요)
* 조인트 패널티로 연결하면 독 추가 대미지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 파이어 볼과 아이스 월에도 대미지 판정이 있기 때문에 전부 한번에 조인트 패널티로 묶는 경우, 조인트의 특성과 결합하여 엄청난 대미지를 기대할 수 있다. (더티 폴은 미검증)
* 퀵캐스트의 특성을 적용받는다.
* 원소 속성에 영향을 받는 독 속성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대지 속성에게 +50%, 독 속성에겐 -50%
* 마을에서 죽는 경우에도 내구도는 착실하게 줄어든다. 놀 때는 반드시 전라 자폭을 하도록 하자.
* 대미지 계산식은 [스킬 공격력(마법 공격력과 마법증폭 변동치) + Max HP * 0.8]*퀵캐스트 특성
* 무적 상태 (아우슈리네 또는 스트레아트로페) 에서도 HP는 소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