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릭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드루이드] 쉐입시프팅에 대한 정리

Lollie
댓글: 14 개
조회: 2441
추천: 5
2016-02-16 09:31:49

이 글이 패치로 인해 쓸모없어지는 날을 기약하며

 

 

 

 

 

 

쉐입시프팅은 몬스터로 변신해서 싸울 수 있는(?), 육식화, 스트레아 트로페와 더불어 드루이드 기술 비중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무려 특성만 하더라도 육식화 특성과 코르타스마타 지속시간 특성을 제외하면 전부 변신밖에 없을정도로, 비중이 높다고 할수 있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육식화의 상대적인 효용성이 너무 높은데다, 툴팁이 단순함에도 6랭크 이후에나 찍게 되는 심적 부담감으로 인해 저처럼 아둔한 마루ㅌ.. 실험자가 없어서 뜬구름 잡는 소문이 무성한 스킬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글로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쉐입시프팅 (1/10)

"전방에 위치한" 동물형, 식물형, 곤충형 몬스터로 변신하여 [몬스터의 스킬] 을 사용할 수 있음.

스킬레벨당 10초 지속시간 증가.

 

 

* 스킬 레벨 상승시 증가하는건 "지속시간" 뿐입니다. 다른 부가적인 효과가 있을거란 짐작은 전부 헛소문입니다.

* 변신은 오로지 적대 오브젝트만 가능합니다. 컴페니언, 동료 드루이드의 변신, 아군이 된 몬스터는 적대적으로 성향을 바꾸지 않는 한 변신이 불가합니다.

* 변신은 자신의 타겟팅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운 전방에 위치한 몬스터가 지정됩니다.

따라서 만약 변신자와 목표 사이에 변신이 불가능한 적대 오브젝트가 있다면, 표적이 변경되어 변신은 실패합니다.

* 마찬가지로, 전방에 위치해야하기 때문에 영창 중에 오브젝트가 시전자의 뒤로 돌아간다면, 변신은 실패합니다.

* 변신은 동물형, 식물형, 곤충형 몬스터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형태의 몬스터를 식물형 몬스터로 바꾼 후에 변신할 수도 있습니다.

코르타스마타는 지상 판정이기 때문에 공중형 몬스터는 코르타스마타를 이용해서 변신할 수 없습니다.

물론 이미 동물형, 식물형, 곤충형인 몬스터는 공중형이더라도 변신이 가능합니다.

* 엘리트 몬스터와 보스 몬스터로는 변신이 불가능합니다.

해당 몬스터는 체력바로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엘리트 몬스터보스 몬스터

 

현재로서는 무슨 짓을 써도 변신이 불가능하니까, 해당 몬스터는 깔끔하게 포기합시다.

 

* 추가적으로 엘리트나 보스형이 아님에도 변신이 불가능한 몬스터가 존재합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나무뿌리수정, 기티스 개척지의 주홍 사크몰리, 골렘류입니다.

* 고정형 몬스터로도 변신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고정형 몬스터 상태로 움직일 수도 있습니다. 해당 몬스터의 예시로는 시드미아, 멀스태츄 등이 있습니다.

 

 

 

 

변신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스킬 UI가 이렇게 단순하게 변하면서, 몬스터의 기술과 변이 해제만 남게 됩니다.

(이미 여러분은 폰드 설득 퀘스트에서 한 차례 경험해보셨을겁니다.)

따라서 변신 중에는 캐릭터의 본래 기술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몬스터의 기술은 아직 툴팁이 단 하나도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사용해보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툴팁에 명시되어 있듯이, 변신시 사용할 수 있는건 [몬스터의 기술] 뿐입니다.

[최루]. [아이스파이크]. [캘드롭 뿌리기]. [마그네틱 포스]. [디드 오브 밸러]... 등등

과 같이 몬스터가 기술 이름을 영창하며 사용하는 기술은 엄연히 [캐릭터의 직업 기술] 이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합니다.

(현재로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 대해 필자 본인을 이렇게 납득시키고 있습니다.)

 

* 변신시 능력치는 특성 추가치를 제외하고 캐릭터의 능력치를 완전히 따라갑니다.

