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후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그래픽카드] GIGABYTE 지포스 GTX950 UD2 OC D5 2GB 윈드포스 Review

RooLPeRi
댓글: 1 개
조회: 3912
추천: 1
2015-08-31 04:05:23
이 리뷰는 쿨엔조이 및 제이씨현(기가바이트)을 통해 받은 필드테스트 제품 1개와 별도로 구한 제품 1개로 테스트가 이루어졌음을 밝힙니다.
 
GIGABYTE 지포스 GTX950 UD2 OC D5 2GB 윈드포스

GTX950. 기존 유저들의 GTX750 ti 와 GTX960의 갭을 해소하기 위해 출시한 제품으로
출시 전에는 메인스트림의 기대를 한몸에 받던 제품에서 출시 후 가격과 GTX960과의 적은 성능 격차로 인해
관심도가 낮은 제품이 되었습니다. 그러한 점에서 GTX950의 자세한 성능 측정과 리뷰 그리고 한번쯤은 생각해보는
이걸 두개를 연결하면 어느정도일까? 라는 의문을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리뷰의 목차는
- 스냅샷
- 스펙과 시스템 소개 및 오버클럭
- 3DMark 벤치마크
- 게임 벤치마크
- 온도 / 소음 / 전력 사용량
- 총평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품 스냅샷

1.jpg
제품의 박스 패키징은 기가바이트의 상징. 퍼런눈깔입니다.

2.jpg
개봉시 검은색 스펀지와 정전기 방지 비닐로 쌓여진 그래픽카드를 볼 수 있습니다.

3.jpg
그래픽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부속품입니다. ...
네 이게 끝이에요... 뭔가 허전합니다. DVI to D-SUB 젠더라던가 6pin to 4 IDE x 2 젠더 선이라던가 그런게 전혀 없습니다.
이정도 메인스트림급을 큰 맘 먹고 구매하는 유저층이라면 D-SUB 모니터를 아직 쓰고 계신분이 꽤 있음을 감안하면
조금 많이 아쉽습니다.

4.jpg
빛깔의 자태는 시크한 올블랙 형태입니다.

5.jpg
뒷면 역시 블랙 PCB로 깔끔합니다.
 
6.jpg
히트싱크의 경우 히트파이프가 없는 통짜 히트싱크로 이렇게 쿨링파츠가 구성이 되고도 발열 자체가 높지 않아서 인지
낮은 온도를 보여줍니다.

7.jpg
써멀 컴파운드를 닦아내면 GTX950에 사용된 GPU 네이밍이 마킹되어 있습니다. GM206-250-A1

8.jpg
디스플레이 출력포트의 구성입니다. 기존 GTX900번대 제품의 레퍼런스 규격인

DVI / HDMI / DP / DP / DP  구성이 아닌 GTX700번대 레퍼런스 규격인 DVI / DVI / HDMI / DP 구성입니다.
아마 이 구성이 일반적으로 사용하시는분들에겐 가장 무난한 구성이 될 겁니다.
(있을 건 다 있고, DVI 두개로 범용성이 높은)
 
 

 
벤치마크 시스템 소개

CPU 인텔 i7-4790K (데빌스 캐년)
RAM KLEVV Genuine DDR3 4GB x 4ea
M/B EVGA Z97 Classified
SSD Micron Crucial M550 256GB 
PSU XFX 1250W Gold
OS - Windows 7 64bit (깜빡하고 안넣어서 급히 추가합니다.)
 
각 시스템은 기본 설정이며 건드린 것은 없습니다.
CPU Non OC  /  RAM Non X.M.P 세팅
 
GIGABYTE 지포스 GTX950 UD2 OC D5 2GB GPU-Z

GPU-Z 정보.png
 
좌측이 앞으로 1번 그래픽카드로 불릴 제품의 정보창이며, 우측이 2번 그래픽카드로 불릴 제품입니다.

