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그래픽카드] 게이밍 NO.1 MSI 라데온 R9 380 GAMING 2GB 사용기

c11010
댓글: 1 개
조회: 5700
2015-07-25 13:27:44

 

안녕하세요! 이번 사용기에서 다룰 제품은 한달전 출시했던 신작 라데온 R9 380중 MSI에서 제조한 MSI 라데온 R9 380 GAMING 2GB에 대해 다룰까 합니다. MSI 라데온 R9 380 GAMING 2GB은 라데온의 새로운 20만원대 그래픽카드이며 경쟁사 제품 대비 어떤 장점이 있는지 이번 리뷰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정말 관심많이가진 부분이라 그 결과가 사뭇 기대됩니다.


 

11.jpg

라데온 300시리즈는 2015년 6월 출시한 라데온의 새로운 그래픽카드 제품군입니다.

300시리즈의 기본 베이스는 전작 라데온 Rx 200시리즈와 같은 GCN1.0~1.2코어 기반이지만 현재 시장 상황에 따라 라인업을 축소시켰고 가격도 현재 상황에 맞게끔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한게 특징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라데온 300.jpg

라데온 Rx 300시리즈는 기존 너무 촘촘하고 복잡했던 라인업을 위 도표와 같이 대폭 축소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 R9 380은 기존 R9 285와 R9 280X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라인업이며 현재 라데온의 20만원대 주력 제품입니다.

 

12.jpg

스펙.jpg

R9 380.jpg

MSI R9 380 GAMING 2GB의 스펙입니다.

코어는 기존 R9 285에 사용되었던 Tonga 기반이며, 팩토리 오버로 인해 기존 모델보다 클럭이 높아져

조금 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3.jpg


20150723_102545.jpg

MSI R9 380 GAMING 2GB의 박스 외형입니다.

MSI 게이밍 라인업에서 만나볼 수 있는 용 문양이 그려져 있습니다.

 


20150723_102646.jpg

박스 뒷면에는 MSI R9 380 GAMING 2GB에 사용된 TORX FAN, 히트파이프 설계

제로 프로져(IDLE상태에서 팬이 돌지 않는 기술)오버클럭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면과 함께 이 제품의

상세 스펙에 대해 기재되어 있습니다.

20150723_103043(0).jpg

저 박스를 열면 안에 이런 박스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박스 포장은 20만원대 제품답지않게? 고급스럽습니다.


20150723_103224.jpg

MSI R9 380 GAMING 2GB의 구성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MSI R9 380 GAMING 2GB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CD, RGB-DVI변환 젠더,유저 가이드 이렇게 들어있습니다.

20150723_103450.jpg

처음 꺼냈을때 쿨러에 저런식으로 제로 프로져 기능에 대한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이번에 제로팬 기술을 탑재한 제조사들이 늘어나면서 부팅했을때 그래픽카드 팬이 돌지 않는다고 문의가 많이 들어와

제로팬 기능이 탑재 되어 있다는 사실을 조립하기전에 강제로라도 안내를 보도록 유도한 방식인거 같습니다.

(저 스티커는 당연히 구동시 제거하셔야 됩니다)

 

길이는 약 27cm정도로 결코 짧은 길이는 아니기에 케이스와의 호환성은 반드시 살펴보셔야 됩니다.


 

20150723_103827(0).jpg

MSI R9 380 GAMING 2GB는 알루미늄 백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20만원대에선 보기힘든 퀄리티의 백플레이트가 인상적입니다.

20150723_104010(0).jpg

출력 포트에는 모두 보호 마개가 씌어져 있습니다


 

20150723_104034.jpg

출력포트 구성은 DP,HDMI,DVI-D,DVI-I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50723_104202.jpg

그래픽카드 측면입니다.

왼쪽에 보이는 MSI와 용문양은 부팅시 LED가 점등됩니다.

20150723_104210.jpg

보조전원은 6핀 2개를 필요로 합니다.

20150723_105106.jpg

쿨러를 제거하고난 뒤의 모습입니다.

쿨러 내부에는 메모리 모듈과 전원부 모스펫을 보호하고 발열 해소를 위한 알루미늄 가이드가 씌워져 있습니다.

20150723_105612.jpg

이 가이드에는 메모리 모듈이나 전원부 모스펫 접촉부위에 모두 써멀 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발열해소에도

신경쓴 모습입니다.

20150723_105407(0).jpg


MSI R9 380 GAMING 2GB의 PCB 모습입니다.
메모리모듈은 총 8개로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지니고 있으며, 전원부는 6+1페이즈 입니다.

그리고 크로스파이어 단자가 보이지 않는데 R9 380은 GCN1.2 아키텍쳐로 크로스파이어 브릿지 없이 크로스파이어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20150723_105428.jpg

MSI R9 380 GAMING 2GB에 사용된 코어는 Tonga(Antigua)입니다.

