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전문기술] 노트북으로 메이플하는데 잔렉이 심해요. (210114 글 추가)

아이콘 삼성에버랜드
댓글: 319 개
조회: 85138
추천: 146
2021-01-12 20:48:06
Q : 데스크탑과 노트북으로 메이플을 할 때 왜 메이플이 렉이 더 걸릴까요?

A : 대부분의 노트북은 저전력 CPU를 이용하기 때문이예요.

Q : 저전력 CPU가 뭔가요?

A : 지멋대로 작업부하량을 판단해서 강제로 성능을 조절하면서 배터리가 오래가도록 작동하게 만든 CPU입니다.

-> 노트북 CPU는 대부분 i3(5,7)-XXXX "U" 혹은 "M" 이라는 수식어가 붙습니다.

이는 '배터리 사용시간을 강제로 길게 하고자 최소한의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만들어진 저전력 CPU가 탑재되어 있다.' 라는 말입니다.

-> 그래서 뭐가 문젠데요?

전력을 최소한으로 작동시켜야 하기에 위와 같은 저전력 CPU는 끊임없이 성능을 강제로 조절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도 열심히)
저전력CPU를 포함한 대부분의 노트북에 탑재되는 CPU는 강제로 성능을 조절하는 기준이 몇 가지 있습니다.


1. 발열
2. 작업부하량
3. 공급전력량

1번을 예로 들어봅시다. 노트북은 얇아요. 얇으면 내부에 부품을 최소한으로 설계해서 넣어야해요. 최소한으로 설계하다보면 대부분의 제조사들은 노트북의 성능보단 디자인을 중요시하게 됩니다.(얇고 가벼운 그X, 갤XX북, 비X북 등)

그러면 문제가 되는게 뭐냐!? 부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해서 부품에 열이 빠지지 못하고 고열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죠.(게임켜면 제트기 이륙하는 노트북들은 열을 빼려고 노력하는 겁니다.. 다만 감당못할 열이 발생할 뿐이죠...)

열을 해소하지 못하면 노트북은 판단합니다. '아 개 뜨겁네 야발. 열 식을 때까지 성능 제한걸꺼야.' <- 아주 개같지만 당신의 노트북은 어쩔 수 없는 저런 판단을 합니다. 일정 이상 온도로 올라가게 되면 기계는 작동중지가 되도록 대부분 설계해두기 때문이죠.

요약 - 발열량을 감당 못하는 노트북들은 표기되어있는 스펙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실성능을 보여준다. (마치 DPM은 높지만 실전딜이 개똥망인 직업과 같은 것)

이에 대한 해결은 무엇이냐? -> 발열량 해소하는 노트북 쿨러를 이용하면서 전력을 적게 먹여 발열량을 애초에 적게 나오게 조절하는 '언더볼팅' 이라는 작업을 해주는 것. -> 언더볼팅은 조금 위험성이 따르므로 글의 반응에 따라 후속편으로 적겠습니다.


지금 드릴 팁은 인텔 내장그래픽으로 구동되는 노트북 한정입니다.

i5 6~10세대 정도는 CPU의 성능이 충분하여 메이플을 구동하기에 나쁘지 않습니다. (그 이하는 사실 상 버거워합니다.)

CPU성능이 충분한데도 렉이 걸리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원인은 못 밝혔습니다. 더 알아보고 수정할게요.)

제가 포인트 잡은 렉은 사냥터에서 블토나 카퓨 쓰면 걸리는 렉입니다.

다수의 몬스터 + 다수의 타수 = 렉걸린다. 라는 것을 여러 유튜브 혹은 경험으로 깨닫고 계실겁니다.

메이플은 이제 18년 차의 오~래된 클라이언트를 기반하고 있으므로 원인을 파악하기가 어렵고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가는데 되는 경우가 여러 있었기에 결과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본론 시작 -


인텔 내장그래픽을 이용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설정법입니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인텔 내장그래픽의 전원옵션을 최대 배터리 모드로 해두시는게 최대 성능으로 해두시는 것보다 잔렉이 덜 발생합니다.

제 노트북은 서피스프로6 i5-8250u 모델입니다.

