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DC 브랜드 리뷰

내댓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리뷰] Western Digital Blue SN550 NVMe SSD 1TB 사용기

아이콘 WDC
조회: 931
2020-03-25 15:52:30
WD Blue SN550 NVMe


컴초보카페에 체험단 모집 공고를 보고 지원했는데 운좋게 당첨되었지만, 제품받아 테스트를 구상하고 글을 쓰는 이 순간까지도 엄청 부담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사용하면서 느낀점들을 최대한 가감없이 전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WD 에서는 SSD 를 가격과 성능에 따라 Green , Blue, Black 의 3가지 제품군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리뷰해 볼 제품은 Blue 제품으로 가성비의 영역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최근 출시한 WD SN550 Blue NVMe 제품은 이름 그대로 PCIe 를 기반으로 한 NVMe 를 지원하지만 DRAM을 장착하지 않고 WD 자체 컨트롤러를 사용한 제품 입니다.

제품 제작의 컨셉부터 성능 및 사용기 까지 자세하게 리뷰 진행해 보겠습니다.

0. 개봉기
 

이미 WD Black 2가지 모델을 사용하고 있어 같이 촬영해 봤습니다.
좌측부터 SN700 Black 500GB / SN750 Black 1TB / SN550 Blue 1 TB 순서 입니다.
포장재의 재질이나 내부 구성품은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만, 포장지에 가장 크게 쓰여져 있는 읽기 속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Black 제품의 경우 3400 MB/S 이상은 지원하고 SN550 은 2400 MB/S 의 조금 느린 속도를 지원 합니다.
AS 는 5년으로 세 재품 모두 동일 합니다.





SN550 Package 만 별도로 살펴보면, 제품의 기본 정보가 앞면에 잘 안내가 되어 있고 뒷면에는 제품의 일부가 보이는 design 입니다. 그리고 SSD 와 HDD 모두 WD 를 쓰라는 안내가 포함되어 있네요. SN700엔 같은 안내가 있고 SN750에서는 사라졌는데, SN550 에서 다시 생겼습니다.  


제품 내부는 충격 방지를 위해 다른 SSD 와 동일하게 포장되어 있습니다.
SN500 구입시 초기 불량건으로 교환을 받아서 인지 모르겠지만, 정전기 방지 필름으로 된 포장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제품 외관
 
제품의 비교는 제가 가지고 있는 SN700,  SN750 과 동시에 해 보겠습니다.




제품을 보시면 알겠지만, Blue 의 경우 가운데 스티커가 있는 부분이 비어 있습니다.
Black 제품들은 가운데 부분에도 부품이 있고 전체를 열전도도가 높은 스티커로 마감하고 있구요.
제품의 종류와 상관없이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되고 있네요.

옆면을 유심히 보시면 black 은 부속들이 가득 차 있는 것이 보입니다.

다른 제품과는 다르게 SN550 제품만 특이하게 여러 정보가 인쇄되어 있습니다.
RoHS 는 중금속 관련된 소재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인증이네요.
케이스 바닥면에는 KC 인증도 받은것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2.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정보



  • CPU : Intel 9900K (1.32V 49배수 46캐쉬) / EVGA CLC240
  • M/B : Asus Maximus X hero (Z370) / 전원부 spot cooling
  • RAM : Galaxy Hof Extreme 8GB X 4 (3800 CL16 - 17 - 17 - 32 350 / Latency 41.2) / Spot cooling
  • M.2 SSD : WD Black SN700 500GB (운영체제 / 프로그램) / WD Black SN750 1TB (Game 전용)
  • SATA3 SSD : Kingstone 120GB (중요 내용 백업용)
  • Power : Seasonic Focus GX-750 White
  • Graphic : Galaxy RTX 2070 Super white




조금 특이한 점은 PC 를 이용해서 심레이싱(SIM-Racing)을 즐기고 있습니다.
심레이싱은 자동차 조작과 유사한 제품과 PC 를 이용하여 레이싱을 시뮬레이션 형태로 즐기는 장르 입니다.
모니터와 VR 을 사용해서 게임을 즐기고 있습니다.
심 레이싱 게임의 특징은 게임 시작시 로딩의 양이 꽤 많다는 점 입니다.

