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케이스/파워] 700W 파워의 기준을 정립하다! FSP FSP700-80APN

자유전사
댓글: 7 개
조회: 4128
추천: 4
2012-02-20 00:41:12

1.jpg

아직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량의 파워는 500W이지만, 고성능 그래픽카드의 가격 하향화 그리고 크로스파이어나 SLI의 사용도 점차 늘어나면서, 그 이상의 고용량 파워의 수요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요즘 파워들이 가격은 낮아지면서 고성능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더 많은 사람들이 고용량 파워를 찾고 있습니다.

성능좋고 안정감있는 제품으로 이름높은 FSP의 700W 파워, FSP700-80APN도 이러한 파워 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동급 대비 탁월한 가성비는 700W 파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이제부터 FSP700-80APN을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jpg

▲ FSP700-80APN과 홈페이지

컴퓨터 파워를 고를 때, 잘 조사안하고 무작정 그냥 골라도 되는 브랜드가 몇 개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FSP입니다. 뻥파워 논란으로 파워 시장이 격랑 속에 빠졌을 때 그 여파로 오히려 더 크게 성장하고 인정받은 회사가 FSP인데, 500W 파워인 FSP500-60APN은 그 이후 한동안 다나와 파워 인기차트에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을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실제로 제품을 사용해본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지금에 와서는 가장 믿을 수 있는 파워 제작사로 완전히 자리를 굳힌 회사가 바로 FSP입니다.

FSP700-80APN은 FSP가 내놓은 700W짜리 고용량 파워로 620W에 달하는 12V 출력에 풍부한 케이블 수의 지원, 저렴한 가격으로 높은 사양의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추후에 있을 업그레이드를 염두해두고 있다면, 충분히 고려해볼만한 파워가 아닐까 합니다. 다음부터는 내·외부 디자인을 시작으로, FSP700-80APN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jpg

FSP700-80APN 패키지 모습

패키지 디자인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본 모습입니다. 박스는 500, 600, 700 APN 시리즈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디자인으로 측면에서는 700W 파워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후면에서는 500, 600, 700W 파워의 세부 스펙을 서로 비교하면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4.jpg

▲ 제품과 기타 구성품

박스를 개봉하면 파워 외에 전원 케이블, 벨크로, 타이와 사용 설명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jpg

▲ 제품 전체 디자인 및 크기

FSP700-80APN의 전체 디자인은 굉장히 심플합니다. 450W나 500W 제품과 달리, 표면에 도장이 없어서 그냥 보기에 굉장히 심심한 면이 있습니다. 물론 파워는 디자인보다 성능이 더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블랙컬러 정도로 도장이 좀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조금 들었습니다.

크기는 폭(W) 140㎜, 높이(H) 86㎜, 깊이(D) 150㎜의 일반 ATX 규격을 가지고 있으며, 케이블은 24핀 메인커넥터를 제외하고는 리폼처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6.jpg

▲ 120㎜팬과 팬그릴

 

7.jpg

▲ 통풍에 효과적인 벌집무늬 에어홀

 

8.jpg

▲ 측면 디자인

FSP700-80APN의 측면을 살펴보겠습니다.스펙 레이블 스티커에서는 12V 쿼드레일 출력, 총 620W에 달하는 12V 출력량 등 FSP700-80APN의 세부적인 사항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또, 반대편에서는 이 제품이 Active PFC 회로 장착에 효율이 82%를 능가하며, 각종 안정성 테스트도 모두 통과한 뛰어난 제품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케이블이 있는 곳을 보면 케이블 주위에 안전하게 커버가 둘러져 있음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9.jpg

▲ 케이블 종류와 개수

700W 출력인 FSP700-80APN은 그 고용량만큼, 많은 수의 케이블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PCI-E 6핀과 PCI-E 6+2핀을 각각 2개씩 지원한다는 것인데, 이로써 그래픽카드를 크로스파이어나 SLI로 구성하는데에도 별다른 무리없이 해낼 수 있습니다. 또한, SATA 케이블도 총 6개로 확장성 면에서도 문제가 없으며, 케이블 길이 역시 하단파워 장착 케이스에서 무리없이 쓸 수 있을만큼 충분합니다.

