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그래픽카드] [2부] AMD R9 290 끝판왕의 클래스!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

v프링글스v
조회: 6145
2015-03-24 14:08:03
 
 
VSR (Virtual Super Resolution) 살펴보기

 
1.jpg
 
AMD Catalyst 14.12 Omega 드라이버에서 부터 1920 x 1080의 FHD 해상도 지원 모니터에서 가상 2K, 4K의 해상도를 체험할 수 있는 VSR (Virtual Super Resolution) 기능을 지원합니다. nVIDIA의 DSR에 대응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죠.
 
아직은 R9 285 / 290 / 290X 에서만 지원하며, 3840 x 2160의 4K 해상도는 285에서만 지원합니다. (290 / 290X는 3200 x 1800 해상도 지원)
 
 
2_다나와.jpg
 
VSR의 활성화는 간단합니다.
 
CCC (카탈리스트 컨트롤 센터) 에서 내 디지털 평면 패널 - 등록정보 - GPU로 축소하기 옵션을 체크하면 끝!
 
 
3_다나와.jpg
 
VSR 활성화 후 QHD 해상도의 2560 x 1440, 약 3K 해상도의 3200 x 1800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jpg
 
본격적으로 VSR 적용에 따른 이미지 품질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파크라이4의 게임 내 장면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5.jpg
 
6.jpg
 
어떤가요? 차이점을 아시겠나요?
동일한 부분을 원본 비율로 크롭해서 비교해본 결과, 사슴 피자국 내의 땅의 질감과 ​돌맹이들이 VSR 적용시 훨씬 선명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슴의 털 역시 또렷하게 느껴지고, 다리 부분의 계단 현상도 더 자연스럽게 완화된 것을 알 수 있죠.
VSR 성능 테스트​
7.유니티.jpg

8.배필4.jpg

9.파크4.jpg
 
 
VSR 성능 테스트 결과
 
VSR 적용시 성능 테스트 결과를 요약하면,
 
2560 x 1440 해상도 적용시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 - 최소 프레임 약 28.9% / 평균 프레임 약 29.76% 하락
배틀필드4 - 최소 프레임 약 37.14% / 평균 프레임 약 35.7% 하락
파크라이4 - 최소 프레임 약 22.06% / 평균 프레임 약 30.01% 하락
 
 
3200 x 1800 해상도 적용시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 - 30 프레임 이하 플레이가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에 테스트에서 제외
배틀필드4 - 최소 프레임 약 62.86% / 평균 프레임 약 55.87% 하락
파크라이4 - 최소 프레임 약 44.12% / 평균 프레임 약 48.75% 하락
  
으로 최신 게임에서 보다 적은 성능 하락을 보여주었으며, 풀 옵션 상태에서도 2560 x 1440 해상도의 VSR 적용시 30 프레임 이상 플레이가 가능하였습니다.
 
보다 많은 비디오 메모리와 대역폭을 요구하는 최신게임에서 고해상도 VSR을 적용하더라도 풀옵션 또는 높은 옵션에서 안정적으로 프레임을 뽑아주는 결과라데온 R9 290의 4GB 512Bit 폭이 고해상도에서 보다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좋은 예라 할 수 있습니다.
 
 
 
 
 
게이밍 성능 테스트

 
테스트 시스템 셋팅
1.테스트 시스템_다나와.jpg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정보
테스트 클럭 정보
2.기본클럭_다나와.jpg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의 기본클럭 정보
  Core Clock: 1030 MHz
  Memory Clock: 5600 MHz
  GPU 전압: 1.242V
 
3.오버클럭_다나와.jpg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의 오버클럭 정보 (기본 전압 내)
 ■ Core Clock: 1110 MHz
 ■ Memory Clock: 6000 MHz
 ■ GPU 전압: 1.242V
 
 
4.익스트림 OC_1.jpg
 
최대 오버클럭을 위해 전용 유틸리티인 Sapphire TRIXX 에서 추가로 +200mV의 전압을 인가해 주었습니다.
 
