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으로 레이드를 돌다보면, 부분저항이 생각보다 종종 발생합니다.
이로 인한 딜로스가 얼마인지 궁금하여, 직접 통계를 내 봤습니다.
1.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
1) 정술
시전 : 번개 화살(만렙) 536회
로그 : https://ko.classic.warcraftlogs.com/character/cn/%E5%A5%A5%E7%BD%97/%e6%b5%b7%e5%93%a5#spec=Elemental&%3Bboss=1118&boss=1118

공격 536회
적중 501회
트루뎀 415회 / 25%저항 53회 / 50%저항 23회 / 75%저항 10회
데미지 기댓값 : 415+(53x0.75)+(23x0.5)+(10x0.25) / 415+53+23+10 = 0.9356
정술의 경우,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는 6.44%로 나타났습니다. (저항력 27.05)
2) 화법
시전 : 화염구(만렙) 842회
로그 : https://ko.classic.warcraftlogs.com/character/kr/%EB%A1%9C%ED%81%AC%ED%99%80%EB%9D%BC/string#boss=1118

공격 842회
적중 826회
트루뎀 701회 / 25%저항 87회 / 50%저항 32회 / 75%저항 6회
데미지 기댓값 : 701+(87x0.75)+(32x0.5)+(6*0.25) / 701+87+32+6 = 0.9488
화법의 경우,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는 5.12%로 나타났습니다. (저항력 21.50)
2. 패치워크의 저항력
정술과 화법의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가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법사/정술의 마법 관통력이 달라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활용하여, 패치워크의 마법 저항력을 계산해 봤습니다.
1) 정술의 마법 관통력 / 패치워크의 마법 저항력

장비 : (10x3)/9
썬퓨 : 25x0.83 (썬퓨 디버프 평균 업타임 83%)
(※썬퓨 디버프는 공격속도 감소, 자연저항 감소 두가지가 있습니다. 디버프가 밀릴 경우, 공속 디버프가 먼저 지워집니다.)
정술의 자연저항 관통 평균값 : 3.33+(25x0.83) = 22.42
부분저항으로 인한 딜로스(1-1 참고) : 6.44% (저항 27.05)
관통 22.42로 적을 공격했으며, 저항 27.05만큼의 딜로스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패치워크의 저항력은 49.47로 추정됩니다.
2) 화법과 비교
정술의 경우, 관통 22.42로 공격하였으며, 저항27.05만큼의 딜로스가 발생했습니다.
화법의 경우, 관통 104.94로 공격하였으며, 저항 21.50만큼의 딜로스가 발생했습니다.
화법의 관통력이 82.52 더 높으나, 실제 적용된 관통값은 5.55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화법의 경우 관통값이 최대치에 도달하였으며, 그럼에도 발생한 부분저항 딜로스(저항21.50)는 '관통 불가능한 저항값'으로 봐야 합니다.
3. 결론
보스 몬스터(패치워크)의 마법 저항력 : 49.47
관통 불가능한 저항값 : 21.5
마법 관통 28을 맞춰야 함 => 법사/흑마는 저주로, 정술은 썬퓨로 해결 가능
=> 흑마법사의 저주가 걸릴 경우, 법사는 특성/장비로 관통을 맞출 필요 없음
4. 한계
1) 표본 부족
2) 썬더퓨리 업타임 및 저항값
- 썬더퓨리 디버프 계산에는 전투시간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각각의 전투시간 대비 업타임만 반영되었습니다.
- 썬퓨+장비로 관통력이 35에 도달할 경우, 버려지는 관통력이 생겨 계산에 오차가 발생합니다.
3) 패치워크의 속성별 저항값이 다를 수 있음
화염구 800발, 번개화살 500발로 통계를 내기에는 표본이 부족하다고 생각되어
다른 로그까지 취합하여 통계를 내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불성이 코앞까지 다가온 현 시점에서, 더 이상 클래식 로그를 분석하는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이 들고
오차를 고려하더라도, 'PVE에서 법사에게 마법 관통 아이템은 무용하다'는 결론은 동일하기에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빨리 불성나오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