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부분 사두가 초과아덴을 난무쪽 아덴으로 채워주는데 특히 적필 사이클이나 기믹으로 지연되는 경우 스톡되는 아덴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효과 연격코어의 5%딜증보다 아덴이득의 이점이 크다고 판단
사이클 아덴흐름
적필이 없는 사이클을 반복 할수록 아덴소모량>획득량 이기에 점점 총 아덴이 감소되다가 적필사이클에 정상궤도로 돌아오는 흐름을 보여준다.
즉, 다음 적필쿨이 오기까지의 아덴 여유분을 챙겼다면 아덴을 신경 쓰지 않아도 사이클을 지속할수 있다는 것 full아덴 시작이 아닌 경우에도 일일히 아덴을 보고 판단하는게 아니라 절룡세를 따거나 난무나 사두 한번을 추가로 썼다면 아덴 리스크에서 벗어남 (아덴신경론 해방)
경면이슈 무지성으로 굴린다면 기존보다 경면이슈 가능성이 높아지나 아덴만 채워지면 큰 상관이 없음을 기억하자 (+시너지) 경직패턴을 파악했다면 경면스킬로 아덴을 채우면 될 뿐이다. ⇒
⇒
⇒
사두는 절룡세 선풍은 회선
청룡진은 일섬 등의 대체 사용으로 경면이슈를 방지
기믹 유틸 문제 아크패시브 초창기에 강력한 나선창, 절룡세처럼 카운터 유기나 유틸의 리스크가 부활 실전딜에도 악영향을 주게 됨
먼저 알아야할건 연격 안에서도 빌드따라 리스크의 고저차가 크다. 특히 특치빌드나 1.5사두 빌드가 심공 이슈에 취약한게 두 빌드는 쿨감효율을 극한으로 받아야 딜레이가 해소되니 상황을 보지 않고 연가심공을 눌러놔야 하는 압박이 심합니다. (항상 리스크가 동반하는 구조)
글에서의 빌드는 심공 타이밍에 여유가 있는편이라 상황을 보고 판단할 시간이 있습니다.
난무측 심공이슈는 구조상 0에 가깝고 적룡포 사용직전에 심공을 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여유시간이 적으니 유기하고 싶은 마음은 들어도 쳐야하는 카운터에 심공 카운터를 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누적무력은 종막 1관 700줄 기준 워로드 있으면 8천 없으면 1만 쯤
추가유틸로 절룡세의 쿨감이 있는데 저가 중에 피면이 가능한 저가는 절룡세로 대체되고(상위호환) 2-2,3의 경우 매 패턴마다 절룡세가 가능할 수준이라 남들 포지션 잡을때 배째면서 스킬쓰다가 절룡세 치는 운영이 가능합니다.
다음 그림 예시는 유성이 앞에오고 적룡포가 뒤로가는 이유
연격 딜증을 쎈스킬에 묻히고 -1. 집중심공이 적룡포 앞에 코어 현쿨감을 좋게 받으려면 -2. 집중심공은 중간쯤 위치 난무심공은 바로 적룡포가 뒤쪽에 배치되야 합니다 -1 & 2 결론
4-2 스킬프레임
자료를 참고한다면 2사두 사이클에 DPS적인 이득은 없다고 보이지만 추가로 사용한 사두가 난무스킬의 아덴을 대체했다면 DPS 방어로 상승에 이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절룡세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의가 필요한건 유성을 스킵해 당장의 사이클은 가능하더라도 이후에 필요한 여유분 아덴에 영향을 끼치기에 아덴 여유가 확실하게 많은것이 아니라면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side build 강마트리
주요 변경점은 원표시 마나 압박이 있으면 집중룬 투입
유성이 개선되는 대신 적룡포와 난무폼에서 지연됩니다.
1.5사두와의 비교시 집중두번 굴리는 기준 1.5사두가 0.5초 손해 사두한번 추가분의 딜이라면 적룡포 화조는 0.2초 손해 단, 사두 단축을 위해 무마,끝마 등의 쿨감 투자와 번갈아 반복사이클이라는 번거로움이 없다는게 실전성에 크게 작용하므로
유성지폭이 꺼려진다면 1.5사두 빌드 보다는 위빌드를 추천하며 진끝을 채용한 221빌드와 유사한 결입니다.
다만, 진끝 빌드는 적룡포 반응속도를 포기하면 너무 느려지므로 참고바람
플레잉 팁 1. 사이클이 꼬였을때
난무의 서브아덴기도 있고
집중스킬도 쿨감받으면 정상궤도로 올라오기에 아덴기로 사용가능
2. 백어택에 연연하지않기
핵심주력기인 적룡포, 쿨타임이 긴 적필은 백을 의식해도 중요도가 떨어지는 스킬은 과감하게 박으세요. 긴시간 이동으로 백을 잡는건 도박입니다.
사이클 순환을 중시하며 체급을 늘리는게 좋아요
3. 절룡세 각은 자만추 레이드 중 어그로가 안끌려 절룡세 각이 안나온다는건 그만큼 프리딜을 했다는 거니 고점 (어짜피 대신 채용할 스킬도 없으니 부담x) 절룡세에 기대서 과감하게 사이클을 굴린걸로 밥값을 하며 어짜피 써야했을 절룡세의 떨어지는 dps 방지용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