5.익스트림 OC_2_다나와.jpg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의 Extreme 오버클럭 정보 (+200mV)
  Core Clock: 1200 MHz
 ■ Memory Clock: 6500 MHz
 ■ GPU 전압: 1.406V
 
 
6.파플.jpg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의 IDLE 클럭 정보
 Core Clock: 300 MHz
 ■ Memory Clock: 600 MHz
 ■ GPU 전압: 1.008V
게이밍 성능 테스트
 3DMARK 11 
7.마크11_1.jpg
 
8.마크11_2.jpg
 
 
 3DMARK Fire Strike 
9.마크13_1.jpg
 
10.마크13_2.jpg
 
 Assassin's Creed: Unity 
11.어쌔씬.jpg
 
 
BattleField 4 
12.배필4.jpg
 
 
 Black Desert Online (검은사막 온라인) 
13.검은사막.jpg
 
 
CRYSIS 3 
14.크라3.jpg
 
FARCRY 4 
15.파크라이4.jpg
 
 
게이밍 성능 테스트 결과
 
테스트 결과만으로 성능을 분석해본다면, 하이엔드 제품답게 어쌔씬 크리드 유니티를 제외한 모든 게임의 풀옵션에서 50 ~ 60 프레임 이상의 아주 쾌적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였습니다. (CRYSIS 3의 경우 2x SMAA 설정시 65프레임 이상 가능)
 
 
게이밍 테스트를 하는 동안 단순 프레임 수치 측정보다 더 인상깊었던AMD 그래픽카드 특유의 프레임은 높지만, 미세한 끊김이 발생하는 현상 (마이크로 스터터링) 을 거의 느낄 수 없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동안 AMD에서는 멀티 GPU 구성의 CF, CFX 뿐만아니라 싱글 GPU에서도 발생되는 마이크로 스터터링 해결을 위한 Frame Pacing 개선에 상당한 공을 들여왔었고, 이번 Omega 드라이버에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어 보다 쾌적한 느낌이 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더불어 최소프레임이 높게 유지되고, 평균프레임과의 격차가 크지않아 프레임 유지율이 뛰어나다는 것을 쉽게 유추볼 수 있고, 최신 게임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어 이러한 느낌에 더욱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을까 판단됩니다.
 
 
17.성능 비교표_다나와.jpg
 
 
각종 벤치마크 자료들 중 Omega 드라이버를 사용한 리뷰만을 추려 R9 290의 성능을 정리해봤습니다. 이를 통해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TRI-X의 성능레퍼런스 R9 290X, GTX970, GTX780 TI와 동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버클럭시 성능은 (성능 향상 수치는 아래 정리표 참고)
 
기본전압 내 O.C - 비레퍼런스 GTX970 수준
Extreme O.C - 레퍼런스 GTX980에 근접하는 수준
 
 
이라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고, 고해상도로 갈 수록 4GB 메모리와 512Bit의 메모리 대역폭이 본격적으로 힘을 받아 성능 격차는 점점 줄어들 것이라는 것도 쉽게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물론 nVIDIA 제품들도 오버클럭 포텐셜이 높기 때문에 오버클럭을 하게되면 격차가 또 벌어지겠지만, 더 쉬운 비교를 위해 각종 벤치마크 자료들을 참고하여 레퍼런스 R9 290을 기준으로 성능표를 정리한 것이며, Sapphire R9 290 VAPOR-X OC TRI-X가 게임에 따라 GTX970과 업치락 뒤치락 하는 성능에는 변함이 없을 듯 싶습니다. 
 
 
 
   
게이밍 성능 테스트 정리 & 요약
16.게임 성능 테스트 요약_다나와.jpg

 
 
 
 
온도 & 소음 테스트

 
온도 테스트
1.온도.jpg
 
- 온도측정은 GPU-Z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실내온도 20.1도 기준)
- 최상의 쿨링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녹투아 NT-H1 써멀그리스를 새로 도포하였습니다.
 
2.온도 결과1.jpg

2.vrm 온도.jpg
 
온도 테스트 결과
GPU 온도 측정 결과 기본클럭에서는 71도실사용에 전혀 문제없는 양호한 수준의 온도를 보여주었으며, 기본 전압 내에서의 오버클럭에서도 단 1도 밖에 상승하지 않았습니다.
 
+200mV의 추가 전압을 인가한 Extreme 오버클럭에서는 81기본클럭 온도에 비해 약 10도가 상승하였지만, 각종 벤치마크에서 보여주었던 레퍼런스 제품에서 약 90도 이상의 온도를 보여주었던 것을 비교본다면, 높은 수준의 추가 전압을 인가하고도 훌륭한 발열 억제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GPU 만큼이나 강한 열기를 뿜어주는 전원부 온도 역시 60 ~ 80도 상당히 양호한 수준을 보여주어 VAPOR-X & TRI-X의 강력한 쿨링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소음은?
 
바로 다음 소음 테스트에서 확인해보도록 하죠.
 
