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폴썬더 입니다.
오늘은 구글 스뷰없이도 위치정확도 평가하는 팁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기존에 심사 경험이 많으신 분들은 대부분 아시는 팁이겠지만
아직 심사 경험이 많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경험 공유 차원에서 작성합니다.
위치정확도 심사는 구글 스뷰 유무를 평가하는게 아니고
나이언틱이 Wayfarer 심사에 구글 스트리트뷰에 지도 DB를 가져다가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 유저들은 Wayspot 승인 확률을 높이기 위해 스뷰를 Upload 하여
위치 정확도 심사 평가에 확률을 올리는 팁의 일부 입니다.
최근에 Wayfarer 내에 Wayspot 중복 오류로 선출권을 2배로 지급한 시점 이후에
구글 스뷰가 Upload 안되다는 게시글을 보았고 저도 최근에 7건 이상 신청한 건에
스뷰 적용이 1개도 적용이 안되었습니다.
구글맵에 'Temporary product changes in Google Maps'
일시적인 제한과 지연이 있다고 합니다.
https://www.localguidesconnect.com/t5/Announcements/Temporary-product-changes-in-Google-Maps/ba-p/2327368
구글 지도는 엄밀히 따지면 국내에 실제 위치와도 차이도 있고 Update 반영도 늦은 것은 사실입니다.
Wayfarer 심사 기준에 구글맵이 아닌 카카오맵이 적용될 일은 전혀 없겠지만 실제 위치 확인은
카카오맵이 더 정확한 편입니다. 최근에 위치정확도 평가할 때 카카오맵을 더 많이 활용합니다.
최근에 승인된 신규 포탑 여우엄마 벽화를 예시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Wayfarer 내에서 후보 사진 밑에 구글 맵이 뜨는데
왼쪽 하단에 구글을 클릭하시면 아래 화면처럼 구글 지도 좌표를 복사합니다.
기존에 Wayfarer+ 부가기능에 카카오맵을 연결해두신 분은
Open In 클릭하시면 바로 카카오맵으로 연결됩니다.
구글 검색창에 카카오맵이라고 검색하시면 바로 카카오맵이 뜹니다.
왼쪽 검색창에 구글맵에서 복사하신 위치 좌표를 입력하시고
엔터를 치시면 카카오맵에 해당 위치가 뜹니다.
구글 좌표의 위치가 실제 후보 위치와 70~80M 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는 저희 동네라 당근 구분을 할 수가 있겠는데요
포탑 신청을 많이 하다보니 구글 지도 좌표가 정확한 경우도 많지만
실제 위치와 차이가 나는 경우도 많고 신규 건물 등은 Update 안된 곳도 상당히 많습니다.
카카오맵 상단에 로드뷰를 클릭하시면 주변 로드뷰가 있는 곳은 하늘색으로 활성화가 됩니다.
카카오맵 상단에 로드뷰를 드래그하여 위치 표시된 지역으로 이동을 하면
상단 이미지 처럼 로드뷰가 활성화됩니다.
여기 후보는 실제 위치와의 간격 차이가 있으니 앞으로 로드뷰를 이동시켜보면
오른쪽에 후보가 확인이 됩니다.
상기 예시를 든 후보는 벽화입니다.
교회,성당,사찰,우체국,공공기관들은 건물에 해당하는 후보는 스뷰가 Upload 되어
있지 않더라도 대부분 상기 위치 좌표를 복붙하여 5점 평가가 가능합니다.
최근에 신규로 건축된 건물이나 신축 아파트 단지의 경우는 카카오맵도 Update 안되어
후보가 확인이 안되는 경우에는 3점 정도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위치이동 심사하실 때도 동일한 패턴으로 하시면 됩니다.
심사하실 때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카카오맵까지 보면서 위치 확인을 하면서
심사해야 하나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에 Wayfarer 신규생성/위치이동 심사
30초 이내에 심사하시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빈번합니다.
'요청을 다시 시도하세요'
'현재 심사가 가능한 후보가 없습니다'
저도 심사 시간이 30초 정도에서
2분으로 심사 시간이 늘어 나기는 했는데
구글 스뷰에만 의존했던 것 보다는
위치정확도 확인을 위한 대안이 되기도 합니다.
현재 불안한 심사시스템에서 계속 로딩 지연으로
대기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심사하면서 에러를
피하는게 더 나은 부분도 있습니다.
위치정확도 심사라는 것이 구글 스뷰 유무를 심사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가 신청한 후보가 정확하게 해당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런 방법적 측면에서 활용해 보니
카카오맵이 보조 확인 수단으로 유용한 것 같습니다.
확실히 카카오맵이 로드뷰도 많고 위성화질도 확실히 좋네요!
로드뷰 안보고 카카오맵 스카이뷰만으로도 식별 가능한게 많이보이네요
구글맵은 건물명과 위치 Update 안된 곳이 굉장히 많습니다.
국내 지도는 카카오맵 예전 다음 시절일 때 부터
로드맵 인프라 구축이 잘되어 있는데 이 데이터를
너무 활용 못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신규 건축물이나 신규 아파트 단지는 카카오맵 로드뷰로도
확인이 안될 때가 있는데 이럴 때는 좀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저기도 그런 포인트 중 한 곳 이기는 합니다만
보행로가 아닌 곳은 아닙니다.
오른쪽이 상가 건물들이 있어서 보행을 하는 파밍로 이기도 합니다.
최근에 생성한 포탑 중 가장 이쁘게 나와서 예시로 사용했는데
위치는 사진상으로 봐서는 조금 위험해 보일 수도 있겠네요
제 기준은 저기가 체육관이 됐을때 초등학생들이 바글바글 모여도 안전한 곳일까가 기준이어서요. 아무리 봐도 제 기준에는 못미치는.. 좀 심하게 말하면 어른의 이기심이 만들어낸 포탈로 밖에 안보여서요. 전체이용가이니 만큼 어린 아이들에게도 안전한 게임이 돼었으면 하는 마음에서요.
좋은글에 다른 이유로 딴지걸어서 죄송합니다.
왼쪽은 주차장이고요
마을버스도 다니고
택시도 일반 승용차도 다니는 길입니다.
서로 마주 걸리면 한쪽이 기다렸다가
한쪽이 먼저 통행하고요
행인도 도보하고요 ㅎㅎㅎ
약간 시골스러운 그런 느낌이 나는 길입니다.
제발 어른들이 게임에 양심을 팔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제주 포켓몬고 카페에 퍼가도 될까요?
이후에는 굳이 동의 얻지 않으시고 퍼가도록 하세요.
아직 승인이 안났는데 혹시 조건이 있는건가요??
승인 거부 메일이라도 와주면 좋겠는데 촌동네라 심사가 안되는건지
답답하네여 ㅠ
Wayfarer 테스트를 통해서 심사권한을 얻지 않으신 만렙 유저분도
Wayfarer에 https://wayfarer.nianticlabs.com/
구글 계정으로 접속하시면 본인이 신청한 후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심사 진행 중 상태가 심사대기로 되어 있을겁니다.
심사중으로 빠른 전환을 위해서는 신청자 분도 심사자가 되셔서
심사에 동참하시면 업그레이드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포켓스탑 승인 확률은 올리고 승인 기간은 줄이는 방법
이라고 작성된 게시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