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이란 것을 알아야 예방도 할수있습니다.
이번 편은 해킹에서도 가장 기초적이면서 고대 유물이라 볼 수 있는 것들에 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레알 유물중에 유물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그 이름 바로 Back Orifice 입니다.
정확히 처음에는 해킹툴로 이용하기 보다는 윈도우 원격접속 관리 프로그램이였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크래킹용으로 제작된 프로그램 대표적인 것으로 두가지만 보여드리겠습니다.

제일 기초적이면서 직관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방법만 알면 누구나 사용이 가능했던 NetBus 라는 해킹툴입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딱봐도 딱 알게 메뉴들이 세팅이 되어있습니다.


SchoolBus 라는 해킹툴입니다. NetBus의 아류작이라도 보시면됩니다.
위 두 해킹툴을 보시면서 뭔가 찾으신분?
그분은 해킹에 대한 지식이 조금이나마 있으신분이군요.
위 사진에서
넷버스의 Patch.exe
스쿨버스의 Server.exe
이 두 파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제가 손수 그림판 작업한 구성도 입니다.
평소 개인용 컴퓨터는 WWW과 연결되어있습니다.
그런데 Patch 라는 파일이 개인용 컴퓨터의 뒷문(전문용어로 Back Door)을 열어주어
크래커가 손쉽게 다른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참고 >

윈도우 시스템 폴더 내부입니다.
보시면 파일에 Patch.exe와 Patch.ini가 있습니다.
Patch.exe는 Back Door 프로그램이고 Patch.ini은 Back Do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을 할 때 사용될 설정이 저장되있는 것입니다.

Patch.ini 파일 내부 모습입니다.

이런식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스크린덤프를 통해서 지켜보며 키리스닝 기능을 통해 ID와 PW를 해킹해낼수가 있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기초적인 해킹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백신 프로그램을 통한 개인 컴퓨터 보안 상태를 올리는 것입니다.
또한 Windows OS를 최신 업데이트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
평소 자신의 인터넷 습관부터 고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신뢰할 수 없는 Site나 Mail에서 파일을 받지 않으며
이상한(?) 사이트는 방문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면 나오는 백신 프로그램은 Avast 라는 무료 백신 프로그램입니다.
알약 , V3 365 , V3 2007 등등등...... 사용해본 프로그램에서는 제일 좋았습니다(무료중).
백신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러러(IE) 또한 8버젼 이상부터는 보안에 좋다는 말이 있지만
구글 크롬 , 모질라 파이어폭스 등 타 인터넷 브라우져 사용을 권장합니다.
보안 수준도 좋으면서 인터넷 속도 향상 및 위험 수준 사이트 자동 차단, 액티비 엑스 차단등 보안 유지에
탁월하다고 생각합니다.
필자는 IE와 파이어 폭스 사용중입니다.
(국내 사이트 들은 액티비 엑스 사용못하면 기능자체를
이용못하는 몇몇 사이트가 있으므로 IE는 어쩔수 없이 사용할수밖에 없음)
(구글 크롬은 IE전환 기능이 있어 크롬 브라우져 하나로 다 해결이 가능하다곤함)
필자는 평소 대학에서 공부하는 분야가 네트워크와 보안 계통이지만.
따로 관심이 있어 혼자 독학으로 실험해보고 연구한 내용임
부족한 내용도 많고 글 작성하는데 많은 어려움 ;ㅁ; 등등으로 인해 깔끔한 정리가 잘안되어 있지만....
보시는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되시길..............
실험 환경 - Vmware - (가상)Windows 7 UK 환경 / 무백신환경(기본 Windows 7 백신 Kill후 실험)
기타 자료들 - 본인의 몇년간 노력의 자료들
반응 좋으면 최신기술도 연구해서 올려보겠음 ;ㅁ;
자료 공유는 불가능해요. 검색을 하셔서 구하셨다해도 사용 불가능 합니다.
정말 고대 자료라 윈도우 7에서 돌고 있는 기본 백신도 잡아내는 허접한 해킹툴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