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잡담] 로그상 표기되는 부분저항값의 오류

Evka
댓글: 6 개
조회: 2063
2021-03-23 10:26:59
마법관통때문에 부분저항에 관한 통계를 내던 중,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급히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 또한 적은 정보, 부족한 표본을 바탕으로 급히 결론을 도출하였기에 틀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에 대한 법사 유저분들의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관련 정보나 팁을 알고 계신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1. 일반적으로 부분저항은 25%, 50%, 75% 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법사 로그를 뜯어본 결과,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가 위의 수치와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 패치워크 로그. 2021.3.19 >

472 / 2264 = 20.85%
249 / 1669 = 14.92% (극대)
934 / 2116 = 44.14%
925 / 2681 = 34.50% (극대)
474 / 3170 = 14.95% (극대)
455 / 2183 = 20.84%
705 / 3381 = 20.85%

이처럼 부분저항이 일반공격시 21%, 44%로, 극대화시 15%, 35%로 발생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부분저항은 25%, 50%, 75%로 발생한다는 주장과 상충됩니다.



2. 부분저항에 관한 자료를 검색하던 중,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하였습니다.


위 링크의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도핑, 버프(마주포함) 유무 상관x
2) 크리가 터진 주문은 15%, 크리가 터지지 않은 주문은 20% 저항

그러나 실제 마력주입을 받은 상태에서 부분저항 비율은 동일하게 15%, 20%로 나타났으며

일반주문의 44%저항, 극대화의 35%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제3자의 로그를 통해 정술은 부분저항이 25%, 50%로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설명할 수 없기에 틀린 가설이라고 생각됩니다.


< 패치워크전 마력주입 내역. 21.5초 이후 마력주입을 받음. 2021.2.26 >


< 패치워크전 마력주입을 받은 상태에서 부분저항 내역. 부분저항률이 평상시와 동일하게 나타남. 2021.2.26 >


< 정기술사의 패치워크전 부분저항 내역. 부분저항이 25%, 50% (극대화시 14%, 60%)로 발생함 >



3. 위 가정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부분저항값은 25% 단위로 맞아떨어지지 않고, 극대화 여부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며, 심지어 직업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원인을 정말 긴 시간동안 생각해 본 결과, 로그에 표기되는 저항값에 함정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실제 로그를 뜯어 분석한 내용입니다.



4-1. 법사vs정술, 부분저항 비교 (극대X)

법사, 정술의 부분저항률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습니다.





- 법사의 부분저항 : 21%, 44%
- 정술의 부분저항 : 25%, 50%, 75%

정술은 25%단위로 정확하게 부분저항값이 산출되었으며, 따라서 법사의 부분저항값 표기에 오류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이에 법사와 정술의 데미지 계산식을 확인하였으며, 적에게 걸린 디버프로 인한 증뎀값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법사의 화염구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x 디버프(원소저주, 불태연마)
정술의 번개화살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화염구의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은 26.5%입니다. (원소저주 10%, 불태연마 15%)
화염구 데미지에서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을 차감하자, 부분저항값이 25%, 50%로 맞아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455 / 455+(1728x0.79) = 0.25
934 / 934+(1182x0.79) = 0.50

이처럼 로그상 표기되는 부분저항값에는, 적에게 걸린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4-2. 법사vs정술, 부분저항 비교 (극대O)

법사, 정술의 극대화시 부분저항률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습니다.





- 법사의 부분저항 : 15%, 35%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 차감시: 18%, 40%)
- 정술의 부분저항 : 14%, 33%

법사와 정술 모두 부분저항값이 비정상적으로 산출되었으며, 따라서 극대화시 데미지계산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이에 극대화시 데미지 계산식을 확인했습니다.

법사의 화염구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x 디버프(원소저주, 불태연마) x 1.5
정술의 번개화살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x 2

각각의 데미지에서 극대화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을 차감하자, 부분저항값이 25%, 50%로 맞아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925 / 925+(1756x0.79x0.67) = 0.50
474 / 474+(2696x0.79x0.67) = 0.25

688 / 688+(1377x0.5) = 0.50
344 / 344+(2063x0.5) = 0.25

이처럼 로그상 표기되는 부분저항값에는, 극대화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5. 결론

화염구 기본데미지 1580, 화염구 실제데미지 2000 (저주+불태), 극대화 데미지 3000 (1.5배), 부분저항 50%가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아래의 표기를 생각할 것입니다.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000 (R: 1000)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500* (R: 1500)

그러나 실제 로그에 나타나는 부분저항값은 디버프와 극대화가 반영되지 않아, 아래와 같이 표기됩니다.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000 (R: 790)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500* (R: 790)

이처럼 로그에 표기되는 저항값은 실제와 다르다는 점을 인지하시고,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를 계산할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부분저항값 통계내기는 더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이 무슨 개떡같은 일이)





어디서도 확인하지 못한 정보이기에, 법게분들의 교차검증을 부탁드리고자 로그를 남겨드립니다.


혹시나 본문의 내용에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Lv64 Evka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와우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