 
 
 
소음 테스트
3.소음측정.jpg
 
소음 측정은 보급형 소음계를 이용하여 약 20C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하였으며 (주변 소음 35.3 dB(A) 기준), 판단 기준은 소음 기준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4.소음 결과1.jpg
 
5.소음 결과2.jpg
 
 
소음 테스트 결과
 
소음 테스트를 하면서 '이거 쿨러 결합하면서 팬 커넥터를 안꼽았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매우 정숙했습니다. IDLE 상태에서는 물론, LOAD시에도 40 dB 수준 그동안 많은 그래픽카드를 테스트 해봤지만, 하이엔드급에서는 가히 최고급이라해도 손색이 없을만큼 뛰어난 수준이었습니다.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신경을 곤두세우고 듣지않는 이상 다른 팬소음에 묻혀 잘 인지할 수 없는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IDLE과 LOAD시 소음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은 쿨링팬의 RPM이 크게 높아지지 않았다는 것이고, 그로 인해 소음 발생도 크지 않다는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소음 테스트를 한 거리가 앞서 측정 방법에서 언급했듯이 약 20 ~ 25Cm 떨어진 거리이고, 일반적인 PC 사용 환경도 이보다 가깝다고 생각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본 전압 내에서 오버클럭을 하더라도 온도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약간의 소음도만 증가했을 뿐 체감 소음은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전압을 동반한 최대 오버클럭을 하게되면 약 49 dB 까지 소음이 급격히 상승하여 기본클럭과 비교시 확실히 시끄러워지고, 큰 소음을 유발하게 됩니다. 그래도 레퍼런스 쿨러 (약 55dB ~ 60dB 수준) 의 소음보다는 훨씬 덜한 수준듯 싶군요.
 
 
 
 
온도 & 소음 테스트 정리 & 요약
6.온도 소음 테스트_다나와.jpg
 
 
 
 
 
소비전력 테스트

 
1.소비전력 측정.JPG
 
소비전력 테스트는 인스펙터2 SE로 측정하였으며, 성능 측정 동안에 최소/최대 소비전력값을 평균내어 기록하였습니다. 소비전력 수치는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에 해당합니다.
 
2.소비전력 결과.jpg
 
소비전력 테스트 결과
우선 테스트 시스템에서 웹서핑시 약 107 ~ 120W, 랜더링, 인코딩 등의 CPU 풀로드시 (그래픽카드 로드율 0%) 약 160 ~ 168W 정도 전력을 소모합니다.
이를 감안하고 CPU 멀티코어 활용도​가 높은 CRYSIS 3의 소비전력과 비교해보면, 275W의 TDP 스펙 보다는 더 낮은 수준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전압 내에서 오버클럭시 최소 ​16.8W ~ 20.2W 까지 소비전력이 상승하였지만, 약 7%에 가까운 성능 향상이 있는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반면, 최대 오버클럭시에는 전압이 무려 200mV가 상승하였기 때문에 소비전력 역시 500W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상당한 전압을 추가로 인가하였다고는 하지만, 갑자기 소비전력이 약 130W 이상이 증가하니 무섭군요. ㅎㄷㄷㄷ
​따라서 성능 향상폭과 전성비의 관계를 고려하여 오버클럭은 기본전압 내에서 최대치로 클럭을 끌어올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소비전력 테스트​ 정리 & 요약
3.소비전력 테스트 요약_다나와.jpg

  
 
 
 
