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단축키창 지우기 | 특정 단축키창 지우기 | 스킬을 단축키창에 넣기 | 매크로를 단축키창에 넣기 |
스킬바 한 번 깔끔 정리하고픈 분들에게 적절할 것 같네요.. ^^;
모든 단축키창의 스킬을 깔끔하게 싹 지우는 매크로입니다... 현재 상태..  사용할 매크로 /run for i = 1,120 do PickupAction(i) ClearCursor() end  깔끔해진.. 모든 단축키창~ ^^; 새로 단축키창 설정할 때 사용하시면 도움 될 것 같습니다 ^-^ |
특정(특정 직업군) 단축키창만 지우기 예를 들어, 3번 단축키창만 지우려고 하면 /run for i = 25,36 do PickupAction(i) ClearCursor() end 실행 시 3번 단축키창만 지울 수 있습니다.. 25,36 를 다음에 나온 단축키 창 슬롯번호에 맞춰 지울 수 있습니다.
참고 사항 기본 단축키창 및 슬롯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축키 1번 창 1,12 단축키 2번 창 13,24 단축키 3번 창 25,36 단축키 4번 창 37,48 단축키 5번 창 49,60 단축키 6번 창 61,72 특정 직업군(드루이드, 전사, 사제, 도적)의 추가 단축키창 드루이드 표범 변신 73,84 드루이드 곰 변신 97,108 드루이드 올빼미 변신 109,120 전사 전투 테세 73,84 전사 방어 태세 85,96 전사 광폭 태세 97,108 사제 어둠의 형상 73,84 도적 은신 73,84 도적 어둠의 춤 85,96
각각의 대해서도 단축키창을 지울 수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이렇게 많은 단축키 창 번호를 기억하기 힘들 시 떄는 매크로에 주석을 포함하세요. 예를 들어, /run for i = 1,12 do PickupAction(i) ClearCursor() end // 2번은 13,24 3번은 25,36 전투는 73,84 이렇게 하시면 // 이후의 문구는 주석 처리가 되어 매크로 실행 시 실행되지는 않습니다. |
단축키 창에 주문 넣기
시작하기 전에 주문ID를 꼭 알아두세요 ^^; 스킬명으로도 할 수 있으나, 제가 제시한 매크로로 벅이 날 수 있습니다 -_-
주문ID는 마법책 여시고 주문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으시면 주문ID가 표시됩니다.  사용할 매크로는 얘시1) 징벌 성기사 단축키 넣기 참회(주문ID 20066) 및 열광(주문ID 85696)을 1번 단축키창 9번과 10번 슬롯에 넣는 방법 /run for k,v in pairs{[85696]=9,[20066]=10}do PickupSpell(k)PlaceAction(v)ClearCursor()end
예시2) 도적 어둠의 춤 단축키 넣기 스킬바에 매복(주문ID 8676) 및 비열한 습격(주문ID 1833)을 넣기 (어둠의 창 단축키슬롯번호는 85번 부터 96번까지입니다) /run for k,v in pairs{[8676]=85,[1833]=87}do PickupSpell(k)PlaceAction(v)ClearCursor()end
사용 방법 스킬넣기를 사용하고자 하실 떄는 파랑 글씨로 쓰여진 부분을 정정하시면 됩니다. /run for k,v in pairs{[85696]=9,[20066]=10}do PickupSpell(k)PlaceAction(v)ClearCursor()end
주문ID를 정정하시고, 단축키슬롯번호 입력하시고 각 주문의 구분은 코마 (,) 를 이용하세요 {[주문ID 입력]=단축키슬롯번호 입력} 응용 제시 죽음의 기사를 예를 들자면, 1특은 혈죽(탱죽)로 하고, 2특인 부죽 또는 냉죽으로 번갈아가면서 특성을 전환하실 때, 부죽과와 냉죽의 단축키창에 서로 다르다는 가정 하에 두 특성 전환 시 스킬 배열을 기존하던 방식(손에 익은 방식)으로 남기고 싶을 때 적절합니다.