설정법은 아래의 캡쳐들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1. 제 노트북의 그래픽카드 성능입니다. (UHD620)



2. 인텔 그래픽 제어센터를 이용한 설정



3. 위와 같은 인텔 그래픽 제어센터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전원옵션 클릭 후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 클릭

인텔 그래픽 설정 에서 배터리, 전원사용 시 최대 배터리 수명 모드로 선택 후 확인

---------

4. 선생님 왜 저는 저런 고급 전원 관리 옵션 항목들이 없죠?
에 대한 강제 활성화 방법입니다. (전혀 문제되는 것 없습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윈도우키 -> regedit 입력 후 선택)

맨 위 주소창에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ControlPowerPowerSettings44f3beca-a7c0-460e-9df2-bb8b99e0cba63619c3f2-afb2-4afc-b0e9-e7fef372de36

입력 후 아래 처럼 빈공간 우클릭 후 DWORD 32비트 생성



새로 생긴 DWORD 32비트 값에 대한 이름을

" Attributes " 로 변경 후 더블클릭


값 데이터 부분을 2로 변경하고 16진수로 선택 후 확인 



다시 고급전원관리 옵션을 들어가게 되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해당 방법을 통해 작성자가 확인한 것은 여러 몬스터(개체)에게 다수의 타수를 발생시켰을 때 생기는 잔렉(ex. 몹이 밀집되어있는 지역에서 블토카퓨를 사용하게 되면 걸리는 렉)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제 노트북만 그런가싶어 친구의 서피스프로5 에도 적용해보았는데 동일한 잔렉감소 현상을 보였습니다.

반응이 괜찮다면, 시간이 여유롭다면 ThrrotleStop 을 이용한 인텔 CPU 노트북의 발열 줄이기 및 성능 향상시키기를 적어보겠습니다.

참고로 제 서피스프로6는 언더볼팅이 되어있으며 상시 3.0~3.4Ghz 클럭이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배터리와 전원모드 둘 다 고클럭 유지되게 해두었습니다.)


---- 21.01.14 추가

인텔 내장그래픽이신지 아닌지 확인부터 하시고 따라해주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질문 중 유독 심한 질문이 있습니다
??? : "제 노트북은 OO회사 껀데 인텔 그래픽 설정이 없어요!

저는 전지전능하지 않습니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그런 존재도 아닙니다.
당신의 노트북 세부모델도 안 알려주시고 저보고 어떻게 알고 해결해달라는겁니까!!!!

먼저 확인하세요.

윈도우키 -> dxdiag -> 디스플레이 탭 들어가시면 당신의 노트북의 그래픽카드를 알 수 있습니다.
(CPU와 RAM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나옵니다.

이제 인텔 그래픽 제어센터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윈도우키 -> microsoft store 입력 후 실행 -> 인텔 그래픽 제어센터를 검색해봅시다.(검색어는 인텔만 쳐도 나옵니다.)



이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인텔 HD그래픽 제어센터의 개선형 버전으로 인텔 6세대 프로세서 이후(i? -6xxx 이후) 버전부터 지원합니다.



결과를 보여드리면

 

오른쪽 아래의 작업관리자 창에 GPU 부분의 점유율이 60~90% 사이를 왔다갔다 하며 높은 점유율을 보이게 됩니다.

실제 사냥터에서의 모습(그튀4로 선정)

-최대성능 모드 (그래픽카드 점유율 50%내외)


- 최대배터리수명 모드 (점유율 80% 내외)

점유율의 차이로 그래픽카드를 놀게 하지 않고 최대한 100% 에 가깝게 강제로 일을 시키기에 렉이 덜 걸리지 않나.. 라고 생각해봅니다만..

아마 AMD 유저분들도 비슷한 상황일 겁니다.
암드 모바일프로세서는 출시한 지도 얼마 안되었으며, 커스텀 툴도 없는 실정입니다. 그리고 제조사마다 같은 CPU로도 다른 TDP값을 적용시켜두어 성능이 제각각입니다. 25w가 기본인 것을 10~15w로 설정해둔다던지, 35w를 그대로 35w 다 쓰게 해놓고 발열관리가 안되도록 쿨링설계를 잘못하여 쓰로틀링이 패시브인 노트북도 있는 등...

아직 시험단계라고 생각합니다.

AMD 모바일 프로세서 자체는 엄청 좋습니다. 인텔 찌발라요. 그래픽도 코어능력(IPC)도 충분히 좋습니다.
허나 제조사들이 아직 제대로 설계를 못하고 있으니 실성능 리뷰로 검증된 노트북 모델만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