GPU-Z.png
 
1번 그래픽카드의 오버클러킹 정보입니다. (으 스샷안찍은걸 깜빡해서 부랴부랴 Windows 10에서 다시 찍었습니다..)
코어 클럭 - +218Mhz
메모리 클럭 - +600 (실 클럭 상승 300Mhz)
파워 타겟 - 118%

GPU-Z 정보.png

2번 그래픽카드의 오버클러킹 정보입니다.
코어 클럭 - +160Mhz
메모리 클럭 - +600 (실 클럭 상승 300Mhz)
파워 타겟 - 118%
 
 
위와 같이 각 그래픽카드의 OC 여부는 체크하시고 벤치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New 3DMark - Fire Strike 벤치마크

벤치마킹 프로그램으로는 가장 많이 쓰이는 3DMark를 선택했으며, 파이어 스트라이크 일반/익스트림/울트라
세가지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SLI 역시 내용에 포함되어 있으며, Total Score와 Graphic Score로 나눴습니다.
New 3DMark의 경우 짧게 표기를 위해 3DMark13으로 표기한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3d01.png
 
성능대로 나와주는 벤치입니다. 별다른 특이점보다는 SLI 구성시 성능이 GTX970 만큼 나와주는 모습입니다.
 
3d02.png
 
QHD 해상도인 익스트림 역시 딱 성능대로 나와주는 수준입니다.
3d03.png

이 부분이 문제의 벤치마크입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는 4K 해상도 테스트로 현재 GTX950과 전작인 GTX760이 구동되기엔 적절치 않은
해상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TX760의 경우 GTX950보다 떨어지는 메모리 압축 처리속도가 원인으로 판단이 됩니다. (메모리 클럭과는 별개)
또한 GTX950 단일과 두장의 격차가 없다는점은 VRAM, 대역폭으로 인한 한계가 왔기에
더이상의 성능증가를 보여주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한마디로 이 메인스트림급으로는 4K 모니터로 게임을 하지 말라는 그러한 말로 해석해도 되겠습니다. =_=;;
 
 
 
3DMark11 - Performance / Extreme 벤치마크

 
3d1101.png

 
3d1102.png

전체적으로 무난한 테스트이며, 3DMark11의 경우 퍼포먼스는 1280x720 해상도 테스트이며, 익스트림은 1920x1080입니다.

Full HD - 1920 x 1080 해상도 게임 벤치마크

이 페이지에서는 Full HD 해상도에서의 게임 벤치마크 결과값을 보여드립니다. 차트 이전에 각 게임의 옵션은
스크린샷으로 올려져 있으니 옵션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BATTLE FIELD 4
 
bf4 2015-08-24 15-46-15-85.png
 
프리셋 최고옵션에 기타 설정은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FHD BF.png
 
테스트 구간은 헬기 공격 피해서 옥상으로 올라가는 미션 구간으로 진행됐습니다.
 
전체적으로 최고옵션을 하기에는 부족한 스펙이지만 옵션을 한단계 낮출경우 훨씬 안정적인 프레임 확보와 더불어
 
부드러운 게임 진행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CRYSIS 3
크라이시스3 옵션1.png
crysis3 2015-08-24 13-18-46-06.png
 
프리셋 Very High (SYSTEM Spec 부분이 프리셋 옵션) 로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구간은 초반 비오는 구간에서의
 
동일한 루트 구간을 동일하게 움직였습니다. (처음부터 - 맨 꼭대기 문 여는 곳까지 각 5번 반복)
 
FHD CR.png
 
확실히 고사양 게임답게 전체적으로 프레임 수치 자체가 낮습니다. 그러나 20만원대에 고사양 게임을 하기에는
 
아주 약간의 옵션타협으로 즐기기에 부족함이 없다는건 변함이 없습니다.
 
TOMB RAIDER 리부트
2015-08-24_00002.jpg
2015-08-24_00003.jpg

툼레이더의 경우 TressFX의 구동시의 프레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안티앨리어싱을 FXAA로 주고
나머지 옵션은 최대로 켰습니다.
 
