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관통때문에 부분저항에 관한 통계를 내던 중,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어 급히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 또한 적은 정보, 부족한 표본을 바탕으로 급히 결론을 도출하였기에 틀릴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에 대한 법사 유저분들의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관련 정보나 팁을 알고 계신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1. 일반적으로 부분저항은 25%, 50%, 75% 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법사 로그를 뜯어본 결과,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가 위의 수치와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 패치워크 로그. 2021.3.19 >
472 / 2264 = 20.85%
249 / 1669 = 14.92% (극대)
934 / 2116 = 44.14%
925 / 2681 = 34.50% (극대)
474 / 3170 = 14.95% (극대)
455 / 2183 = 20.84%
705 / 3381 = 20.85%
이처럼 부분저항이 일반공격시 21%, 44%로, 극대화시 15%, 35%로 발생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부분저항은 25%, 50%, 75%로 발생한다는 주장과 상충됩니다.
2. 부분저항에 관한 자료를 검색하던 중,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하였습니다.
위 링크의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도핑, 버프(마주포함) 유무 상관x
2) 크리가 터진 주문은 15%, 크리가 터지지 않은 주문은 20% 저항
그러나 실제 마력주입을 받은 상태에서 부분저항 비율은 동일하게 15%, 20%로 나타났으며
일반주문의 44%저항, 극대화의 35%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제3자의 로그를 통해 정술은 부분저항이 25%, 50%로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설명할 수 없기에 틀린 가설이라고 생각됩니다.
< 패치워크전 마력주입 내역. 21.5초 이후 마력주입을 받음. 2021.2.26 >
< 패치워크전 마력주입을 받은 상태에서 부분저항 내역. 부분저항률이 평상시와 동일하게 나타남. 2021.2.26 >
< 정기술사의 패치워크전 부분저항 내역. 부분저항이 25%, 50% (극대화시 14%, 60%)로 발생함 >
3. 위 가정을 반박하는 과정에서 부분저항값은 25% 단위로 맞아떨어지지 않고, 극대화 여부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며, 심지어 직업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발생한 원인을 정말 긴 시간동안 생각해 본 결과, 로그에 표기되는 저항값에 함정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실제 로그를 뜯어 분석한 내용입니다.
4-1. 법사vs정술, 부분저항 비교 (극대X)
법사, 정술의 부분저항률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습니다.
- 법사의 부분저항 : 21%, 44%
- 정술의 부분저항 : 25%, 50%, 75%
정술은 25%단위로 정확하게 부분저항값이 산출되었으며, 따라서 법사의 부분저항값 표기에 오류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이에 법사와 정술의 데미지 계산식을 확인하였으며, 적에게 걸린 디버프로 인한 증뎀값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법사의 화염구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x 디버프(원소저주, 불태연마)
정술의 번개화살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화염구의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은 26.5%입니다. (원소저주 10%, 불태연마 15%)
화염구 데미지에서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을 차감하자, 부분저항값이 25%, 50%로 맞아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455 / 455+(1728x0.79) = 0.25
934 / 934+(1182x0.79) = 0.50
이처럼 로그상 표기되는 부분저항값에는, 적에게 걸린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4-2. 법사vs정술, 부분저항 비교 (극대O)
법사, 정술의 극대화시 부분저항률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습니다.
- 법사의 부분저항 : 15%, 35% (디버프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 차감시: 18%, 40%)
- 정술의 부분저항 : 14%, 33%
법사와 정술 모두 부분저항값이 비정상적으로 산출되었으며, 따라서 극대화시 데미지계산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이에 극대화시 데미지 계산식을 확인했습니다.
법사의 화염구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x 디버프(원소저주, 불태연마) x 1.5
정술의 번개화살 데미지 : (기본데미지 + 주문력) x 특성 x 2
각각의 데미지에서 극대화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을 차감하자, 부분저항값이 25%, 50%로 맞아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925 / 925+(1756x0.79x0.67) = 0.50
474 / 474+(2696x0.79x0.67) = 0.25
688 / 688+(1377x0.5) = 0.50
344 / 344+(2063x0.5) = 0.25
이처럼 로그상 표기되는 부분저항값에는, 극대화로 인한 데미지 증가율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5. 결론
화염구 기본데미지 1580, 화염구 실제데미지 2000 (저주+불태), 극대화 데미지 3000 (1.5배), 부분저항 50%가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아래의 표기를 생각할 것입니다.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000 (R: 1000)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500* (R: 1500)
그러나 실제 로그에 나타나는 부분저항값은 디버프와 극대화가 반영되지 않아, 아래와 같이 표기됩니다.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000 (R: 790)
-> 마법사 화염구 패치워크 *1500* (R: 790)
이처럼 로그에 표기되는 저항값은 실제와 다르다는 점을 인지하시고,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를 계산할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부분저항값 통계내기는 더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이 무슨 개떡같은 일이)
어디서도 확인하지 못한 정보이기에, 법게분들의 교차검증을 부탁드리고자 로그를 남겨드립니다.
혹시나 본문의 내용에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