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전문기술] 노트북이 뜨겁고 렉이 심해요. (언더볼팅편)

아이콘 삼성에버랜드
댓글: 45 개
조회: 29637
추천: 15
2021-01-13 16:34:12
2편입니다.

여기서 쓸 글은 ThrottleStop 을 이용한 노트북 CPU의 '언더볼팅' 입니다.

Under-Volting 말그대로 전압을 낮추는 작업입니다.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CPU를 '일하는 로동자' 로 비유하겠습니다.

로동자는 365일 24시간 오징93처럼 일을 합니다. 밥도 먹어요 삼시세끼 밥 한그릇씩!

근데 이는 악덕공장주가 모든 로동자들에게 동일하게 주는 식사입니다.

허나 로동자는 다 다른 사람입니다. 누구는 반 공기만 먹어도 배부르고 누구는 한 공기로도 부족합니다.

이를 이용해서 반 공기만 먹어도 충분히 배부르게 일 잘하는 로동자에겐 반 공기를 주고 한 공기 먹고도 배고파서 쓰러지는 놈은 집으로 돌려보내겠지요?

자 지금까지 CPU의 수율에 대해 완벽히 이해하셨습니다. 수율이 높은 제품은 저전압상태에서도 충분히 정상작동을 한다는 것입니다. 허나 수율이 똥망인 똥손에 의해 뽑힌 CPU는 전압을 처맥여야 정상작동을 합니다.

자 그럼 공장에선 이 모든 편차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상품을 내놓을까요? 똥수율 제품에게 포커싱해서 높은 전압상태를 공장초기값으로 설정하여 출하하게 됩니다.

당신들이 쓰고 있는 노트북이 과연 똥인지 황금인지는 열어봐야 압니다.

시작할게요.


먼저 Throttlestop 을 다운로드 해보겠습니다. (무설치파일입니다.)

https://www.techpowerup.com/download/techpowerup-throttlestop/ 에서 왼쪽 중앙에 Lastest Stable 버전인 9.2 버전을 다운받아 봅시다.

다운받고 이를 압축해제 하게 되면 짜잔


저렇게 Throttlestop.exe 파일이 있습니다. 실행합시다. (저 폴더안에 있는 파일들은 다른데로 개별적으로 옮기시면 안됩니다.)

실행하면 처음 실행하시는 분들은 이런 경고가 뜹니다.

이거 써서 문제생기면 너탓임 ㅇㅋ? 하는 경고 문구입니다.

자신있으시면 확인누르시고 따라오세요.

또 이런 창이 뜹니다. HWinfo 를 설치하면 더 도움될거야~ 라고 하지만 일단 없어도 됩니다. 

진행합시다.

처음 실행한 장면일겁니다.


이제부터 집중하세요.

오른쪽의 표에는 시시각각 변하는 숫자들이 있습니다.

FID 는 당신의 CPU 클럭입니다. 계속 변화할겁니다.
C0% 는 당신의 CPU들이 얼마나 제각각 열심히 일하는지를 나타내는 점유율입니다.
Mod 는 당신의 CPU를 얼마나 활용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활용도입니다. 초기상태라면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만 100이 아닐 경우에 댓글남겨주세요.
Temp 는 말그대로 온도입니다. 중요해요.
Max 는 최고온도가 기록되는 부분입니다.

자 이제 왼쪽 아래의 Options 창을 들어가봅시다.


왼쪽 아래 프로필 이름을 저는 저렇게 세팅합니다.

오른쪽 위에 디폴트 프로파일이라고 있습니다. 당신의 노트북이 배터리모드면 몇 번 프로필을 기본으로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창입니다.

제가 지금 해둔 세팅은 전원을 연결하면 '전원' 이라는 프로필을 기본으로, 어댑터를 뽑고 배터리로 작동하면 '배터리' 프로필로 작동되게 해둔 것 입니다.

배터리가 5% 이하로 내려갈 경우 1번프로필인 초절전 으로 작동되게 해두었습니다.

이제 OK 한 후 다시 쓰로틀스탑 창에서 오른쪽 아래 FIVR 버튼을 눌러봅시다.

이제부터 블루스크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황하지 마시고 전원버튼을 꾸욱 눌러 끄신 다음 전원이 다시 켜시면 됩니다.

--

FIVR 창입니다.


1번은 CPU의 클럭을 어디까지 터뜨릴 지 범위를 정하는 부분입니다.

제 노트북은 3.4ghz까지 터뜨려도 발열 부분에서 크게 문제가 없기에 최대로 설정하였습니다.

2,3,4번은 이제 언더볼팅을 해보는 부분입니다.

5번에 체크를 하여 활성화를 해준 후 6번의 Adaptive 방식으로 설정 후 7번에서 직접적으로 전압을 낮추게 됩니다.

여기부터는 Try & Error 를 계속 시도하셔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2,3번은 동일한 값을 넣고 4번은 20~50mV 정도만 넣어줍시다.