FHD TR.png

출시초기 고사양 게임축에 속한다라고 여겼던 게임치고는 안티앨리어싱이 FXAA 때문인지 프레임 유지가 널널했습니다.
 
 
 
The Witcher 3 : Wild hunt
witcher3 2015-08-27 07-31-33-98.png
 
위쳐의 경우 프리셋 - 높음 옵션을 준 상태에서 최대 초당 프레임 수 제한을 없애고, Nvidia Hairwork 기능을 켰습니다.

FHD WC.png

헤어웍스 덕분인지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게임 플레이는 불가능했습니다.
SLI 구성시에는 확실히 단일보다 부드러움이 아주 크게 느껴집니다.
 
Quad HD - 2560 x 1440 해상도 게임 벤치마크

DSR을 이용한 가상해상도가 아닌 실제 2560x1440해상도의 모니터를 별도로 사용한 벤치마크입니다.
옵션의 경우 FHD보다는 낮게 주어야 게임의 진행이 가능했기 때문에 옵션의 차이로 인한 프레임 차이가 있으니
옵션을 잘 봐주시기 바랍니다.
 
BATTLE FIELD 4
bf4 2015-08-26 16-41-38-08.png
 
프리셋 - 높음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HD BF.png
 
 
CRYSIS 3
crysis3 2015-08-26 16-51-07-02.png
crysis3 2015-08-26 16-51-11-02.png
 
프리셋 - High 에 맞춰져 있습니다.
 
FHD CR.png
 
테스트 하는 내내 너무 후두둑 끊겨서 플레이 하기엔 부적절했습니다. SLI역시도 쾌적하지는 않습니다.
 
 
TOMB RAIDER 리부트
 
TombRaider 2015-08-26 16-22-55-09.png
TombRaider 2015-08-26 16-23-11-22.png
 
프리셋 - 고급 설정이며, TressFX Off 입니다.
FHD TR.png
 
TressFX만 키면 최소 프레임이 10대로 곤두박질 쳐서 끄고 벤치마크를 돌렸습니다.
라라 크로프트의 머릿결을 포기하시면 원활한 게이밍이 가능합니다.
 

The Witcher 3 : wild hunt
witcher3 2015-08-26 16-53-14-61.png
 
프리셋 - 중간에 최대 초당 프레임 수 무제한으로 구성했습니다.

FHD WC.png
 
역시나 고사양 게임답게... 게임 플레이가 버벅입니다. SLI구성시 확 부드러워지긴 하나 테스트 구간을 감안했을때
전투 시에는 프레임 급락이 있을것이라 예상이 됩니다.
 

온도 / 소음 / 전력소모 벤치마크

먼저 벤치를 보시기 전에 참고사항은 본 시스템 구성은 일반 케이스에 넣어진 구성이 아닌 벤치 테이블 구성으로
 
테스트를 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저가형 케이스에 넣었을시 온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 환경온도와 방의 공기 흐름등으로 인한 차이 역시 있을 수 있습니다. 
 
환경 온도 - 30.8도
환경 소음 - 36.8dB
 
 
GPU Temp.png
 
온도 부분은 사실상 아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SLI를 하더라도 큰 온도의 변화는 없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위 참고사항에 안넣은 사실은 1번 그래픽카드는 사진을 찍기 위해 써멀 컴파운드를 닦아냈고,
그 후에 별도의 써멀컴파운드인 Arctic MX-4 로 재도포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도 차이는
사실상 기본적으로 발려져 있는 써멀 컴파운드가 차이가 없었습니다. (2번 카드가 기본 써멀 컴파운드임을 감안)
 
GTX760의 경우 레퍼런스 제품이 아닌 제품을 코어/메모리 클럭을 레퍼런스로 낮췄기 때문에 쿨링 능력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것임에도 불구하고 조금 높은 온도를 기록했습니다.
해당 테스트는 Furmark 15분 구동으로 테스트 된 최고 기록온도임을 밝힙니다.
 