3. 제품의 이해를 위한 기본 정보 

서두에 설명 드렸지만, SN550 의 WD Controller 는 DRAM 을 장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동안 중상급 사양의 SSD 에는 DRAM 이 장착되어 있어 향상된 속도와 안정성이 높은 대신 가격이 높았고,
중저가 사양의 SSD 에는 SSD 가 없는 저사양의 controller 가 장착되어 속도의 편차와 조금 불안정 하지만 낮은 가격대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특히 이전 제품인 WD Blue SN500 은 DRAM 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왜 DRAM 을 빼고 출시했는지 참 궁금해서 여러 사이트와 유튜브를 검색해도 잘 이해가 안가서 결국에는 Research article 도 몇편 정도 읽어봤고, 제가 이해한 부분까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사진 한장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정리될 것 같습니다.

SATA3 에 비해 6배 정도 빠른 PCIe 로 연결되는 NVMe 의 경우 내부의 DRAM controller 와 DRAM 을 장착하지 않고 PCIe 의 높은 속도를 이용하여 Host System 의 DRAM 의 일부를 HMB (Host Memory Buffer) 의 형태로 SSD 의 DRAM 처럼 활용하게 됩니다.
이 경우 SSD 내부의 DRAM 을 사용하는 것보다 속도는 30% 정도 느리지만, 안정성은 보장하며 가격은 낮춘것으로 보입니다.

(전공이나 하는일이 이쪽과 전혀 상관없다보니, 정확히 이해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수정할 부분 알려 주시면 다시 확인하고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4. 제품 장착과 사용기 (MB 에 장착)

제가 사용하는 Asus Maximus X hero 보드는 2개의 M.2 slot 을 지원하고 두곳 모두 4배속 PCIe 연결을 지원 합니다. 먼저 방열판 없이 하단부에 장착하여 Test 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먼저 SN550 의 벤치기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방열판은 장착하지 않았고, Cristal Disk Mark 을 이용했습니다.
보증된 속도인 일기 2400MB/S, 쓰기 2000 MB/S 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WD Black SN700 의 벤치 결과 입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가장 체감되는 속도인 4K 의 속도만 보면 SN700과 SN550 이 거의 차이나지 않는다는 점 입니다.

SN750은 4K 쓰기 속도가 2배 가까이 차이가 나네요. 
이게 나중에 보여드릴 테스트에서 큰 체감을 느끼게 됩니다.

5. 제품 장착과 사용기 (외장 케이스를 이용하여 USB 3.1 Gen1 Gen2 연결)

요즘 외장하드 대신 NVMe 의 케이스를 이용하여 USB 형태로 많이 사용하시길래 SN550 테스트도 해 볼겸 구입해 봤습니다. 3만원대의 무난한 케이스를 사용했고, USB 3.1 Gen 1 과 Gen 2 로 Test 해 보았습니다.
사용하시는 보드의 설명서를 확인해 보시면 지원하는 USB 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보드는 3번이 USB 2.0, 4번이 3.1 gen1, 8번이 3.1 gen 2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5.1 Gen 1 Test
먼저 Crystal Disk Mark 로 측정해 보았습니다.
SATA 3와 비슷한 수준의 Test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USB Gen 1 으로 연결한 상태에서는 180기가 게임 폴더를 옮기면서 용량을 거의 다 사용한 경우 속도저하가 발생하는지를 집중적으로 확인해 봤고, 속도 저하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일정하게 360MB/S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었습니다.

5.2 Gen 2 Test
USB 3.1 Gen2 에 연결하여 SN550과 SN750의 속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먼저 SN550 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입니다.

SN750을 이용하여 동일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SN550과 SN750 이 비슷한 속도를 보여주는데,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실제 옮겨지는 파일과 유사한 크기인 RND4K 항목에서는 오히려 SN550 이 더 빠른 모습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와 동일한 파일 copy test 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1TB 용량을 거의 다 채워서 test 를 해 보았지만 710 MB/S 의 일정한 속도를 유지해 주었고 용량에 따른 속도 저하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6. 제품 장착과 사용기 (Board 에 2개 NVMe 장착 활용)
WD Black NVMe 2개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가장 편했던 것은 마치 1개의 SSD 를 사용하는것 처럼 파일 이동이 아주 빠릅니다. 
먼저 SN550 에서 SN750 으로 copy Test 결과 입니다.
위와 동일한 180GB 의 용량을 옮기는 Test 였고 속도는 1.5GB/S 으로 유지 됩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큰 차이가 발생 합니다.
Copy 초반에는 1.5GB 와 유사한 속도를 유지하지만, 조금만 지나면 그 절반으로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180GB 의 큰 용량을 옮기는 경우 엄청난 역체감이 느껴 집니다.