2,3번은 저 같은 경우는 110mV 에서도 안정화가 되어 블루스크린이 뜨질 않기에 저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시도하시는 분이라면 50mV로 처음에 넣어서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안정화가 된 것 같으면 점점 값을 10mV 단위로 떨구면서 블루스크린이 안뜨길 기도합니다. (기도메타 중요)

8,9번 확인을 통해 값을 저장하고 나와서 간단하게 CPU에 부하를 걸어봅시다.

맨 밑줄에 보면 Turn On 이 있습니다. 버튼을 눌러 Turn off 로 보이게 한 후 옆에 TS Bench 를 눌러 창을 엽니다.



Threads 는 최대치로, Size는 적당히 커보이는 것, MHz는 Fixed 로 진행합니다.

아래에 Start를 누르게 되면 열심히 CPU가 일을 합니다. 블루스크린이 뜨지않고 시간이 흘러 결과값이 도출되었다면 어느정도 신빙성 있게 안정화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제 위의 언더볼팅 작업을 반복하시면 됩니다.

---

자 두번 째로 전력제한입니다. 이 부분은 당신의 노트북이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 지 저는 모릅니다. 저는 서피스프로와 갤럭시북만 제대로 진행해보았기에 다른 노트북은 전력제한 시에 메인보드에서 전원을 못버티고 고장날 수도 있습니다.

쓰로들스탑 창에서 FIVR 옆에 TPL 을 클릭해봅시다.


제가 체크해둔 부분만 확인해서 입력하시길 바랍니다.

각자의 노트북에 탑재된 CPU는 기본적인 TDP 가 있습니다. 구글에 CPU 이름(ex. i5-8250u)을 검색하시게 되면

이런 검색결과가 보이고 들어가게 되면 인텔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CPU의 제원이 나옵니다.

TDP가 대부분의 노트북은 15w 내외 입니다. 초미니 혹은 울트라북 중 초저전력 의 경우 5w~10w 사이의 제품도 있으니 기본적인 TDP를 알고 난 후 증감을 시켜봅시다.

저같은 경우는 여기서 25w 까지는 전력제한 해서 사용해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온도도 착하긴 하더라구요. 배터리 소모율은 당연히 늘어난 만큼 늘어나는건 당연한 결과...


아무튼 저기서 제껀 기본15w에서 20w까진 늘려서 쓰고 있습니다. 이정도는 줘야 올코어 3.0~3.4ghz로 터지더라구요.

아무튼 무서우시면 건들지마시고 그냥 이런 설정창이 있구나 하고 지나가시길 바랍니다. 전 책임 못져요.

---

다시 쓰로틀스탑 창으로 오셔서 이제 설정을 마저 해봅시다.



처음 안정화값을 찾는 분께서는 첫 번째 값만 변동주면서 합시다. (왼쪽 위 선택지 4개 중 맨 왼쪽꺼가 1번입니다.)

밑에 동그라미 쳐둔 체크박스 설명

Spee Shift - CPU에 작업부하량에 따라 얼마나 민감하게, 성능을 증가시킬 건지에 대해 적습니다. 저는 0~255 중 배터리는 128 을 선호합니다. 0은 항상 최대 클럭에 가깝게 작동되게 하는 세팅입니다. 255는 최저클럭에서 놀게하며 작업부하량이 높아져도 쉽게 클럭이 상승하지 않습니다.(성능을 최대한 안끌어내는 초절전 모드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Speedstep은 체크를 하던말던 계속 작동합니다. 상관은 없지만 기본세팅이 저러니 그냥 놔뒀습니다. 지금은 스피드스텝이 이름이 바뀐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전 인텔 모바일 프로세서에서 배터리 효율을 급증시키는데 한 몫한 기술입니다.

BD PROCHOT, C1E 쓰로틀링 관련 체크박스입니다. 이건 제조사에서 설정해둔 값이라 체크박스를 해제해도 쓰로틀링은 걸리더라구요. 해제하는 방법이 레지스트리 편집을 이용해서 있긴 합니다.

이렇게 저장하고 진행합니다.

위의 언더볼팅 작업 반복을 통해 안정화된 값을 찾으셨다면. 이제 컴퓨터를 켤 때마다 항상 실행되게 해줘야합니다.

윈도우키 - 작업 스케줄러 입력 후 실행

오른쪽 위에 기본작업을 통해 만든 후



짤을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Throttlestop 이 있는 폴더를 평생 바꾸지 않을 자리로 옮기신 후 설정을 시작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재부팅할 때마다 자동으로 throttlestop 이 실행되게 됩니다.

---------

번외편

'나는 발열제한 걸리고 싶지 않아요. 노트북이 불타버려도 좋으니 쓰로틀링 제한 풀어보고싶어요. 라는 분께 추천드립니다.



해당 부분을 1탄에서 했던 것과 같이 Attributes 만들어주고 2값을 넣으시면 전원관리 옵션에 스로틀 상태 허용 옵션이 생깁니다. 해제 하시면 됩니다. ㅎㅎ...

컴퓨터
HKEY_LOCAL_MACHINESYSTEM
ControlSet001
Control
Power
PowerSettings
54533251-82be-4824-96c1-47b60b740d00
3b04d4fd-1cc7-4f23-ab1c-d1337819c4bb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최근 HOT한 콘텐츠

  • 메이플
  • 게임
  • IT
  • 유머
  • 연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