 
Power.png
 
전력사용량의 경우 그래픽카드만 별도로 측정하는 전문 툴이 없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 소모전력으로 테스트 됩니다.
 
괄목할 점은 SLI 구성시의 파워 사용량으로 300W +- 수준의 아주 낮은 소모전력을 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GTX950 SLI의 가장 안정적이고 좋은 효율 구동선은 600W 파워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필자나 다른 컴퓨터에 정통하신분들이라면 GTX950 SLI를 할 바에는 GTX970이상을 하나 달아라. 라고 하지만
 
혹시라도 GTX950을 하나 가지고 있고, GTX980이상을 가기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
 
 (물론 메인보드 역시 SLI지원이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꽤 괜찮은 뻘(?)짓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건 맥스웰 아키텍쳐의 최대 장점이라던 소모전력이 낮다.
 
라는 점은 GTX760과 비교했을때 다소 과장된 광고가 아닌가라는 의문은 듭니다.
 
동급 제품과 비교했을때 노오버시 50W 수준이라면 아주 큰 차이라고 보기엔 조금은 무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보조전원 6pin이 없었다면!!! =_=...)
 

Noise.png
 
제 마지막 벤치인 소음입니다. 다른 부품의 소음치를 최소화 하기 위해 GPU만 부하를 걸 수 있는
 
Furmark 구동상황 10분 구간에서 LOAD 데시벨을 측정했습니다.
 
전체적으로 GTX950이든 GTX760이든 SLI까지도 무난한 소음수치를 기록했으며, 벤치 테이블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케이스에 들어간다면 소음은 아예 못느끼신다고 보면 됩니다. 또 뽑기운이 어느정도 작용하고 파워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테스트 한 환경에서는 GTX950 두 카드 전부 고주파음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마치며...

2015.08.31일 기준 기가바이트 GTX950 윈드포스는 다나와 기준 215,000원 입니다.
성능 격차가 없는 만큼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격이 가장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겁니다.
그러나 Nvidia 입장도 이해 못할건 아닙니다. GTX960과의 격차가 적으니 가격차이가 어느정도 나버리면
아무도 GTX960을 안사게 되겠죠.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GTX960의 재고를 줄이고 GTX950이 팔리도록 유도한뒤 GTX960 가격을 소폭 올리던가
GTX950의 가격을 소폭 내리는 방향이 되겠지요. (물론 일반적이라면 전자가 보통의 경우... =_=)
 
확실히 성능은 준수하고, 이제 시장에 저렴한 GTX960 재고가 빠지고 가격이 1-2만원 올라가면
최대한 돈을 아끼고 싶은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GTX950도 충분한 대용품이 될 수 있음을 짐작합니다.
 
또 제품 스냅샷 부분에서도 언급했던 부속품의 추가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젠더류)
 
[2015년 8월 31일 스티커 덕후의 외침]
 
제조사 및 브랜드 스티커는 필수이자 사랑입니다.
 
(로봇 눈깔 스티커 주thㅔ요...)
 
또 다음은 스펙의 의문인데,
현재 기가바이트 GTX950 윈드포스의 정규 클럭은 1102Mhz, 부스트 클럭은 1279Mhz 입니다.
 
2.png

 
이것은 Nvidia에서 제품정보로 제공하고 있는 GTX950의 레퍼런스 정큐 클럭입니다.
1126Mhz로 정규 클럭은 레퍼런스가 24Mhz 더 높은걸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부스트 클럭이 실제 클럭이니 레퍼런스와의 차이는 확실히 있습니다만
이런 부분에 있어서 기가바이트가 조금 더 깔끔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제 예상이긴 하지만 아마도 Nvidia쪽 DB가 잘못됐을거라 생각이 됩니다.
 

Lv14 RooLPeRi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갤러리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견적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