20150723_105510.jpg

전원부는 6+1페이즈로 이 가격대에선 매우 충실한 구성이라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20150723_105700(0).jpg

MSI R9 380 GAMING 2GB에 사용된 쿨러의 코어 접촉부 입니다.

히트파이프 및 코어와 맞닿는 부분은 구리 베이스에 니켈 도금이 되어있어 구리 변색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20150723_114741.jpg
큐브 케이스에 조립한 MSI R9 380 GAMING 2GB입니다.
길이가 27cm정도 되기때문에 케이스와의 호환성 여부는 반드시 알아보셔야 되며, 백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어 일부 저가형
M보드에는 장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14.jpg

스펙.jpg

(1) 3Dmark Firestrike
6.jpg
MSI R9 380 GAMING 2GB 기본 상태(980/5500MHz)
5.jpg
MSI R9 380 GAMING 2GB 오버 클럭 상태(1070/6200)
파이어스트라이크.jpg
대표적인 그래픽카드 벤치마크인 3Dmark 측정 결과 입니다.
경쟁사 제품인 GTX960보다 기본상태 및 오버클럭 상태 모두 앞서는 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2) 3Dmark 11
3d11.jpg
MSI R9 380 GAMING 2GB 기본 상태(980/5500MHz)
3dm11oc.jpg
MSI R9 380 GAMING 2GB 오버 클럭 상태(1070/6200)

11.jpg
3Dmark11에서는 R9 380보단 GTX960쪽에 무게가 실린 모습인데요, 아무래도 720P저해상도 벤치마크라 높은 메모리 대역의 이점을 보지 못했고 또안 쉐이더에 크게 영향받는 벤치마크의 특성 때문에 발생한 결과라 생각되어집니다.
 
15.jpg
게임은 최신게임 및 인기게임 3종으로 진행하였습니다.
MSI R9 380 GAMING 2GB는 R9 380의 레퍼런스 상태와 스펙차이가 거의 없는 만큼 GTX960쪽도 래퍼런스 클럭으로 낮춰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해상도는 1920x1080(FHD)해상도와 2560x1440(QHD)해상도이며 2560x1440해상도의 경우엔
AMD와 엔비디아가 제공하는 가상 해상도 기능 (VSR 및 DSR)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3840x2160(UHD)해상도의 경우 2GB VRAM으론 해당 3가지 게임 모두 실행조차 불가능 하였기에 테스트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종 게임 성능인 만큼 모든 게임에서의 성능을 대변하지는 않는다는 점 참고하여주시고,
 모든 벤치마크는 "동일 구간"에서 3회 진행하여 얻어낸 평균치와 최소치라는점 알려드립니다.
 
(1)배틀필드 4
배필.jpg
배틀필드4는 다이스에서 개발하고 EA에서 유통중인 FPS게임입니다.
2013년 말에 pc판으로 발매된 게임으로 발매된 시기는 제법 되었지만 여전히 상당한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이며,
많은 매니아층을 확보하고 있는 게임이기도 합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옵션은 "울트라(최고)"옵션 입니다.
2.jpg
배틀필드4 같은경우엔 FHD해상도와 QHD해상도 모두 GTX960래퍼런스보다 앞서는 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격차도 10%이상으로 적지않은 편입니다. 다만 최소 프레임 유지 측면에선 960보단 열세이지만 기본적으로 평균 프레임은
높은 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2)GTA5
GTA-5.jpg
GTA5는 락스타 게임즈가 개발한 3인칭 오픈월드 액션 어드벤쳐 게임입니다.
PC판 발매는 2015년 4월로 pc판으로 따졌을땐 비교적 최근에 출시한 게임입니다.
최신게임인 풀 옵션으로 즐기려면 상당한 고사양이 요구되지만, 저사양 그래픽카드에서의 최적화가 상당한 수준이라
중,저사양 유저들에게도 호평받는 게임이죠.
 
R9 380같은 경우 GTA5를 다음 옵션으로 무리없이 즐길 수 있었습니다.
gta5 옵션.jpg
FHD및 QHD모두 이 옵션으로 벤치마크가 진행되었으며, QHD같은경우 VRAM경고창이 뜨지만 벤치마크 구동엔
크게 이상이 없었습니다. (단, 실제 게이밍 환경에선 QHD구동시 옵션 타협 필요)
 

3.jpg
GTA5같은경우 FHD환경에선 GTX960이 약간 좋은 퍼포먼스를 보였으나 QHD에선 성능이 역전되어 R9 380이 5%정도 우세한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요, 이는 R9 380의 메모리 버스는 128비트 GTX960보다 넓은 256비트 메모리 버스를 사용하고 있어 고해상도에서 성능하락이 적다는 점이 드러난 결과라고 생각되어집니다.
 