 

10.jpg

▲ 내부 전체 디자인

제품의 내부 디자인 전체 모습입니다. 그냥 척 보아도, 내부 모습이 아주 충실해 보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다음부터는 각 부분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1.jpg

▲ 내부 부품(대용량 콘덴서, 안전회로, 스위칭 트랜스, 액티브 PFC)

내부의 모습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왼쪽 시계 방향 순으로 볼 때 대용량 콘덴서, 안전회로, 스위치 트랜스, 액티브 PFC 회로 등의 모습입니다. 콘덴서는 품질 좋기로 이미 잘 알려진 대만 Capxon사의 470㎌ 420V의 대용량 제품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700W에 이르는 높은 출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안전장치는 OVP, OCP, SCP 등 모두 가지고 있으며, 방열판 사이에서는 스위칭 트랜스, 그리고 82% 효율을 능가하게 하는 액티브 PFC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12.jpg

▲ 내부 부품(온도 조절장치, 접지, EMI필터)

FSP700-80APN의 내부에서는 그 밖에 온도 조절장치, 접지 EMI필터 등이 빠짐없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13.jpg

▲ 120㎜ 쿨링팬

FSP700-80APN은 쿨링팬으로 전 세계에서도 유명한 야트룬 사의 D12SH-12 제품을 채용하고 있으며, 소음도 그리 크지 않은 편이며 풍량도 상당히 우수한 편입니다.

 

14.jpg

▲ 테스트 시스템

 

15.jpg

▲ 전압 안정성 테스트

전압 안정성 테스트는 먼저 AIDA6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테스트하고, 다시 멀티 테스터기를 통하여 좀 더 정밀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테스트를 통하여 공차범위가 ±5% 안에 들어온다면, 그 제품은 안정성이 보편적으로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테스트는 FSP700-80APN 외에 파워렉스 렉스Ⅲ 80PLUS Triple V2.3과 비교하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6.jpg

▲ AIDA64 테스트

AIDA64를 이용행서 아이들과 풀로드 상태에서의 전압 변화를 알아보았습니다. 파워렉스 제품도 그렇지만, FSP700-80APN 역시 매우 2% 내외의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보여줍니다.

 

17.JPG

▲ 멀티 테스터기로 안정성 측정하기

다음으로 멀티 테스터기로 다시 한 번 전압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멀티 테스터기를 활용하면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보다 좀더 신뢰감있는 결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18.jpg

▲ 멀티 테스터기 측정 결과

두 제품을 멀티 테스터기로 측정한 결과입니다. AIDA64로 나타났던 결과처럼, 역시 매우 안정적인 결과값이 나타났으며, FSP700-80APN의 안정성의 뛰어남을 다시 한 번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19.jpg

▲ 소비전력 테스트

소비전력을 살펴보면, 대기전력의 경우 파워렉스에 비해 1W 미만을 확실하게 지켜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아이들과 풀로드일 때의 전력량을 살펴보아도, FSP700-80APN가 좀 더 높은 효율성을 내고 있음을알 수 있습니다.

 

20.jpg

▲ 소음 테스트

FSP700-80APN의 소음 정도를 살펴보았습니다. 테스터기에 나타난 수치는 42.9dB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렇게 부담없는 수치입니다.

 

21.jpg

▲ 다나와 700W 파워들과 FSP700-80APN의 가격

 

★ 장점

① 뛰어난 안정성

② 우수한 12V 가용량과 높은 효율성

③ 동급 제품 대비 저렴한 가격

 

★ 단점

① 다소 심심한 면이 있는 외부 도장

② 쉴드처리가 되지 않은 케이블

 

700W 파워 중에서도 아주 높은 경쟁력을 가진 제품, 바로 그게 FSP700-80APN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나와에서 나타난 700W 파워의 가격을 살펴보면, 타 제품에 비해 이 제품이 가장 저렴한 축에 속합니다. 물론 이 제품보다 더 저렴한 제품도 있긴 하겠지만, 성능이 보장된 제품 중에서 살펴보면 이 제품보다 더 나은 제품을 찾아볼 수 없을 것입니다. 이렇게 저렴하면서도 성능 하나는 또 매우 탁월하니, 600W 제품의 구매를 생각한다면, 한 단계 더 높여 이 제품을 생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나, 대부분 외부 디자인 측면이기 때문에 실 사용에 있어서는 아주 만족스러운 제품이었습니다. 과연 FSP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뛰어난 제품이었으며, 앞으로도 더욱 뛰어나고 우수한 제품 많이 출시되기를 기대하겠습니다.

 

키워드 : FSP, 파워 서플라이, ATX, 정격파워, 700W, 액티브 PFC, 12V 쿼드레일, 620V 12V 가용력

Lv88 자유전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