따라서, 260 필드에서 여러분을 3~4방에 눕혀버리는 몬스터로 변신한다고 한들 그 데미지가 나오진 않습니다.

* 몬스터 공격의 딜레이를 그대로 모방하기 때문에 공격선모션과 후모션이 모두 존재합니다.

후모션은 트오세의 다른 모든 기술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빙을 통해 캔슬이 가능하나, 선모션은 캔슬이 불가합니다.

* 기술마다 물리공격과 마법공격, 타격, 찌르기, 베기속성, 원소속성이 전부 다릅니다.

물리 공격과 마법 공격은 각각 자신의 물리공격력, 마법공격력에 영향을 받으며, 기술마다 확인법은 직접 써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 쿨타임이 존재하는 기술도 있으며, 대개는 기술의 선모션+후모션을 모두 합친 시간안에 쿨이 돌아옵니다. 다만, 전방위 마법류나 특수버프류 같은 경우 상당히 긴 쿨타임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 공격기술마다 데미지배율이 다르며, 현재까지 실험한 몬스터의 최대치는 공격력의 약 100~105%정도 데미지, 최소치는 공격력의 약 20%의 데미지입니다. 다단히트 기술은 배율이 낮으며, 특히 특수판토의 8단히트나 리자드맨의 다단히트 박치기는 공격배율이 매우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 변신 전에 걸려있던 버프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쏘마터지의 버프를 받으면, 자신이 강해진듯한 착각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몬스터의 기술도 엄연히 기술판정이기 때문에, 기술이 받는 가중치를 적용받습니다.

블레싱과 같은 강화류 버프나 속성 공격력으로 데미지를 늘리는게 가능하지만, 카프리선이나 사크라멘트같은 추가타 혜택은 받지 못합니다.

* 몬스터의 평타는 무조건 A키로 사용하는 기술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Z키로 평타를 치려고하면, A키와 동일한 딜레이의 기술모션을 보여주나 어떠한 데미지 효과도 주지 않습니다.

* 당연한 이야기지만, 몬스터의 기술은 기술마다 광공비가 다릅니다. 현저하게 낮은 기술도 존재하며, 예를 들어 케파의 입냄새는 광공비가 0으로 무조건 1개체만 적중합니다.

 

 

 

 

제가 알아낸 바는 여기까지입니다. (더 있을수도 있지만 지금 당장은 기억이 안남.)

 

진짜로 변신답게 사용하려면, 쉐입시프팅은 변신 저장용으로 1개만 주고, 트랜스폼을 이용해서 활동하는게 가장 용이하며, 현재로서 쉐입시프팅을 마스터하는건 쿨타임을 능가하는 지속시간이라는 매리트 외에는 어떠한 매리트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저야 애초에 변신에 꽂혀서 다른걸 상당부분 포기하면서까지 변신을 찍었지만, 특별한 변동이 없는한 쉐입 10렙을 다른분들께 추천하고 싶진 않습니다. 트폼쓰세요.

 

 

 

어제 받았던 QnA

 

쉐잎 10찍어도 지속시간만 늘어나죠? - 빌리님

네. 정말 순수하게 툴팁대로 지속시간만 늘어납니다. 약속을 지키는 신뢰의 기업 IMC.

 

1. 지능없이 육식화 딜 사냥할때 괜찮으신가요?
2. 공중몹 처리는 어떻게 하시나요?
3. 쉐입시프팅 지속시간이 트랜스폼에 적용안되나요, 둘이 따로따로 인가요?  - 소세지님

 

1. 안괜찮습니다. 지능찍으세요.

2. 대부분의 공중몹은 찌르기에 취약합니다. 그리고 저에겐 목각공격이 있죠. 최근엔 대충 3800씩 4타를 꽂습니다.

물론, 찌르기 취약몹이 아닌 공중형 골렘은 부엉이님이 해결해주십니다.

3. 따로 적용됩니다. 쉐입 1개만 주셔도 트폼 지속시간엔 영향이 없습니다.

 

 

더 궁금한점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드립니당.

 

 

 

 

다시한번

 

이 글이 패치로 인해 쓸모없어지는 날을 기약하며

 

 

Lv70 Lollie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