사용 총평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지금까지 Sapphire Radeon R9 290 VAPOR-X OC 4GB TRI-X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사파이어 고유의 감성, '나 비싼 놈이야!' 하는 듯한 고급스러운 금속 재질의 하우징과 강력한 포스를 뽐내주시는 백플레이트 디자인, 뿐만아니라 GPU 온도에 따른 3단계의 LED 변화를 보여주는 측면 LED 인디케이터는 기능적인 역할과 시각적인 튜닝 요소도 함께 포함되어 하이엔드급 최고급형 타이틀에 걸맞는 요소들을 거의 모두 갖추었다고 생각됩니다.
​외형 만큼이나 전원부 역시 사파이어 다이아몬드 초크를 사용한 6+2+2 페이즈, 최고급형 DR.MOS​ + DirectFET, 최상급의 일제 캐패시터, 디지털 PWM 컨트롤러의 최고급형 제품에서나 볼 수 있는 막강한 구성으로 추가적인 전압을 인가하여 상당히 높은 오버클럭을 달성함은 물론,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였습니다.
성능에 대한 부분은 본 리뷰에서 R9 290X나 GTX970과 직접적으로 비교하면서 테스트를 하진않았지만, 이미 너무나 많은 테스트 자료들이 있기 때문에 이를 종합해본다면, 기본 클럭 상태에서 R9 290X 이상의 성능이라 할 수 있으며, 간단한 오버클럭 상태에서도 현재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레퍼런스 디자인의 GTX970 제품들과 게임에 따라 업치락 뒤치락 하는 수준의 성능을 지녔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GTX970이 메모리 관련 설계 문제로 떠들썩한 요즘 R9 290이 가지고 있는 4GB 메모리와 512Bit의 메모리 대역폭은 고해상도로 갈 수록 성능적으로 더욱 큰 강점으로 부각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4K 해상도 영역은 옵션 조절을 통해 극복 가능한 부분)
그리고 Catalyst Omega 드라이버가 이미 알려진대로 절대적인 평균 성능을 극적으로 끌어올려주지는 않지만, 무엇보다 프레임 유지와 부드러운 게임플레이가 가능하여 마이크 스터터링 개선에 있어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느끼기에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부분입니다.
쿨링 성능은 여태까지 다뤄본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중 거의 최고급의 소음 억제 수준과 PCB 디자인까지도 쿨링에 최적화되어 있어 우수한 발열 처리로 VAPOR-X & TRI-X의 강력한 쿨링 성능을 엿볼 수 있었고, 쿨러로 인해 보이지 않는 전원부 방열판 디자인 뿐만아니라 전체적인 마감까지 완벽하여 무엇하나 흠잡을 곳이 없었기 때문에 사파이어에서 정말 작정하고 세심한 부분까지 고려하여 만들었다는 것을 유감없이 느낄 수 있었습니다.
진정 라데온 R9 290 끝판왕의 클래스가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는.....
개인적으로는 국내에서 유독 R9 290이 GTX970의 그늘에 가려져 과하다 싶을정도로 평가 절하​되었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과거와는 달리 AMD에서도 게임사와 적극적인 협력과 꾸준한 네버세틀 프로모션으로 AMD 그래픽카드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게임들이 많아졌으며, 소비전력 차이 역시 비레퍼런스 제품끼리 비교시에는 그 격차가 많이 줄어들어 레퍼런스 제품끼리 비교할 때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가 보여준 최고급형 제품으로써 '끝판왕'이라는 수식어가 아깝지 않을만큼의 퀄리티와 포스, 가격도 37만원으로 과거에 비해 가성비가 높아진 점을 고려한다면, 재조명 받을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를 사용하면서 느낀 장단점과 개인적인 평가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하이엔드 게이밍 유저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외형 디자인과 기능 제공
6+2+2 페이즈, DR.MOS + DirectFET, 일제 솔리드 캐패시터, 디지털 PWM 컨트롤러의 최상급 전원부 구성
PCB 확장 설계, 쿨링에 용이한 전원부 컴퍼넌트 배치, 독립형 전원부 히트싱크까지 발열 해소에 최적화 된 PCB 디자인
VAPOR-X & TRI-X의 강력한 쿨링 성능 및 정숙한 소음
Sapphire TRIXX를 통한 200mV 추가 전압 인가 가능 (오버클럭 잠재력 극대화)​
GPU 온도에 따른 3색의 LED로 변화하는 LED 인디케이터 기능으로 시각적 튜닝 효과 제공
GPU 온도에 따른 쿨링팬 작동을 제어하는 IFC 기능 제공
1.8M HDMI 케이블 제공
완벽한 마감과 훌륭한 완성도​
단점
단점이 없는 것이 단점! (딱히 지적할만한 소소한 부분도 없음!)
한줄요약
'이게 바로 라데온 R9 290 끝판왕의 퀄리티와 포스!'
 
마지막으로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TRI-X를 필두로 R9 290 비레퍼런스 디자인의 제품들이 다시금 재조명을 받기를 바라면서, AMD R9 290 끝판왕의 클래스!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 리뷰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플웨즈 운영진분들과 AMD 코리아 관계자분들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_(_ _)_ 꾸벅~ 
 
 
 
 
 
** 이 리뷰는 플웨즈와 AMD 코리아 & (주)이엠텍아이엔씨로 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키워드: Sapphire 라데온 R9 290 VAPOR-X OC 4GB TRI-X, AMD R9 290, VAPOR-X TRI-X, AMD Catalyst 14.12 Omega 드라이버, IFC, LED 인디케이터, UEFI BIOS, VSR, 이엠텍, AMD코리아
 
 
 
 
 

Lv48 v프링글스v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