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인챈트시 공격성공 상승 여부, 렙당 공격성공 모든 무기 적용 여부 - 수정1

SSobi
댓글: 15 개
조회: 2906
추천: 1
2006-05-30 08:50:56


공격 성공에 관한 정리


먼저 LOA 서버에 대해 설명한다.
LOA 서버는 미국서버중에 하나로 한국 서버와 다른 미국서버와 전혀 다른 리니지다.
강철마나 지팡이가 존재하고 한국서버와 달리 여러 이벤트를 자주 하는 편이다.

그 LOA 서버의 경우엔 인챈트시 추가타격과 공격성공이 추가된다.
즉 무기 고유의 옵션과 인챈트 숫자와 별도로 추가타격과 공격성공이 주어진다는 것.

그러나 한국서버의 경우엔 인챈트시 추가타격의 추가가 없고 오로지 인챈트 된 숫자의 효과만보인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있는 바다.
즉 8검과 9검은 서로 추가타격 1차이 일 뿐이다.

그러나 아직 다들 납득이 되지 않는 것은 한국서버에서는 과연 인챈트시 공격성공이 증가하는가다.
이에 대해선 이전의 실험에서 공격성공이 추가되지 않는다고 나와 그렇게 정리되었었지만아직 유저들은 의문을 품고 있는게 사실이다.

참고로 LOA의 경우 인챈트시 공격성공은 각 +1, +3, +5, +7, +9 등의 홀수에 1씩 추가 된다.


** 동일한 환경에서의 0메일과 9메일의 공격성공 차이 **

●타격자 : 레벨 53 콘요정, 힘17 덱17 버닝웨폰 블레스웨폰.
●방어자 : 은기사마을 게라드 용병.

0메일로 가격 했을 때.
100대씩 10번 가격. 각 박힌 횟수 산별.
7 5 5 3 4 4 6 2 6 4
총 46대 박힘. = 4.6%


9메일로 가격 했을 때.
100대씩 10번 가격. 각 박힌 횟수 산별.
15 20 18 16 22 27 22 20 22 18
총 200대 박힘. = 20%




개인적으론 인챈트시 공격성공이 추가가 없다고 생각했었고 그걸 입증하는 실험이라고 생각했지만 필자의 생각은 빗나가 버렸다.
완벽히 차이가 나왔다.
LOA와 같은 공성이 추가 된다고 하면 0메일과 9메일은 서로 공성이 5가 차이 난다.
아마 0메일과 9메일이 차이가 심하게 난 이유는 0메일일때는 용병단에게 박히기 위해 필요한 공성이 부족했지만9메일이 0메일보다 인챈트가 높아 공성효과가 추가 되었고, 이로써 타격자의 총공성이 용병을 치기에적절한 공성이 되었다고 해석된다.
아마 0다마와 9다마 같은 공성이 없는 무기로 실험했었다면 9다마도 공성이 부족하여 0다마와 서로 비슷한 합산치가 나와버렸을가능성도 있었을 것이다...... 그럼 공성이 없다고 결론이 나왔을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아마 타사이트의 실험에서는 이런 조건이 성립되지 않아 공성이 없다고 결론이 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이번엔 실험을 확대 해 보았다.


** 요정의 렙당 공성이 원거리 무기 만이 아닌 근거리 무기에도 적용 되는가 **

현재 알려져 있는 정보로는 요정은 5렙당 +1 공격성공이 주어지고, 기사는 3렙당 +1 공격성공이 주어진다.
그러나 요정의 공격성공이 장거리 무기에만 적용된다는 얘기가 있다. 그래서 요정은 활 이외의 무기를 들시에다른 케릭보다 불리하다는 말이다. 과연 그러한지 비교해 보았다.

요정과 기사를 동일한 힘,덱 수치로 맞춘다. 그리고 무기는 동일하게 9메일로 실험하였다.

요정의 공성을 계산해보자면
●렙당공성 = 53/5 = 10
●힘과 덱스에 따른 공성 = 기사와 동일한 힘,덱스 이므로 동일한 공성효과를 보일거라 생각하여 제외.
●버닝웨폰 = +3 공격성공.
●블레스웨폰 = +2 공격성공.
●공성의 합 = 힘과 덱스를 제외하고 +15 공격성공.