SN550과 SN750 2개를 1개 보드에서 사용할 때는 SN550 의 속도가 느려 SN550의 성능이 전체 성능을 좌우하는데요, SN550만 보면 읽기 속도(2400 MB/S) 와 쓰기 속도(2000 MB/S) 의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만,
특히 대용량 쓰기의 경우 속도가 절반 정도로 떨어지는 걸 볼때, 읽기 보다는 쓰기를 할 때 SSD 의 DRAM 의 butter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PCIe 로 HMB 기능을 사용하지만, 대용량 쓰기를 할 경우, butter 가 되지 않아 속도가 저하되는 것 같습니다.


7. WD Software - Acronis
WD software 인 SSD Dash board 는 많이 보셨으니 생략하고, 여기서 지원하는 Acroni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SD 복제를 해 봤습니다.
Acronis 는 몇번의 클릭으로 디스크 복제는 물론이고 복구 미디어까지 제작이 가능 하고 아주 편합니다.
윈도우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바로 복제가 가능 합니다.

윈도우가 포함된 경우에는 컴퓨터가 재부팅되면서 안전모드 같은 곳에서 복제가 실시됩니다.
이렇게 복제된 SSD 는 바로 부팅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8. 사용기를 마치며...

40대 중반의 가정이 있는 직장인의 조금 특이한 입장에서 제품을 사용해 봤습니다.
저와 비슷한 연령대를 보면 X 세대로 초등학교때부터 PC 를 접해 XT부터 AT를 거쳐 Intel 9세대까지 사용한 세대이며, 스타크래프트의 유행으로 당구장 문화에서 PC방 문화로의 변화를 느꼈던, PC 와 친해지기 시작한 첫번째 세대 입니다.
안정적인 수입원을 가지고 있으며, 아이 교육비가 들어가지만,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취미를 즐길 시간과 여유가 생기기 시작하는 나이라고 생각 됩니다.

PC와 같은 제품을 구입할 때의 기준도 가성비 보다는 보다 안정된 성능과 AS 를 중요하게 생각 합니다.
바로 전세대인 80년대 학번이 대기업의 완제품 PC 를 구입하는것과는 다르게, PC 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해하고 있고, X 세대여서 인지 나만의 것을 만들고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도 특징 입니다.

이런 제가 선택했던 것이 WD Black 제품이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중점적으로 느끼려고 했던 부분은 Black 만 사용한 제가 Blue 를 사용하게 될 역체감이 있느냐는 부분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딱 한가지, 대용량의 파일 쓰기를 하는 경우 속도가 절반 정도로 급감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사실 가격과 Blue 라는 가성비 적인 제품의 포지셔닝을 생각하면 많이 실망 스럽지도 않았습니다.

제가 가진 보드에 있는 2개의 M.2 장착 slot 과 3개의 NVMe 를 놓고 고민한 결과,
본체에 SN750 1TB 을 장착하고 윈도우와 프로그램을 깔아서 사용하기로 결정했고,
SN550 1TB 를 게임 전용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대용량 게임들을 설치하고 로딩이 비교적 긴 레이싱 게임과 콜오브 듀티등을 깔고 즐기는 동안,
앞서 말씀드린 대용량 파일 읽기 벤치를 제외하면 Black을 사용하는 것과의 역체감을 전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또 동일한 SSD 를 사용하다보니 WD 전용 소프트웨어를 적극 활용 가능한 것도 큰 장점 이었습니다.

SN700 은 외장 케이스에 담겨져 플스4 프로의 외장 하드로 보냈습니다.

금일 네이버 최저가로 보면
SN550 1TB : 175,000  / SN750 500GB : 129,500  /  SN750 1TB : 278,880 

10만원 정도 차이, 37% 가격차이이고 저처럼 게임 전용으로 사용한다면 전 SN550을 구입하고 차액으로 다른 부품을 업그레이드 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처음으로 제품을 지원받아 해보는 리뷰를 마칩니다.


"이 사용기는 웨스턴디지털과 컴초보 체험단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Lv52 WDC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