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의 연구노트 (팁)

10추글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희귀무역 고가1 최대상한가 계산법

Mentto
댓글: 2 개
조회: 4069
추천: 13
2024-10-07 21:13:26
안녕하세요. 요새 희귀무역 정보가 적극적으로 풀리고 있어 여기에 보태고자 합니다.

(1) 희귀무역
 희귀 무역은 나온지 5년이 넘은 굉장히 오래된 컨텐츠입니다만, 한 명이라도 분탕을 치면 못 먹는 구조 특성상 공략글이 없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3800개 제한선을 제시하신 분(이름이 기억안나네요 / 링크 아시는 분은 댓글로 ㅠㅠ)이나 강카스톨(당시 희귀무역 상인분들에게 욕 뒤지게 먹은 것은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같은 분들이 공략 글을 작성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아는 사람만 아는 컨텐츠였습니다. 
 이전까지 대중의 인식은 콩 같은 교역품을 5천두캇쯤에 팔 수 있어, 초반 육성하기에 좋고 육메보단 구리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대중에게 희귀무역이 적극적으로 알려진 계기는 부관학교에서의 회계사 스텟 상한 해체 퀘스트라고 생각됩니다. 항목에 대한 질문이 계속 올라오고, 보드가야님이 희귀무역 항목을 바뀔때마다 올려주신 것은 희귀무역을 다시 주목받게 만들었습니다.
 이쯤에서 혹자는 "이 공략글이 희귀무역의 정보를 공유한 사람을 저격하기 위해 쓰여진게 아닌가?"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제 대답은 NO입니다. 이미 희귀무역 항목이 올라오기 전부터, 남만무역보다 효율이 좋은 희귀무역 품목은 분탕러에 의해 지독하게 통제당하고 있었습니다. 예컨대 토박이모험가, 잉카제국이라는 아이디로 알려져 있는 분은 몇 년 동안 새벽 시간대를 제외하면 집요할 정도로 시세를 망치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 컨텐츠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꼭두새벽에 일어나서 플레이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즉 희귀무역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는 상황입니다. 

(2) 기본 정보
 희귀무역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ssjoy.org/dho/free/3761039
 희귀무역을 해본 사람의 입장에서 봤을때, 팩트 위주로 비교적 잘 정리된 공략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교역품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는 일본위키의 희소교역품 항목을 참조하시는게 좋습니다.
http://gvo.gamedb.info/wiki/?TradeItem%2FRare
 해당 사이트에서는 희소교역(희귀무역)의 기본 메커니즘과 교역품 가격을 소개합니다. 교역품 가격의 경우 폭등가, 고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3) 고가1 최대상한가
 각설하고 희귀무역 고가1의 판별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바로 위에서 소개해드린 일본위키의 각 교역품 항목을 보면, 거의 대부분의 교역품에 폭등가가 표기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가1의 상한가는 이 폭등가의 1/2 가격입니다. 관세가 없다는 가정 하에 유럽에서 이 계산 식은 매우 정확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길개지에서의 판매 등) 해당 공식이 무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판매 전략
 고가1 상한가에서 판 이후 아무도 건들지 않았다면 2시간 10분 뒤에 다시 탐이 옵니다. 누가 건드리면 20분씩 늘어납니다.

Lv5 Mentto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