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쿨러/팬] 화이트 감성의 가성비수랭쿨러 COOLMAX AID W240 ARGB

성큼큼
조회: 743
2020-08-02 20:53:54




화이트 감성의 가성비수랭쿨러 COOLMAX AID W240 ARGB 사용기


PC를 조립할때 CPU 쿨러로 공랭식을 선택할 것인가, 일체형 수랭식을 선택할 것인가 고민을 많이 해 봤을 것이다. 최신에 출시되는 CPU들의 전력 소비량이 많이면서 100% 풀로드에서 70도가 넘어가며, 어떤 모델에 따라서는 90도를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external_image


더욱이 언락된 CPU 경우에는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 공냉식보다는 수랭식이 냉각 성능, 화려한 튜닝 효과를 고려해 봤을때 선택의 이유가 더 많을 것이다. 마이크로닉스 COOLMAX AID W240 ARGB 수랭 쿨러는 다나와 최저가로 6만 초반대의 합리적인 가격의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로 이제 막 수랭 쿨러에 입문하고자 하는 유저들을 위한 쿨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external_image


COOLMAX AID W240 ARGB 수랭 쿨러는 블랙 색상이라고 생각할 분들이 많겠지만 불행(?)하게도 깔끔한 느낌의 하얀 화이트 색상의 버전이다. 3열보다 라디에이터가 작은 2열 수랭 쿨러로써 넓고 큰 PC 케이스가 아니더라도 일반 미들타워 정도만 돼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external_image


INTEL, AMD CPU를 모두 지원하면서도 6만원 초반대의 착하디 착한 가격은 공랭 쿨러 사용자들을 생각을 바꾸게 하기에 충분하다. 삼성화재 생산물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되어 향후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 정책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어 안심이 된다. 


또한 3년 무상 보증을 제공하여 시스템 구축시 3년 안에 발생하는 이상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정해진 AS를 받을 수 있게 된다.



external_image


박스를 열어보면 화이트 컬러의 쿨러가 보이며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비닐로 다시 포장되어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쿨러 본체에서 가장 부피가 큰 것은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라디에이터이다. 274x120x27mm의 크기로 확실히 3열 수랭 쿨러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작아 협소한 PC 케이스 내에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튜브는 슬리빙 프로텍션을 통해 튜브를 보호하고 있으며, 완벽하게 마감처리된 고급스러운 형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또한 튜브와 라디에이터 연결부는 고무튜브로 깔끔하게 마감하여 혹시나 있을 누수에 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반대쪽 워터 블럭에도 라디에이터와 동일한 튼튼한 고무튜브 마감으로 수랭 쿨러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는 믿음직한 디자인이다.


이음부는 전혀 빈틈이 발견되지 않아 누수로 인한 쇼트와 화재 걱정이 있으며 PC 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 극대화시킨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워터 블럭의 수로 또한 고무튜브로 촘촘하게 마감되어 누수에 대한 걱정이 없다. 


워터 블럭은 물방울 패턴 디자인을 적용하여 형형색색 미려한 컬러로 눈을 자극한다. 46mm 높이, 69mm 지름의 원형 디자인은 본체 화이트 컬러와 잘 어울리면서도 PC 내부의 분위기를 한껏 살려주는 RGB 라이팅 효과는 보면 볼수록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CPU를 장착하면 1:1로 맞닿는 베이스는 열전도율이 뛰어난 구리재질로 바닥면을 매끈하게 래핑 처리하였다. 



external_image


연결 케이블 펌프용 3핀 커넥터, RGB 라이팅을 위한 케이블이 측면에 위치하여 120mm 냉각팬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CPU 쿨러 케이블과 120mm 냉각팬 케이블을 이어주는 3가지 타입의 케이블이 제공되는데 사진에서 왼쪽부터 3 in 1 PWM 케이블, 4핀 to IDE 케이블, aRGB 5V Sync 케이블로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헤더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INTEL, AMD CPU에 설치할때 필요한 백플레이트, 브래킷, 스터드, 스프링너트, 브래킷 고정나사, 플라스틱 와셔, 스탠드 오프 등 각종 나사류를 비닐에 포장하여 제공하고 있다. 보기에도 정말 많은 종류의 구성품이 제공되지만 CPU 제조사와 CPU 소켓에 따라 사용하는 부속품을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막상 설치할때 보면 혼란하지 않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알루미늄 재질의 라디에이터에 설치하는 120mm 냉각팬도 본체와 동일한 화이트 색상으로 만들어졌다. 연결 커넥터는 자동 속도 조절 기능의 4핀 PWM 타입으로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3핀 헤더 케이블 적용으로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RGB Sync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다양한 RGB 라이팅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 최대 풍량 : 65.5CFM

- 최대풍속 : 1600±10% RPM(100%) / 800±200 RPM (25%)

- 최대 풍압 : 1.89mm-H20


냉각팬은 총 9개의 블레이드(날개)를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풍속 1600±10%RPM 속도까지 지원한다. 



external_image



팬을 라디에이터에 장착할때 사용하는 4곳에는 진동 방지용 러버 패드가 앞뒤로 적용되어 있다. 

수랭쿨러 작동시 강력한 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고정나사 4개를 이용하여 고정해야 소음이나 

구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COOLMAX AID W240 ARGB 수랭쿨러 설치하는 방법과 순서는 그림으로 잘 설명되어 있다. 


