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고단 쐐기에서 비법 패돌리기에 대한 분석 feat. 인장

아이콘 유카리코
댓글: 3 개
조회: 1678
추천: 1
2025-06-13 17:56:02
쐐기 고단에서 패돌리기를 쓰는 비법들이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특히 쇄도와 쿨이 안맞는 상황) 확인해보고자 분석을 해봤습니다.

먼저 최상위권의 패돌리기 사용현황을 점검해봤습니다.

양조장 기준
21단 - 인장, 머그지 (1)
20단 - 케잔, 머그지 (16), 패돌, 머그지(10), 인장, 머그지(4), 양초, 머그지(8)

패돌의 선택 수가 케잔 다음으로 많았는데, 케잔과 양초는 시냅스를 쓰므로 묶어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즉, 시냅스 24, 패돌 10, 인장 4 정도의 비율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패돌리기를 사용하는 유저들의 패돌 / 쇄도 비율을 확인해봤습니다.

총 10개의 로그에서
khaelt - 12 / 20
Mageirl - 16 / 20
Pjmage - 14 / 21
Mlikmage - 15 /19
Kfcmage - 18 / 21
不是宝珠引的 - 15 / 20
Autist - 15 / 20
幽默面包人 4 / 5  ( 이 사람은 중간에 냉법으로 스왑했네요;; )
Poisonqt - 14 / 22 
Alice - 17 / 21

대체로 75% 정도의 비율로 패돌리기를 쇄도와 묶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참고할만한 점은 가장 비율이 낮은 khaelt의 시클 기록이 29분 35초로 가장 좋다는 점입니다.
수도원의 인장의 경우는 대체로 12 / 20 이었습니다.
제대로된 분석은 아니지만 이동시간 덕에 자연스럽게 패돌리기 쿨이 쇄도에 맞는 경우가 최소 2번은 될 것 같습니다.

부화장 20단 로그도 보았습니다.
Jebe - 11 / 19
Moonmage 12 / 19
破门之钥 - 14 / 19
一二三發 - 18 / 18 (이건 의도적으로 맞춰서 쓴 것 같네요)
Elmog - 13 / 20
不是宝珠引的 - 14 / 19
Kfcmage - 15 / 19
丶嗨呀呀丶 - 12 / 20

다른 던전도 훑어보았을 때, 대체로 시클이 빠른 로그는 패돌 쇄도의 비율이 낮고, 시클이 느린 로그는 패돌 쇄도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쇄도를 패돌에 맞춰쓰면 안 된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그저 클리어가 늦다는 것은 한 풀링에서 다음 풀링으로 가는 시간이 긴 경우가 잦고, 그렇게 되면 패돌이 쇄도에 맞게 돌아오는 비율이 높다는 얘기가 되겠죠.

다만 쇄도를 항상 패돌리기에 맞추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플레이 한 로그는 딱 1개 말고는 없어보입니다.

패돌리기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던전은 고투(19%) 이고, 가장 낮은 던전은 부화장(8%) 이네요.
아무래도 부화장은 이동 시간이 짧아서 패돌리기를 활용하기 어렵고, 고투는 반대로 이동이 길어서 패돌리기를 사용하기 좋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번외로 인장도 각 던전 최고단 기록에서 종종 등장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들어 고투 21단, 양조장 21단, 어불동 21단 (전부 다른 유저) 정도가 있습니다. 

분석을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패돌리기와 쇄도를 꼭 같이 쓸 필요는 없어보임. 다만 패돌리기 쿨이 애매하게 남으면 상황에 따라 같이 쓰는 것 같음
2. 고투, 왕노에서 패돌리기 채택률이 높고 부화장에서 채택률이 낮음
3. 신화 패돌리기가 없다면 수도원의 인장도 대안이 될 수 있음 (단, 부화장에서는 아무도 안 씀)

제일 위에 로그 몇개만 눌러보고 패돌리기랑 쇄도 비율은 50% 정도밖에 안된다고 치부하고 넘겼는데 더 분석해보니 생각보다 높네요..

Lv41 유카리코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