기사의 공성을 계산해보자면
●렙당공성 = 48/3 = 16
●힘과 덱스에 따른 공성 = 기사와 동일한 힘,덱스 이므로 동일한 공성효과를 보일거라 생각하여 제외.
●공성의 합 = 힘과 덱스를 제외하고 +16 공격성공.

기사의 공성이 1더 높은 상태에서 실험은 진행되었다.
즉 요정이 기사보다 더 잘 박히거나 비슷하기만 하여도 요정의 렙당 공성은 근접무기에도 적용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타격자 : 레벨 53 콘요정, 힘17 덱17 버닝웨폰 블레스웨폰 9메일.
●방어자 : 은기사마을 게라드 용병.
요정의 경우엔 위의 자료를 재참고 한다.

100대씩 10번 가격. 각 박힌 횟수 산별.
15 20 18 16 22 27 22 20 22 18
총 200대 박힘. = 20%


●타격자 : 레벨 48 콘기사, 힘17 덱17 9메일.
●방어자 : 은기사마을 게라드 용병.

100대씩 10번 가격. 각 박힌 횟수 산별.
17 14 17 18 18 21 16 16 14 14
총 165대 박힘. = 16.5%




위 결과를 산출해 보자면 요정쪽이 더 높은 확률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로 요정의 렙당 공성은 근접무기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의문점 **

그러나 필자가 한가지 알수 없었던 것은 동일한 힘,덱스 수치를 맞추고렙당 공성도 기사쪽이 1더 높지만 비슷하게 맞추었다.
즉 필자가 아는 한 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전부 비슷하거나 동일하게 맞춘 것이다.
그러나 결과는 공성이 1 높은 기사가 더 확률이 적게 나왔다.
필자가 알지 못하는 공성 효과가 있는 부분이 있다거나 다른 공식이 있는 것일까....
혹시 기사도 5렙당 +1 공격성공 인것인가??

이번엔 동일한 상태의 기사에게 버닝웨폰, 블레스웨폰 (총 +5 공격 성공) 을 적용 후 실험 해 보았다.


●타격자 : 레벨 48 콘기사, 힘17 덱17 버닝웨폰, 블레스웨폰 9메일.
●방어자 : 은기사마을 게라드 용병.

100대씩 10번 가격. 각 박힌 횟수 산별.
25 19 22 30 28 22 25 22 23 36
총 252대 박힘. = 25.2%


이 결과를 분석해보자면 5렙당 +1 공격성공도 아닌거 같았다.
실험표를 들고 몇일간 생각해보다가 어디선가 글을 본 기억이 났다.

대만의 유명한 리니지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클라이언트를 분석하여서 알아낸 정보라면서
케릭의 공성은 1렙업 할 때마다 +1 씩 증가하며 기사의 경우엔 3렙당 추가로 1이 더 오르고, 요정의 경우엔 5렙당 1이 더 오른다 라는 글을 본 기억이 났다.

그 글대로 다시 계산을 해보겠다.
동일한 상태인 9메일과 힘,덱스 의 공격성공은 무시하겠다.
●53레벨 요정의 공성 = 53(1레벨당 +1공격성공)+ 10(5렙당 +1공격성공)+ 버닝웨폰(+3공격성공)+ 블레스웨폰(+2공격성공) = 68
●48레벨 기사의 공성 = 48(1레벨당 +1공격성공)+ 16(3렙당 +1공격성공) = 64
●48레벨 기사의 공성 = 48(1레벨당 +1공격성공)+ 16(3렙당 +1공격성공)+ 버닝웨폰(+3공격성공)+ 블레스웨폰(+2공격성공) = 69

상상외의 결과가 나왔다. 이런거라면 위 실험 결과가 이해가 되었다.
처음 기사가 버닝웨폰과 블레스웨폰 없이 1천대 가격시 왜 요정보다 낮은 확률이 나왔는지는 공성이 4가 부족하여서 그런거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시 버닝웨폰과 블레스웨폰을 추가 후 1천대 가격시 요정보다 더 높은 확률이 나온 이유도 설명이 된다.
비록 공성이 1차이지만 용병단에게 박히기 위해 필요한 공성을 넘은 후부터는 공성1 차이가 엄청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입증하는 셈이다.

