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이밍 그래픽카드 컬러풀 GTX1060 iGame X-TOP D5 SUPER OC 후기
RX480 이 나오고 한동안 그래픽카드 시장이 들썩거렸는데, GTX1060 이 등장하면서 다시 한번 들썩이는 것 같습니다. 기존 맥스웰 제품에 비해 한층 더 발전된 파스칼 시리즈는 GTX1060 에 이르기 까지 고용량 비디오램을 탑재한것이 특징입니다. GTX1060 은 맥스웰 GTX980와 유사한(치고 받는 성능) 성능을 보여주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 살펴볼 모델은 iGame 시리즈 중 상위모델인 GTX1060 X-TOP 제품 입니다.
■ 포장
전면 박스 표지에는 이번에 본사에서 밀고 있는 전사 캐릭터 이미지와 제품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iGAME 시리즈 중 U - TOP 과 X-TOP 모델이 출시 되었는데, 다른 모델은 해외에서도 출시되지 않은 것 같네요.
공식스펙
스펙을 살펴보면 레퍼런스 클럭과 다른 오버클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팬이달린 그래픽카드이기 때문에 길이도 유심히 봐야할 부분입니다.
■ 개봉
개봉을 하면 기본적인 포장 상태와 다양한 구성품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메뉴얼 및 설치CD뿐만 아니라 기존 그래픽카드 구성품과 다르게 특이하게도 조립 공구세트와 손장갑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메뉴얼은 전부 중국어로 작성되어 있고 다른 모델의 재탕 메뉴얼이기 때문에 큰 도움은 되지 않습니다.
■ 디자인과 특징
트리플 팬을 탑재한 그래픽 답게 약 302mm 의 긴 길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9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는 팬을 볼 수 있으며, 지그재그로 디자인된 팬 하단부는 공기 순환을 돕습니다.
상어 지느러미를 연상시키는 팬 디자인
후면 부에는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 DP Port X 3 / HDMI 2.0 X 1 / Dual Link (듀얼링크) DVI-I " 포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좌측 상단부에 위치한 원터치 버튼은 눌었을때는 노말(normal)모드 / 기본상태에서는 팩토리 오버클럭 모드로 전환됩니다.
듀얼바이오스 기반의 원키 오버클럭 버튼
PCB의 경우 냉납현상을 방지하는 디자인(실버 플레이팅)을 채택했으며 X-TOP 모델답게 오버에도 안정적인 6+2 페이즈 전원부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후면부는 백플레이트를 장착해 기판의 휨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최초 개봉시 백플레이트에는 비닐이 붙여져 있는데,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비닐을 뜯어 냈습니다.
쿨링 효율을 위한 백플레이트 디자인
그래픽카드의 골드핑거와 후면부 단자에는 이러한 마개들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품의 시리얼과 인증마크를 확인 할 수 있고, 우측에는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6 + 6 핀 파워포트를 적용한 모습입니다.
옆면에 자리잡은 RGB 라이트 창
현재 E610 케이스를 사용 중입니다. 케이스가 큰편은 아니지만 무리 없이 장착할 수 있었습니다.
장착이 완료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iGAME RGB 창이 점등됩니다. 기본은 레드색이며,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밝기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색 / 숨쉬기 / 사이클모드 선택이 가능합니다.
전용 소프트웨어는 기본 오버클럭 뿐만 아니라 구동되고 있는 GPU 의 정보와 앞서 소개한 RGB 를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베타버전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삭제를 해도 색상설정이 리셋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오버시 애프너 버너를 사용한다면 추후에 나올 정식버전을 다운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RGB 색상 변경
■ 오버클럭과 게임 플레이
원터치 오버클럭 버튼을 통해 오버모드와 기본모드 전환이 가능한데, 전원을 재부팅하거나 OFF 하지 않는 이상 실시간 클럭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바이오스 시스템이어서 적용하기 위해선 재부팅을 요구합니다.
- 3DMARK TEST
가장 많이 쓰이는 3D MARK Fire Strike (기본) 을 선택해 벤치마크 해보았습니다.
원터치 오버클럭 모드로 점수를 비교해보니 기본모드에 비해 약 700점 더 높은 그래픽 점수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오버클럭
애프터버너를 활용해 더 높은 오버를 진행해보았습니다. 노말(디폴트 클럭모드)는 사용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성능을 더 높여 기존 오버모드와 비교해 보았습니다. 오버시 파워리미트를 최대한으로 끌어 올렸기 때문에 기본 오버모드보다 온도가 더 올라갑니다.