(3)위쳐3 와일드 헌트
위쳐_3_와일드_헌트.jpg
위쳐3은 2015년 5월에 발매된 정통 RPG게임으로 최신게임인 만큼 상당한 고사양을 요구합니다.
R9 380이나 GTX960 모두 최고옵션은 제대로된 플레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옵션은 "높음"으로 진행되었습니다.
 

65.jpg
위쳐3같은경우 사양 자체가 상당히 고사양이라 옵션이 최고에서 한단계 낮은데도 불구하고 높은 프레임을 기대하기 어려웠습니다. 성능은 GTX960과 R9 380모두 거의 동일하게 나왔으며, 특히 QHD에선 개인적으로 의구심이 들어 추가 테스트를 진행하였지만 모두 소수점 이하 오차범위 내의 차이만 보여 QHD와 FHD모두 동급으로 결론을 지었습니다. 평균 프레임은 비슷하지만 최소 프레임에선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QHD에선 그 차이가 상쇄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6.jpg
 
(1)온도
온도.jpg
*실내 온도 27도
 
온도는 GPU-Z에 표기된 "코어 온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IDLE시 40도, FULL LOAD(3Dmark Firestrike 구동)시 68도로 여름철,큐브형 미니케이스에서 테스트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온도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2)소음
소음.jpg
소음기준.png
IDLE환경에선 팬이 돌지않아 테스트하지 않았으며,
풀로드 환경에서도 43데시벨로 "매우 정숙합니다"
도서관,조용한 사무실에 비견되는 소음수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3)시스템 전체 전력소모
전력소모.jpg
GTA5 벤치마크 구동 중 "평균 전력소모"입니다.
경쟁사 제품대비 다소 높은건 아쉽지만, 이정도 차이가 단일 그래픽카드로는 하루종일 게임 돌리는 환경이 아니라면
실제 체감될만큼의 전기요금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17.jpg

AMD VSR은 가상 초고해상도 기능으로 고해상도를 설정할 수 없는 모니터에서도 QHD 및 UHD의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그렇다면 이 AMD VSR은 어떻게 설정하는 것인지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vsr1.jpg
먼저 AMD 카탈리스트 컨트롤 센터에 들어가신후 내 디지털 평면 패널 - 등록정보를 탭 합니다.
그리고 이미지 확장 설정에서 가상 초고해상도 활성화를 체크하시고 적용을 누르시면.. 화면이 한번 깜빡인 후 가상 초고해상도를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vsr2.jpg
이렇게 모니터에서 지원되지않는 고해상도를 지정할 수 있게 됩니다.
이건 실제 바탕화면에서 사용하기엔 아이콘이 너무 작아져 어렵지만 게임 환경에서 사용하신다면 상당한 품질향상을 이끌어 낼 수다는 장점이 있으며 실제 QHD품질과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 중론이라 FHD혹은 그 이하의 해상도만 지원하는 모니터인데 QHD혹은 그 이상의 품질을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이 기능을 적극 활용하길 바랍니다.
 
초고해상도.jpg

실제로 가상 초고해상도(VSR)기능을 이용하시면 저렇게 눈에띄는 품질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상당한 그래픽 사양이 요구되는만큼 적절하게 타협하시는거도 중요하겠습니다.
 
18.jpg
 
128.jpg
MSI R9 380 GAMING 2GB는 2015년 6월에 출시한 라데온 R9 380을 기반으로 MSI에서 제조한 비 래퍼런스 제품입니다.
우수한 트윈프로져5 쿨러로 인해 발열 및 소음억제가 매우 우수하여 정숙하면서도 낮은 코어 온도를 유지한다는게 인상적이였으며, 특유의 검-빨 디자인 그리고 측면 LED점등, 이 가격대에선 보기 힘든 고급스러운 백플레이트 까지 갖추고 있어 아크릴 케이스 이용자분들껜 매력요소가 될 것이며(반대로 말하면 일반 케이스를 사용하시는 분들껜 가격상승 요소만 됩니다), 성능 또한 대부분 경쟁사 GTX960에 꿀리지 않고 QHD환경 및 일부 게임에서는 앞서는 결과를 보여 성능에 대한 경쟁력도 경쟁사와 대비해 충분히 갖추었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여전히 경쟁사대비 높은 전력소모와 MSRP $199로 책정된 그래픽카드 치곤 국내 가격이 안정화가 덜되어 좀 비싸다는 측면인데, 가격 안정화가 이루어져 경쟁사 제품과 비슷한 가격대가 형성된다면 20만원대 그래픽카드중 매력적인 하나의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길었던 필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필드테스트는 AMD코리아(www.amd.com/ko-kr) 제공 
플레이웨어즈(http://www.playwares.com)의 주관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필테 기회 마련해주신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Lv5 c11010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