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 지표도르] ① - 다 담아봤습니다, 탑 라이너 편

기획기사 | 박범 기자 | 댓글: 20개 |



LCK 지표도르 기사를 작성하고 공개한 뒤로 많은 피드백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였던 의견은 육각형 그래프에 나타나는 지표들이 각 라이너들의 특징을 잘 살리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번 지표도르 기사에는 LCK에서 제공해주는 각종 지표들을 거의 다 담았다. 딱히 의미가 없는 총 킬/데스/어시스트와 같은 단순 수치들은 제외했고, 그 외 지표들은 모조리 포함시켰다.

각 선수별 모스트 챔피언 선정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뒀다. 일단, 승률과 관계없이 플레이한 횟수만으로 1차 챔피언 선별을 했다. 같은 플레이 횟수에 너무 많은 챔피언이 있을 경우엔 승률이 높은 순으로 커트라인을 정했다. 승률까지 같으면 LCK에서 제공한 데이터에 표기된 순서대로 지표에 넣어 모스트 챔피언이 3개가 넘지 않도록 했다. 플레이 횟수가 너무 한 쪽으로 쏠려 있으면 그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없앴다.

또 하나, 이 기사는 해당 주 차 만의 개인 지표를 나타내지 않는다. 개막 이후 해당 주 차까지 누적된 지표를 알려주는 기사다. LCK에서 제공해주는 선수들의 개인 지표가 그런 형태로만 공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2022 LCK 서머 스플릿 개막 이후 5주 차까지 탑 라이너들이 보였던 개인 지표를 시각화한 것이다. 다각형 그래프에 표기된 수치는 표준점수(C점수)를 활용했다. 이는 항목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이를 통해 구한 표준점수(Z점수)를 다시 C점수로 변환한 값이다. 아래 막대 그래프는 항목별 실제 수치를 그대로 담았다.





* 용어 정리
- KDA : '킬 + 어시스트 / 데스'의 평균치
- KP% : 킬 관여율의 평균치
- DMG/G : 골드당 기록한 대미지의 평균치
- DMG/D : 데스당 기록한 대미지의 평균치
- DMG/m : 1분당 기록한 대미지의 평균치
- DMGD@15 : 15분까지 상대 라이너와의 대미치 차이
- GD@15 : 15분까지 상대 라이너와의 골드 차이
- CS@15 : 15분까지 상대 라이너와의 CS 차이
- LvlD@15 : 15분까지 상대 라이너와의 레벨 차이
- DMG% : 팀 내 대미지 비중
- Gold% : 팀 내 골드 비중
- CS% : 팀 내 CS 비중
- DMG15~ : 15분 이후 기록한 대미지의 평균치
- CS 15~ : 15분 이후 기록한 CS의 평균치
- G 15~ : 15분 이후 획득한 골드의 평균치
- WP : 와드 설치 횟수의 평균치
- WD : 와드 파괴 횟수의 평균치
- CW : 제어와드 설치 횟수의 평균치
- VS : 시야 점수의 평균치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기사 목록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