다양한 클럭으로 테스트 해본결과 이 정도가 안정적인 클럭이라 생각되었습니다. GPU 클럭 / 메모리 클럭을 더 높인 모습입니다.
3D MARK 그래픽 스코어도 14268 점으로 한층 더 올라간 모습입니다.
41~44도 사이의 아이들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게임 플레이시 풀로드 온도는 게임벤치마크에서 소개하겠습니다.
■ 게임 벤치마크
여러가지 게임을 통해 기본 오버클럭과 앞서 설명했던 추가 오버클럭 성능을 비교 해보았습니다. 사실 노말 클럭 모드가 존재하긴 하지만 거의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추가 오버율과 성능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기본적으로 각 게임 구간에 따른 프레임을 비교해보았으며, 각각의 영상들은 60프레임으로 인코딩되어있기 때문에 고화질로 보는것을 추천해드립니다. 그리고 날씨가 너무 더운데, 에어콘이 없는 실내온도 29도에서 테스트를 진행했고 모두 수직동기화를 푼상태의 GPU 99 ~ 100% 사용량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스팀 벤치마크 메뉴를 통해 최고높음 옵션으로 비교한 영상입니다. 전반적으로 일부분에서 프레임의 격차가 많이 일어난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로 75도 이하의 온도를 보여주어 준수한 온도를 보여줍니다.
- 배트맨 아캄나이트
아캄나이트 그래픽 설정
엔비디아 게임웍스를 모두 켠 상태와 높음 옵션상태에서 벤치마크를 해보았습니다. 최대프레임과 최소프레임 그리고 평균프레임에 이르기 까지 오버한 환경이 좀 더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 크라이시스
GPU를 상당히 혹독하게 만드는 게임 중 하나인 크라이시스 입니다. 매우 높음 설정 그리고 안티얼라이징 SMAA 2TX 로 설정한 후 게임플레이를 해보았습니다.
기본 오버모드에는 팬속도 자동 / 우측 추가 오버에는 팬속도를 70%으로 고정시켰습니다. 둘다 80이하의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추가 오버 상태에서 더욱 원활한 프레임을 보여주었습니다.
- 위쳐3
역시 엄청나게 GPU를 갈구는 게임으로 유명한 위쳐3입니다. 높음 옵션과 적절한 타협을 통해 같은 구간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이번 게임은 온도가 80도 부근을 유지하고 있으며, 아주 큰 차이는 나지 않지만 추가 오버클럭 값이 3~5 프레임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 배틀필드4
최고옵션으로 설정, 기본 오버모드와 추가 오버클럭 환경을 비교해보았습니다.
GPU +80 / MEM +400 / Fan Speed 60% 고정 게임플레이
배틀필드4는 최초 그래픽카드를 달고 첫 오버 후 테스트한 게임입니다. 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팬 속도 값(60%)으로 설정해 사용했는데 온도가 85도 까지 치솟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80도 이하나 부근을 유지하고 싶다면 현재와 같은 날씨에서는 오버사용시 팬속도 70% 이상을 추천해드립니다.
기본 팩토리 오버
에서는 80도 부근에 근접하는 온도를 보여주며, 평균 79도의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 소음
팬 소음은 전체적으로 굉장히 정숙한 느낌입니다. 65%정도 부근에서는 확실히 정숙한 느낌이 들고 70% 에서는 미세한 소음이 들리며 75% 에서 부터 확실한 소음이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80% 에서는 그 보다 배가 되는 느낌의 소음으로 확실하게 시끄럽다라는 느낌이 듭니다.
■ 총평
전체적으로 GTX1060 X-TOP SUPER OC 는 1080P 해상도에 최적화된 그래픽 솔루션입니다. 그동안 익히 인기가 있어던 배틀필드4와 같은 FPS 게임의 경우 프레임을 매우 높게 뽑아주기 때문에 Fast Sync 에도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추가 오버시 온도가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실사용 시 전혀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니며 안정적인 게임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다만 최대 부스트클럭을 위해서는 서멀 재도포나 좋은 쿨링 환경이 중요시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 오버가 안정적으로 가능하다는 것과 튼튼한 전원부, 백플레이트 기본탑재, 그리고 정숙한 소음이 강점이 되는 그래픽카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