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DC 브랜드 리뷰

내댓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리뷰] 웨스턴디지털 WD RED NAS SSD/HDD 조합으로 NAS 시스템 성능 업그레이드 하자

아이콘 WDC
조회: 793
2020-03-23 17:31:19


WD에서 출시한 RED 시리즈 스토리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국내에서 개인을 대상으로 네트웍용 하드디스크를 출시한 회사가 제가 기억하기로는 웨스턴디지털의 RED 시리즈가 아닐까 합니다. 왜냐 제가 이 제품 출시했을때 테스트를 진행했으니까요 NAS에 넣어서요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서버 제품군의 스토리지나 벨로시랩터 같은 10000rpm 하드디스크를 주로 사용하다가 저전력이라는 이유로 WD Green 하드디스크 사용했는데 대기모드 전환과 내구성등으로 인해서 데이터를 날려버리는 일이 허다한 경우도 있었죠 그린하드가 NAS 용으로 판매한 제품은 아니였으니까요~~


여튼 RED 시리즈는 꾸준하게 발전했고 HGST와 통합 이후에는 엔터프라이즈쪽 환경보다는 개인들을 위한 NAS 시스템 구축에 좀더 특화한 라인업으로 재편된것 같습니다. 그래서 개인을 위한 네트웍 하드디스크 및 SSD라고 하면 되겠네요



WD RED SSD/HDD 조합으로 추천을 하는듯 합니다. SA500 SSD 출시하면서 내구성과 속도 안정성 측면에서 자신감이 붙었다는것도 이유가 될것이고 점점 SSD쪽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는 상황에서 아직은 높은 내구성과 용량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WD RED HDD와 빠른 접근성과 내부 읽기쓰기가 하드디스크보다 압도적으로 좋은 WD RED SA500 조합은 추천할만한 조합이기는 합니다.

이건 표면적인 이유이고...


시놀로지를 필두로 asustor/qnap 등 중요 NAS 시스템을 제조하는 업체에서 SSD 지원을 비롯한 SSD캐싱 기능 지원을 정식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그 수요가 발생했다는것이 더 정확한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안정성과 디자인은 역시 완성형 시스템이죠>



WD RED SSD SA500 제품은 500GB를 시작으로 최대 4TB 까지 지원 합니다. 

왜 nvme가 없느냐 기본적으로 일반 사용자 기준으로 기가비트급 단일 랜포트 사용자가 현재도 많은 상태인데다가 2개의 랜포트를 묶는다고 하더라도 대역폭은 고작 2Gbps 즉 SATA3 대역폭의 1/3 수준인 상황에서 RED 시리즈가 굳이 PCI 래인을 사용하는 nvme SSD까지는 시장성이 없는것이 아닐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 ^^



SA500의 SATA3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PC 및 NAS시스템에서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테스트할 제품은 1TB 입니다. m.2 규격의 제품도 출시를 하고 있습니다.



WD RED 시리즈 중에서 일반 버전과 프로 버전이 있습니다. 좀더 고성능을 위해서는 7200rpm 회전 속도를 가지고 있는 pro 버전을 추천 합니다. 그런데 NAS에서 사용하는 제품이기에 5400rpm을 지원하는 일반 레드하드디스크도 충분하다고 생각 합니다.


단 현재 6TB 제품 중에서 캐시 사이즈가 다른 제품이 별도로 판매하고 있는 상황인만큼 6TB 구매시에는 모델명 확인이 필수 입니다.



일반 하드디스크와 네트웍용 하드디스크의 차이점은 안정성이라고 보는것이 더 정확하고 내구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더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데 RV 센서의 적용 숫자와 레이드 구성에 따른 데이터 안정성 다수의 하드디스크를 집약적으로 사용시에 오는 외부 환경에서 오는 내구성을 일정 부분 보증 합니다.

RED 시리즈의 경우에는 하드디스크 설치 수량이 8베이까지 가능하고 RED PRO 시리즈의 경우에는 24베이까지 공식적으로 지원 합니다.



자 테스트 해보죠...^^ 참고로 네트웍 제품군의 경우에는 온도가 일반 데스크탑 하드디스크 대비 조금이라도 더 낮게 동작 합니다.

RED 시리즈 나오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WD의 대표적인 엔터프라이즈급 하드디스크인 랩터시리즈가 있기는 했습니다만 발열이 만만치 않기는 했습니다. 별도의 패시브 쿨링 하우징가지 달려 있어서 진동과 발열을 잡았으니까요^^

온도는 이렇습니다.



간단하게 테스트 2개 제품 모두다 SATA3 대역폭 안에서 놀지만 SA500 SSD가 역시나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네요 하드디스크가 절대로 다라올수 없는 4k 영역에서의 성능의 차이가 많죠

이런 이유로 용량이 작은 SSD를 NAS에서 캐싱 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작은 파일 읽기 쓰기에서 SSD와 하드디스크의 성능 차이는 분명하게 느껴 집니다.