또는 도적 잠행특성의 어둠의 춤 단축키 창 같이 단축키창이 보이는 시간이 짧아서 어춤 단축키창에 스킬을 편의에 따라 넣을 때 쿨타임을 기다려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해줍니다.
아울러, 주문ID를 매크로에 주석으로 남겨서 따로 찾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습니다. /run for k,v in pairs{[8676]=85,[1833]=87}do PickupSpell(k)PlaceAction(v)ClearCursor()end // 사전계획ID 14183 목조르기ID 703 이렇게 하시면 "//" 이후의 문구는 주석 처리가 되어 매크로 실행 시 실행되지는 않습니다. |
단축키 창에 매크로 넣기
시작하기 전에 매크로ID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드립니다. 매크로 창을 여시면 (/매크로), 매크로가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하나는 공통 매크로이고, 다른 하나는 케릭터 전용 매크로입니다.  매크로의 고유ID는 기본 인터페이스 사용 시 순차적으로 공통 매크로는 1~36까지, 현재 접속한 케릭터의 전용 매크로는 37~54까지 존재합니다.
매크로의 순서는 새로운 매크로를 만들 떄 순번이 바뀔 수 있으니, 매크로 넣기를 사용하실 떄는 유의하세요. * 참고사항: 매크로 순번은 매크로의 이름에 따라 정렬됩니다. 숫자 1,2,3... > 알파벳 A,B,C.. > 한글 ㄱ,ㄴ,ㄷ ... 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
사용할 매크로는 얘시1) 1번 단축키창에 공통매크로 하나와 전용매크로 하나를 넣기 공통매크로ID 2 및 전용매크로ID 38을 1번 단축키창 9번과 10번 슬롯에 넣는 방법 /run for k,v in pairs{[2]=9,[38]=10}do PickupMacro(k)PlaceAction(v)ClearCursor()end
예시2) 드루이드 곰변신폼 단축키창에 전용 및 공통 매크로 넣기 곰변신 폼 스킬바에 공통매크로ID 9 및 전용매크로ID 40)을 넣기 (곰변신 단축키슬롯번호는 97번 부터 108번까지입니다) /run for k,v in pairs{[9]=97,[40]=108}do PickupMacro(k)PlaceAction(v)ClearCursor()end
사용 방법 매크로를 단축키 슬롯에 넣을 떄는 파랑 글씨로 쓰여진 부분을 정정하시면 됩니다. /run for k,v in pairs{[9]=97,[40]=108}do PickupMacro(k)PlaceAction(v)ClearCursor()end
매크로ID를 정정하시고, 단축키슬롯번호 입력하시고 각 주문의 구분은 코마 (,) 를 이용하세요 {[매크로ID 입력]=단축키슬롯번호 입력}
매크로ID를 넣을 시 꼭 주의해야하는 것 엉뚱한 매크로ID을 입력하면 와우가 다운될 수 있습니다. 응용 제시 죽음의 기사를 예를 들자면, 1특은 혈죽(탱죽)로 하고, 2특인 부죽 또는 냉죽으로 번갈아가면서 특성을 전환하실 때, 부죽과와 냉죽의 단축키창에 서로 다르다는 가정 하에 두 특성 전환 시 스킬 배열을 기존하던 방식(손에 익은 방식)으로 남기고 싶을 때 적절합니다.
또는 도적 잠행특성의 어둠의 춤 단축키 창 같이 단축키창이 보이는 시간이 짧아서 어춤 단축키창에 스킬을 편의에 따라 넣을 때 쿨타임을 기다려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해줍니다. 아울러, 매크로ID를 매크로에 주석으로 남겨서 따로 찾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습니다. /run for k,v in pairs{[8676]=85,[1833]=87}do PickupSpell(k)PlaceAction(v)ClearCursor()end // 공통ID 1-36 전용ID 37-54 이렇게 하시면 "//" 이후의 문구는 주석 처리가 되어 매크로 실행 시 실행되지는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