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의 내용
- 블래스터의 액션 딜레이 감소에 대하여
-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에 대하여
- 맥시마이즈 캐논에 대하여
- 플래시 무브에 대하여
2. 개선 내용
1. [블래스터의 액션 딜레이 감소에 대하여]
현재 클라이언트 1.2.192 릴리즈(스킬 조정)에 명시된 액션 딜레이 감소 사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릴리즈 파일 벙커 41% 감소
더블 팡 21% 감소
해머 스매시 20% 감소
쇼크 웨이브 펀치 12% 감소
위 액션 딜레이 감소 패치는 블래스터의 딜사이클 속도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캔슬을 하지 않고, 스킬 사용후 캐릭터의 이동이 자유로워 지기까지의 딜레이에 영향을 끼칩니다
딜사이클 속도(즉, DPS)에 직접 영향을 끼치려면
저번 패치 해머스매시>매그넘펀치 연계 가능한 최소 딜레이 500% 증가때처럼 연계 딜레이를 건드려야 하는점
혹여나 기획의도가 딜사이클 속도 증가였던건 아닐까 하는 노파심에 상기시켜드리고 싶었습니다.
2.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에 대하여]
지난 8월 14일 메이플 나우에서
해머 스매시의 공격기능 삭제 및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기획 의도가
평딜상황에서의 사용을 줄이고 극딜상황에는 지금 하는 것과 동일하게 섞어쓴다 라고 하셨습니다만
현 테스트 서버 릴리즈 처럼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발동 조건이
맥시마이즈 캐논의 '실린더 게이지 과열 시간 감소 횟수'
소위 말하는 스택에 묶여있으면 이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동작합니다
그 이유는 첫 번째로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과도한 데미지가 있고
두 번째로 스택이 맥시마이즈 캐논의 지속시간이 지나도 남아있으며
세 번째로 블래스터 유저들이 해머 스매시를 섞어서 쓰는 이유에 어긋납니다
기존에 블래스터 유저들이 극딜 타임에 해머 스매시를 섞어쓰던 이유는
릴리즈 파일 벙커를 발동하기 위한 실린더 게이지를 빠르게 6개 쌓는다는 점에 있습니다
해머 스매시는 평소에는 리볼빙 캐논이 발동하지 않아서
릴리즈 파일 벙커에 연계로만 사용하지만
벙커 버스터는 해머 스매시에도 발동 하기 때문에 실린더 게이지를 채울 수 있습니다
이 점 때문에 맥시마이즈 캐논 릴파벙 난사시 기본적인 매그팡만 반복하는것보다
해머 스매시를 섞는게 더 자주 릴파벙을 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섞어 쓰는겁니다
다만 이 구조에서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데미지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심지어는 맥시마이즈 캐논의 스택에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발동 가능 여부가 묶여있으면
릴파벙을 위한 해머 스매시가 아닌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를 위한 릴파벙이 됩니다
현재 테스트 서버 릴리즈의 HEXA 매트릭스 강화코어 30레벨 기준
릴파벙은 1회 발동시 23,560%의 데미지
버스트 파일 벙커는 1회 발동시 47,400%의 데미지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는 1회 발동시 15450%의 데미지를 가집니다(각자 하이퍼 스택 고려 안 할시)
이러한 딜 비중에서 과연
맥시마이즈 캐논의 스택을 빠르게 소모하는게 강할까요 아니면
스택을 다 소모하지 않고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를 계속 사용하는게 강할까요?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중요!!
기획 의도인
'평딜상황에서의 사용을 줄이고 극딜상황에는 지금 하는 것과 동일하게 섞어쓴다'
를 올바르게 실현 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가지 작업이 진행돼야 합니다.