쓰기 테스트에서 전송율에 있어서의 꾸준함과 엑세스 속도가 차이가 SSD가 압권이기는 한데..자 여기서...제가 오랜만에 하드디스크 테스트를 해보면서 엑세스 시간을 잘 안봐는데..


WD RED 6TB 기진으로 8ms 중반대의 속도를 보여주고 있군요..이 속도는 현재 가지고 있는 벨로시랩터 마지막 제품인 1TB 10000rpm 하드디스크의 엑세스 속도와 동일하거나 비슷 합니다...

플레터 밀도와 헤드 기술 버퍼 사이즈 증가에 따른 이점이 아닐까 합니다. 동일한 성능인데 회전속도가 절반 정도이면서 안정성과 발열에서 더 좋으니 기술 발전이 좋기는 합니다.



더티테스트..하드디스크에서는 무의미하지만 SSD WD SA500의 경우에는 쓰기 성능에 있어서 꾸준하게 이어가는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slc 캐시 버퍼 이후에 속도가 급락해서 회복이 되지 않는 경우는 대다수의 제품군에서 이제는 찾아보기 힘든것 같네요



SA500 SSD의 실성능 테스트...쓰기 성능은 450정도로 꾸준하게 써 내려가는것으로 확인



내부 복사 성능에 있어서는 하드디스크 처럼 낙폭이 심하지 않는것은 당연한 것이겠죠 야 400MB/s의 내부 전송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180정도로 확인...꾸준한 쓰기 성능은 역시 좋습니다.



하드디스크 내부 복사시에는 160MB/s의 내부 전송 속도네요...읽기 쓰기는 동시에 하다보니 물리적인 헤드로 기록을 하다보니 당연히 뭐^^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았으니..NAS에서 직접 사용해 보겠습니다. 가지고 있는 장비가 2베이에 링크어그리게이션을 통해서 2Gbps까지 대역폭 확보가 가능한 장비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802.3ad 프로토콜 지원 장비가 상태가 안 좋아서 일반적인 기가비트 허브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살짝 성능 저하와 대역폭에서 차이점이 있을수도 있으나 크게 차이는 없을듯 합니다. ^^ 즉 NAS로 보내질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약 200MB/s 입니다

WD RED 하디드스크 대역폭 수준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5Gbps 랜 제품이 이제서야 일반 유저들에게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상태인데 허브는 비싸고 10Gbps 장비는 넘사벽인만큼 아직까지는 2Gbps 대역폭이 일반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이 아닐까 합니다.



온도는 2베이 이용시 높다고 생각하는 제품은 없네요 그냥 고만 고만한 정도




NAS 대역폭을 2Gbps로 확장했지만 가지고 있는 시스템은 ITX 시스템이거나 아이맥인 관계로 2개의 시스템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부하를 걸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질적인 사용환경을 그대로 반영을 해보았습니다.



대역폭도 2Gbps에 육박할 만큼 최대 대역폭으로 확인이 되고 쓰기 성능에 있어서는 하드디스크와 SSD 차이점이 보이는데 데이터를 읽기 쓰기시의 성능차이가 발생을 하는 만큼 외부 랜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빨리 쓰고 잠시 대기했다가 다시 최대로 쓰기 때문에 변동 그래프가 큰 편이지만 RED 하드디스크의 경우에는 이보다는 변동폭이 적다는것은 들어온 데이터가 이미 하드디스크가 받아 들일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이라서 큰 차이가 없다


그런데 동시에 2개의 시스템에서 각기 다른 데이터가 들어오는데 그래프 변곡점이 극과 극을 달릴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않네요.^^



스턴 디지털에서 출시한 NAS 를 및 다수의 스토리지 구성시 장점을 보일수 있는 RED 시리즈를 테스트 해보았습니다.아무래도 RED SSD까지 함께 구성을 한다면 분명한 장점은 있을것 같습니다. 아쉬운점은 오직 캐싱만을 위해서 250GB 제품군이 출시가 안된다는점은 아쉽습니다.


1TB 정도가 되면은 메인 NAS용 스토리지를 구성하고 하드디스크를 서브로 놓아도 좋을 구성이 될듯 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2베이 시스템에서 m.2 소켓을 지원한다면 캐싱용으로 구성하면 좋을듯한 용량은 250GB 정도 그 이상이라면 메인으로 RED SSD 구성해서 앱 실행 속도를 높이고 RED 하드디스크를 주 저장장치로 놓고 2베이 이상 시스템으로 구성한다면 이상적인 구성이 되겠습니다.





- 본 포스팅은 제조사로부터 물품을 대여 받아 작성 하였습니다. -

Lv52 WDC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