- 워터블럭에 브래킷 설치 

- CPU 타입에 맞게 백플레이트 작업

- 라이에이터에 120mm 냉각팬 고정

- 워터블력 CPU에 고정 

- 라디에이터 PC 케이스에 설치


먼저 워터 블럭에 브래킷을 설치할때 주의할 것은 INTEL, AMD CPU 브래킷이 다르다는 것이다. 

AMC CPU 브래킷이 더 작고, 중앙부가 움푹 들어가 있어서 눈에 잘 띈다. 동봉된 나사 4개로 좌우 2개씩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해 주면 되는데, 나사를 체결하는 연결부가 플라스틱 재질이라 너무 과하게 힘을 주면 깨질 수 있다는 점이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백플레이트는 메인보드 뒤쪽에서 넣어 워터 블럭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설치 전에 미리 작업을 해두어야 하는 부속품으로 INTEL CPU 일 경우에는 일자형 홈이 위로, AMD CPU 일 경우에는 

일자형 홈이 아래 방향으로 오도록 하여 장착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설명서 상에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위, 아래를 바꿔 장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AMD CPU에 설치할 예정이므로 백플레이트의 일자형 홈이 오목하게 위로 튀어 올라온 방향으로 

고정해야 한다. 백플레이트 끝부분의 2개의 구멍 중 바깥쪽으로 고무와셔를 넣고 롱스터드 나사와 체결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워터 블럭과 백플레이트 연결 준비 작업이 끝나면 120mm 팬 2개를 라디에이터 위에 고정해준다. 필요한 준비물은 팬을 관통하는 긴 나사 4개가 필요하며 총 8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위에 고정한다. 


여기서도 한가지 주의할 것은 워터 블럭이 좌우측 어느 방향으로 향할지를 먼저 결정하고 팬 연결 케이블의 아래 방향으로 올 수 있게 장착해야 한다는 것이다. 120mm 팬을 장착한 라디에이터는 

PC 케이스 상단에 동봉된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해 주면 된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워터 블럭을 장착하는 순서와 방법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미 작업을 해놓은 AMD CPU용 백플라이트를 메인보드 뒤쪽에서 꽂아 넣는다. 그러면 뽀족한 부분이 메인보드 CPU 소켓부 앞쪽으로 올라오게 되며, 앞쪽에서 다시한번 고무 와셔를 끼우고 스탠드오프를 돌려 넣어 스프링 너트를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워터 블럭을 올리기 전에 써멀 구리스를 CPU 표면에 넓게 다량 도포해 준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마지막으로 스탠드 오프를 장착한 다음에는 워터 블럭의 브래킷 구멍을 맞춰 CPU 위에 올리고,

하드웨어(금속) 와셔를 다시 올리고, 스프링 너트로 최종 고정한다. 스프링 너트를 끝까지 돌려 넣으면 워터블럭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튼튼하게 고정된다. 스프링 너트 고정은 십자 드라이버가 아닌 일자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external_image


워터 블럭 고정까지 마쳤으면 원형의 워터 블럭에 부착되어 있는 파란색 보호필름을 제거해 준다.




external_image


전원 케이블 연결은 2가지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AURA SYNC, MYSTIC LIGHT, RGB FUSION, POLYCHROME와 같은 싱크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5V ADDR RGB 헤더를 지원해야 한다.


미지원 사용자들은 4핀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먼저 워터 블럭의 3핀 커넥터는 메인보드의 CPU FAN 헤더에 연결하고, 워터 블럭과 2개의 120mm 팬은 3 in 1 PWM 케이블로 이어준다.


최종적으로 이렇게 이은 3핀 커넥터는 메인보드에 있는 여분의 CPU FAN / CHA(Chassis) FAN 헤더에 꽂아주면 된다. +5V aRGB 헤더가 없는 사용자들도 4핀 to IDE 케이블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연결 작업을 마칠 수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워터 블럭, 120mm 팬 전원선을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부드럽게 작동한다. 워터 블럭과 냉각팬이 동시에 작동하며 냉각팬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블 연결이 잘못된 경우이므로 점검하여 다시 연결해야 한다. 


워터 블럭 상단의 물방울 패턴이 완성되고 사라지는  RGB Sync가 눈을 자극하며, 컬러풀한 색상이 보면 볼수록 이쁘다는 느낌이 든다. 




external_image


정리하면 메인보드에 +5V ADDR 헤더가 있으면 메인보드 사에서 제공하는 SY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지만 4핀 IDE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쿨러 차제에서 제공하는 RGB 라이팅 효과 1가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만 볼 수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RGB Sync로 연동하지 않더라도 화려한 컬러의 레인보우 RGB 효과를 지원하여 튜닝 효과로는 크게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외부에서 케이스 내부의 RGB 효과를 볼 수 있는 투명한 사이드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ARGB 효과를 구현하는 컨트롤러로 따로 구입하여 연결해주면 된다. 


메인보드에서 +5V ADDR 헤더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해서 메인보드 자체를 바꿀 필요는 없다. RGB 라이팅 효과의 색상 변화는 첨부한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COOLMAX AID W240 ARGB 쿨러 보러가기

http://prod.danawa.com/info/?pcode=11780842


리뷰 

http://dpg.danawa.com/bbs/view?boardSeq=264&listSeq=4341874



이 사용기는 제휴사와 다나와 체험단을 통해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Lv14 성큼큼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