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제1 : 도시섭만 해당. 광석,가죽,옷감,약초 는 기본적으로 경매장 질만 한다.
전제2 : 모든 전문기술의 능력치 향상은 고만고만하다.(예외: 극딜을 원하는데 채광으로 체력 향상은 좀 아까울수도 있다)
전제3 : 전문기술은 '주' 목적은 골드를 버는 것이다. 올린 뒤에도 계속 제작템 장사를 위해 제작을 한다.
1.가세/재봉 - 돈되는 도안들이
평작(얼왕때 선고단 평판),
레벨(격변 패치 초반 84렙 이상 황혼의 고원까지 진행)
퀘스트(이번 불땅 시계수 징표 모으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따로 배운다면 반복하는게 힘들다.
어차피 재료를 직접 공수 하는건 시간대비 효율이 떨어지므로 무두를 버리고 재봉을 택했다
2.채광/대장 - 주괴보다 광석이 훨씬 싸다. 따로 올리면 일일이 옮기기가 힘들 정도다
3.채광/기공 - 대장과 마찬가지. 기공은 재미로 올린다는데 돈되는 물품들이 무지 많다. 무엇을 생각하든 그 이상으로 많다.
기공에 부활가능 템이 있어서 탱커중 부활없는 전사가 익히면 좋았을텐데 아쉽다
4.보세/연금(변환) - 서로 재료를 저렴하게 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5.보세/마부 - 이 조합이 꼭 필요하진 않았다. 오히려 둘다 재료를 많이씩 가지고 있어야 해서 불편한 점도 있다.
다만, 광석 쪼개고 남은 녹보석 처분할때는 아무래도 마부를 따로 올린게 아쉽더라.
보석이나 마부재료를 직접 쪼개고 뽀각하는건 시간대비 효율이 그닥이더라.
더구나 전문 꾼도 꼭 서버에 하나쯤 있더라. 그래서 잘 하지는 않는다.
6.주각/연금(물약) - 이 캐릭만 따로 창고길드를 만들어 약초 쟁여놓고 만들어 팔면 좋다.
약초가 어느날은 수만골어치를 사도 남아도는데, 갑자기 어느날은 잠깐,혹은 장기간 배로 뛰기도 하므로 소량씩 구매하면
이런 흐름에 쉽게 휘둘린다. 따라서 이캐릭만 대량 저장으로 편히 만들 수 있게끔 전용창고길드 하나 뚫어주는 것도 좋다
물약인 이유 : 대개 약초값보다 영약값이 싸다. 비약 대가 크리로 손해분을 메꿔야 하는데 그 정도로 하려면 많이 만들어야 하고 많이 만들면 자주 경매장에 포스팅 해줘야므로 시간이 아까워서 하지 않는다. 물약이 한번을 올려도 많이 팔리더라.
7. 그 외 남는 캐릭은 기왕이면 재봉,보석,연금 등 다다익선(진금,꿈결 옷감 등 쿨탐 제작물, 보세 징표)기술 하나씩 더 올리는게 좋지 싶다. 다만
재봉은 언젠가 꿈결 옷감 쿨타임이 사라질 것이 유력하므로 3순위고,
보석은 징표를 빨리 모으는게 중요하므로 초반에 많으면 좋지만 도안을 다 모아갈 수록 의미가 없으므로 2순위
연금은 항상 쿨타임 물품이 존재하므로 1순위로 익히면 좋을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