다시 한번 필자가 생각하여 보니 클라이언트를 뜯어 분석한 대만의 리니지 커뮤니티 사이트라면 Nue's Lineage 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우리가 아는 힘,덱스 추타 같은 정보도 그 사이트에서 온 것이기에그럼 이 정보도 설득력이 있다는 판단이 든다. 더구나 위의 아리송한 상황을 설명이 가능하니 말이다.

레벨이 1 오를때마다 +1 공격성공이 추가 된다는 정보는 추후 분석 후 리뷰를 올려볼까 한다.


---------------------------------------------------------------------------
*실험 결과

1. 인챈트 시 공격성공이 증가한다. 이는 LOA와 같은 홀수에 증가하는걸로 보이며
0검과 9검의 공격성공의 차이는 +5 정도 일것으로 판단된다.

2. 요정에게 주어지는 5렙당 +1 공격성공은 원거리무기 뿐 아니라 근거리무기에도
적용된다
. 이는 요정 뿐 아니라 레벨당 공격성공이 주어지는 케릭이라면 착용
가능한 모든 무기에 적용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라 생각된다.

3. 레벨을 1 올릴 때마다 공격성공이 +1 증가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관해서는
추후 보강 리뷰를 써볼까 한다.
---------------------------------------------------------------------------





** 보강 실험 **

어떤 분의 의견이 리니지에서 방어력이란게 데미지 감소란것도 있는데이게 동일한 방어일시 정해진 양의 타격을 마이너스 감소시키지 않느냐 라고 하셨습니다.
즉 만약 100방일 때 항상 40의 타격을 감소 시킨다고 했을 시 50의 타격을 가하면 40을 제한 10의 타격을입는다는 의견이었습니다. 즉 이럴때 40아래의 타격을 가하면 마이너스가 되서 빗방이 되어 박히지 않는다.
그래서 0메일의 경우 타격이 부족해서 -가 되버리니 안박힌게 아니냐 라는 의견과 함께9메일을 9손상을 시킨 후 타격을 가하는 것을 제안하셨습니다.

필자가 알고 있는 방어력의 이론은 방어력이 정해진 양을 감소 시키는 것이 아니라퍼센트로 감소 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게임어X웃의 실험에서도 입증된 결과인데요.
즉 만약 100방일 때 40%의 데미지 감소율과 50%의 회피율을 가지고 있다고 하면 100의 데미지를 가했을 시40퍼센트를 제외한 60의 데미지를 받고 100방을 때렸을 때 평균 50%의 빗방이 생긴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데미지 감소도 항상 같은 감소율을 보이는 것이 아닌 PVP 즉 사람과의 대인전에는 데미지 감소가 전혀 없고,몬스터에게는 몬스터의 레벨과 능력치, 그리고 방어자의 방어력과 레벨에 영향을 받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1의 데미지를 받았을 시 퍼센트 감소율로 계산해서 근사값이 1이므로 1의 데미지를 받더라도 빗방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아래는 추가 실험 결과입니다.

●타격자 : 레벨 53 콘요정, 힘17 덱17 버닝웨폰, 블레스웨폰 9메일(9손상).
●방어자 : 은기사마을 게라드 용병.

100대씩 20번 가격. 각 박힌 횟수 산별.
18 16 22 16 24 18 13 23 16 15 14 15 19 18 24 13 28 17 33 19
총 381대 박힘. = 19.05%

결과를 분석해보자면 동일한 상태에서 손상이 없었던 경우 20% 였습니다.이번 실험에서는 19.05%가 나왔습니다. 이는 오차값을 생각하면 20%와 비슷한 값으로차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한 값입니다.이 실험만으로 방어력에 대한 제 설명이 백퍼센트 맞다고 입증할 수는 없지만 인챈트 했을 시 공격성공이 추가 된다는것을 재입증 하게되었습니다.
이전에 인벤에 제가 올렸던 실험에서 무기가 손상되어도 공격성공에는 변함이 없다고 올린 기사가 있습니다.
[바로가기]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이 게시물은 본인 외에 절대 스크랩과 펌을 금지합니다.
이는 펌을 해도 이상하게 퍼가셔서 정보가 왜곡되는 경우가 많아서 입니다.
대단한 내용도 아니지만 부디 스크랩금지와 펌금지 부탁드리겠습니다.

- SSobi -

Lv3 SSobi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게임
  • IT
  • 유머
  •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