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정보] 다음 패치를 대비한 광역피해 연구

아이콘 대공룡의최후
댓글: 38 개
조회: 30355
추천: 47
비공감: 11
2015-09-21 13:51:33
현재는 각종 데미지 뻥티기 스킬등이 제대로 반영이 되지 않아서 광역피해의 데미지를 챙기시는 분들이 많이 없습니다만, 앞으로의 패치에서는 정확히 반영한다고 합니다.
다음 패치에서 예상되는 광역피해의 데미지 비율을 한번 계산해볼게요.

1. 보스전에서는 없다고 보면 됩니다. 졸 소환보스제외.
2. 고단 트라이시 일반몹을 몰아서 잡는 현 메타상에서 최고의 효율을 발휘할 것입니다.

일단 광역피해에 대해 알려진 사실 10가지를 나열해보면


1) 광역피해는 극확, 극피, 속피 등의 어떤 데미지 조정요소의 영향도 받지 않습니다. 이미 발동을 시킨 데미지가 그것이 적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이죠.

2) 광역피해는 발동된 몹에게는 데미지를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스전에서는 거의 무용지물입니다.

3) 광역피해는 내 기술로 몹이 데미지를 입는 모든 순간에 발동확률을 가집니다.

4) 광역피해는 도트로부터도 발동됩니다.

5) 광역피해는 광역기술로 많은 몹을 공격할 때 더 위력을 발휘합니다.

6) 광역피해는 언제나 숫자가 흰색으로 표시됩니다.

7) 광역피해가 항상 정확한 %만큼의 숫자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 광역기술로 발동한 광역피해는 숫자가 합으로 보여집니다.

8) 광역피해는 플레이어로부터가 아니라 발동된 몹을 중심으로 합니다.

9) 광역피해는 휘몰이, 아이템효과(폭까 같은 공격형 발동)로는 발동되지 않습니다.(수정함)

10) 70렙 템에서 땡겨올 수 있는 광역피해는 어깨 20%, 장갑 20%, 반지 20%, 목걸이 20%, 무기 24%, 액막이 20% 입니다.


세줄로 요약하면
몹에게 들어간 데미지 기준이다.
광역데미지를 모아놓은 몹에게 썼을 때 최고의 효율을 발위한다.
도트데미지에도 들어간다.


데미지 계산을 해볼게요.
31마리 정도 모아둔 상태라고 가정하고
한방에 100의 데미지를 광역으로 준다고 합시다.
이 한방에 대한 전체 데미지는 총 3100이됩니다.
이것을 기술데미지라고 합시다.

광역피해는 20%의 확률로 발동합니다.
31마리(30마리라고 하죠..)중 6마리가 광피발동을 합니다.
광피가 발동이 되면 몹이 잘 뭉쳐있다는 가정하에 광역피해에 해당하는 데미지를 가하게됩니다.
광역피해퍼센트를 x퍼센트라고 한다면 기본데미지가 100이니 x라는 값의 데미지를 주겠네요.
6x이 데미지를 30마리에게 모두 가해주게 됩니다.
총 데미지합산은 180x가 됩니다.

광피를 전혀 챙기지 않을 경우 기본이 x=50이 됩니다.
그렇다면 9000이 되버리네요.
기술데미지의 3배가 되버립니다.

만일 광피를 100을 맞춘다고 하면 데미지는 18000이 됩니다.
기술데미지의 6배가 되겠네요.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몹이 몰려 있을 경우 기본데미지보다 광피로 인한 데미지가 더 크다는 것입니다.
일반몹 몰아잡기에서 광피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이므로
이 상황에서는 광피50 더챙기는 것만으로 총 데미지가 거의 2배가 된다 볼 수 있습니다.(12100 에서 21100으로)
공속이나 스탯좀 포기하고 맞출만하지 않을까요?

참고로 우선순위입니다.
정확한 데미지 계산은 <10000+극확*극피>입니다. 간단히 극확*극피가 높은게 좋습니다.
왜냐하면 (100-극확퍼센트)*100+(극확퍼센트*(100+극피퍼센트))를 계산하면 저리 나오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쌍수의 경우엔 극피가 넘치니 극확의 중요성이 커지고
보조무기의 경우에는 극확이 넘치니 극피의 중요성이 커집니다.
양손의 경우는 별차이 없습니다. 단 데미지가 높으니 피해는 전혀 챙기지 않습니다.


어깨: 어깨에서 광피20을 꼭 가져가도록 합니다.

반지:
-쌍수: 극확,피해,광피20,홈”
-보조무기: 극피,광피20,극확또는 피해,홈”
-양손: 극확,극피,광피20,홈”
이런식으로 한쪽이나마 광피20을 챙길수 있다면 딜로스 없이 광피를 챙길 수 있습니다.

장갑: 장갑은 스탯1000과 활력1000과 극확10은 포기할 수 없습니다.
만일 광피20이 붙은 상태로 나온 고대장갑이 광피를 지우고 극피를 붙일 상황이 안된다면 괜찮은 듯 합니다.

-무기: 무기는 옵션이 너무 중요하기 때문에 광피를 챙기는 것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피해10은 버리면 안된다는 주의를 가진 사람인데요. 재감 10을 위해서 피해10을 버리는 분들이 많은데 피해10은 총 스탯의 10%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봅니다. 스탯1000을 버릴 수 있으신가요? 차라리 반지등 다른 곳에서 챙기는 것이 낫겠죠.
무기는 현 매타상에서 무공/스탯/피해 고정에 나머지 한 개 옵션으로 광피를 지울수 없다면 남기는 편이 낫다고 보고 그렇지 않을 경우 활력,공속 등을 하는 것이 좋다 여겨집니다. 물론 근접캐릭의 경우에는 적생이나 소분생등을 반드시 챙겨야 하겠지요. 무기는 일단 여유로운 옵션이 없다 봅니다.

어깨와 반지2개 또는 어깨 반지1개 장갑 이렇게 해서 100을 넘긴다면
상승하는 데미지가 거의 2배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고단 트라이가 더욱 유연하지 않을까요?
다음패치를 위해서 반지나 어깨를 버리지말고 잘 모아두시길 바랍니다.
특히 집자에서 스탯을 지우고 광피를 남길 수 있는 집자의 경우!!!

아마 궁도장비를 낀 오공폭장의 경우 정말 챙길만한 옵션이 되지 않을까요? 연쇄 기술 광역 데미지가 각각 광역피해를 발동시키니까요.

Lv29 대공룡의최후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