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짤 용량땜에 이것저것 해보느라 사진 크기가 들쭉날쭉한게 몇개 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신궁에만 적용되는 부분 외에도 직관적으로만 보기엔 모를만한 것도 몇개 넣어보았습니다. 안넣으면 너무 짧더라고요
1. 더미가 어그로를 잡고 있을 경우, 보스 디버프 상태창에 더미 아이콘이 출력됩니다.
2. 차지드 애로우는 모든 스킬의 후딜을 캔슬함. 의도적으로 쓰긴 어렵지만, 풀버스트 샷 사용과 동시에 키다운을 시작하면 높은 확률로 풀버스트샷 1발의 후딜이 캔슬되어 더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애용합시다.
- 스우
1. 돌진의 경직은 대부분의 강제 이동형 패턴(밀격, 에어본 등)을 무시합니다. 단, 해당 패턴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직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2. 전역 레이저 패턴(가로 포격)은 레이저 포격이 시작되는 레이저 포대 본체 부분은 피격 판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3. 전방향 중력구속 이후 발동하는 어둠의 기운(전탄발사 패턴)은 중력구속의 바인드에 걸리지 않았을 경우, 스우 본체와 겹쳐있을 경우 피격당하지 않습니다.
- 데미안
1. 데미안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패턴은 윗점을 사용하면 피할 수 있습니다.
바인드의 경우 타이밍이 어려우므로 피할 수 없을 땐 윗점+블링크로 회피할 수 있습니다.
2. 데미안이 사용하는 세계수 패턴(↔ 버튼 연타 패턴)은 의지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실루엣을 켜놨을 경우, 데미안이 순간이동하거나 사라진 후 잠시 실루엣이 허공에 나타나는데, 이때 의지를 사용해 반응하면 바인드를 무시하고 바로 데미안을 저지할 수 있습니다.
3. 신궁의 볼트 플로우를 반대편에 두고 파란 구체를 한곳에 모은 뒤 반대편에서 딜을 할 경우, 바인드 없이도 어느정도의 딜타임을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정 텔포기가 있는 다른 직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 루시드
1. 루시드의 소환수 패턴은 피격 범위가 신궁의 스나이핑 사거리보다 좁기 때문에 소환수 패턴 중 나팔 뒷쪽에서 스나이핑으로 루시드를 공격할 수 있습니다.
1-2. 해당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루시드의 방독면의 소환수 패턴 멘트가 사라진 직후부터 5초를 센 후 윗점 + 블링크(30레벨 기준, 10레벨 이하는 조금 빡빡할 수 있음)를 사용하면 소환수를 피할 수 있습니다.
1-3. 리트리트샷을 한발이라도 발사하고 낙하할 경우, 낙하 경직에 의해 블링크를 사용할 수 없지만, 발사전 캔슬하며 블링크를 사용하면 약간의 딜레이 이후 사용됩니다. 블링크 체공 시간이 모자랄 경우 이용합시다.
2. 나팔을 제때 불지 못해 나비 패턴이 발동했을 경우,
왼쪽 벽에서 시작 직전 윗점 > 오른쪽으로 걷기 > 윗점 > 최고점에서 리트리트
순으로 사용할 경우, 패턴을 피할 수 있습니다.
3. 루시드 2페이즈에서 나팔을 불어야 하는데 레이저 패턴이 시작된 경우, 오른쪽 나팔의 윗쪽 발판에서도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해당 구간에서 NPC/채집키를 유지하며 나팔을 불 수 있습니다.
4. 루시드 3페이즈에서 신궁은 사거리 덕분에 왼쪽 석상 발판(해당 발판은 영구히 깨지지 않음)에서 극딜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윌
1. 윌 1,2,3페 모두 더미가 매우 잘 먹는 보스중 하나입니다. 잘 활용해봅시다.
2. 윌의 장풍 패턴은 파란방에서는 윗점 + 블링크, 보라방에서는 윗점 + 리트리트로 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란방의 피를 먼저 깎고, 보라방에서 잔류하는 편이 생존에 조금 더 유용합니다.
- 듄켈, 더스크
1. 듄켈 본체의 패턴은 윗점 + 리트리트로 모든 패턴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소환되는 엘리트 보스 패턴의 경우, 듄켈이 패턴을 사용하려는 모션이 보이자마자 윗점 + 리트리트(화살 최대치까지 사용)를 사용할 경우, CQ57과 플레드의 즉발형 공격 2개를 제외한 모든 패턴을 피할 수 있습니다.
3. 듄켈 또한 더미가 매우 잘 먹는 보스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별가르기는 더미 위치와는 별개로 플레이어가 멀어질 경우 쿨타임이 돌았을 때 바로 사용하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3. 더스크의 경우 리트리트 사용 중, 더스크의 레이저 패턴에 빨려들어가지 않으므로 파란 구체를 유의하며 벽에 붙어 사용하면 윗점을 사용할 때보다 조금 더 안전하게 패턴을 넘길 수 있습니다.
- 진힐라
1. 진힐라도 더미가 잘 먹습니다.
최근 더미가 너프를 먹긴 했지만 지금도 어느 정도 플레이어에게 튈 공격을 받아주고, 더미를 조준하는 동안에는 파바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초앞보뒤 패턴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커지므로 안전한 상태일 경우엔 주기적으로 깔아 사용해봅시다.
2. 진힐라의 파바(파란색 바인드)는 스나이핑보다 사거리가 짧습니다. 더미에 어그로가 끌려 파바를 사용할 경우, 파바 사거리 밖에서 스나이핑으로 딜을 넣을 수 있습니다.
3. 진힐라는 머리 바로 위의 플레이어를 잘 인식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딜은 충분하나 패턴이 어려워 클리어가 힘든 경우, 오른쪽 벽에 볼트 플로우를 설치해둔 뒤 위험해질 경우 볼트 플로우를 사용해 오른쪽 벽으로 붙어 리트리트 샷+블링크로 체공 상태를 유지하면 패턴 사용 빈도가 급격하게 낮아집니다. 단, 너무 높게 뜰 경우 실에 맞을 수 있으므로 윗점을 너무 높게 뛰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