A.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데미지를 릴파벙, 버스트 파일 벙커, 매그팡에 소분한다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데미지 비중 기준점을 정해드리겠습니다
순수 데미지 기준 더블 팡의 보다는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가 약간 더 강함
하지만 더블 팡+리볼빙 캐논의 데미지는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 보다 강해야 함
이 법칙이 깨지면 딜사이클의 붕괴가 발생합니다
B.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발동 조건을 변경한다 or 릴파벙 데미지 증가
맥시마이즈 캐논의 스택을 일부러 소모하지 않는 기형적인 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1.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를 발동 가능한 횟수에 제한을 두거나
2. 발동 가능 조건을 벙커 버스터와 연관 되게 하거나(맥시마이즈 캐논과 분리하기 위함)
3. 릴파벙의 데미지를 상향해서 스택을 빨리 소모하는게 무조건 이득이 되도록 한다
위 3가지 방향의 개선중 하나를 진행해야 합니다
3. [맥시마이즈 캐논에 대하여]
기존 맥시마이즈 캐논은 35초라는 지속시간동안 횟수의 제한 없이
릴파벙 사용 후 실린더 게이지 과열 시간을 약 1초로 감소시켜
쉬지않고 릴리즈 파일벙커를 쏠 수 있는
어떻게 보면 블래스터의 꽃이라고 볼 수 있는 스킬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클라이언트 1.2.192 릴리즈에서
이 횟수를 10회로 제한하는 사양이 추가되었습니다
아마도 지속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스킬 시퀀스를 나눠서 사용하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함이겠죠
개선 방향 자체는 올바르나 이로 인해서
릴파벙을 난사한다는 블래스터의 재미 요소를 해치며
컨티뉴어스 링과의 부조화가 발생합니다
냉각 스택이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티뉴어스 링의 쿨타임동안 스택을 일부러 아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는것이죠
이 두가지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블래스트 해머 스매시의 문제점을 해결했다는 가정하에 작성하였습니다.)
A. 냉각 횟수 10회에서 -> 20회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
릴파벙 난사의 재미를 챙겨주고 시간 내에 스택을 모두 소모하도록 권장하는 간단한 수정입니다.
B. 횟수 제한 롤백(기존 무제한 사양 및 35초 지속) 및 신규 강화효과 추가
기존 무제한 릴파벙 난사의 사양으로 롤백하고 스킬 시퀀스를 한번에 사용하는걸 장려하는 방법입니다
현재는 불릿 사용 스킬 데미지 35% 증가라는 미미한 효과여서 강제력이 부족합니다
C. 냉각 횟수 제한 롤백 및 버닝 브레이커, 발칸 펀치, 파이널 디스트로이어에
벙커 버스터 발동시 재장전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맥시마이즈 캐논에 이전
현재는 벙커 버스터만 단일로 사용하고
버닝 브레이커, 발칸 펀치, 파이널 디스트로이어 발동시
마치 맥시마이즈 캐논을 사용한것 처럼 불릿이 빠르게 재장전 되고 있습니다.
이 효과는 매우 강력하고, 스킬의 컨셉상 맥시마이즈 캐논이 담당하는게 자연스러우며
시퀀스 단일화의 강제력으로 작동하기에도 안성 맞춤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방법 C가 스킬 컨셉도 살려주며
기존 경험을 해치지 않고
기획 의도도 잘 반영하는(만약 기획의도가 시퀀스 단일화라면)
이상적인 개선안이라고 생각하기에 강력히 추천합니다!
4. [플래시 무브에 대하여]
기존에 플래시 무브는 적에게 빠르게 붙는 용도로 사용해왔지만
스웨이를 두번 누르면 강제로 발동된다는 문제점 때문에
많은 블래스터 유저들이 이 강제 발동 기능을 잠금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해왔습니다
하지만 플래시 무브는 이번에
커맨드 잠금 시 스웨이 중 스킬을 사용해도 적에게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유저들이 바라왔던 개선사항과 사뭇 다릅니다
커맨드 잠금 시 스웨이 중 스웨이를 다시 입력해도 발동하지 않는 기능을 추가해 주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