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 인벤 실시간팁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캐릭터] 현 시점 인던내의 창기사의 문제점 분석.

아이콘 홍안의은기사
댓글: 76 개
조회: 8817
추천: 246
2016-03-05 23:08:41

 현 시점 인던내의 창기사의 문제점 분석.

 

1.글을 시작하며

 

 네 또 돌아왔습니다. 이번이 벌써 3번째 팁게시판 글이네요. 넥슨, 블루홀 열심히 테라 인벤 눈팅하는거 알기에 부질없어

보여도 한번 더 시간을 내서 왜 창기사가 사장되어가는지 인던 별로 몇가지 비교 분석을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짚을 수 있는 점이 다는 아니지만 크게 와닿는 점들을 퀴르갈, 베르노 상급, 듀리온 상급 3가지 던전을 중심으로

왜 창기사가 사장되어 가는가, 왜 상급 던전 랭킹에서 권술사가 창기사에 비해 압도적인 숫자를 자랑하게 되었는가. 

각 던전 주요 패턴과 특징을 통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주로 주요 보스인 마지막 네임드를 위주로 분석하였습니다.

 

약간 정리하여 미리말씀드리자면 현 상위 던전들은 단 하나도 창기사의 특성을 유리하게 살릴 수 있는 곳이 없습니다.

 

아 시작하기 전에 "방막 중첩" 이라는 패시브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권술사의 "거인의 힘"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밑의 던전들에서는 바로 이 "방막 중첩"을 전혀 사용 못하게 만들어 놓은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2. 퀴르갈의 동굴

 

1넴과 쫄 구간은 생략하겠습니다. 창기사나 권술사의 경우 큰차이가 없으며, 창기사가 아주 코딱지만큼 유리하다는 점이 있다면, 스턴기가 권술사에 비해 많아서 "강해질테다" 패턴을 쉽게 끊을 수 있다는 점 정도. 그러나 같이 가는 딜러들이 호구가 아니라면 딜러가 둘~셋인데 패턴 끊기 쉬워서 좋다는 점은 어필이 크게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자 2넴 퀴르갈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첫째, 기본적으로 80% 이하가 될 경우 퀴르갈의 저주가 생깁니다. 틱당 데미지가 들어오죠. 안 받을 수없고 계속해서 중첩이 됩니다. 자 여기서부터 문제가 생깁니다. 창기사에겐 "방막 중첩" 이라는 패시브가 있습니다. "방어 시 적대치, 힘, 치유발" 등을 향상시켜주는 정말 고마운 패시브인데요. 최대 10중첩까지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놈의 저주 때문에 중첩이 될 수가 없습니다. 방막 중첩은 방어를 성공해야만 중첩이 쌓이는데 틱당 독뎀은 방어가 불가하여, 창기사의 성능이 진짜 개 쓰레기가됩니다. 방막 중첩을 10개쌓아도 권술사만큼의 딜이 안나오는데, 아예 쌓을 수 조차 없습니다. 여기서부터 이제 큰 격차가 벌어지는거죠. 제일 중요한 패시브가 무쓸모가 됩니다.

 

둘째, 20%이하 시 광폭화 패턴. 20%이하부터 퀴르갈이 중첩을 쌓아가며 데미지가 상승이 됩니다. 제기억으로 15중첩 이상부터는 창기사도 방막이 뚫리고 아프며, 10중첩만 넘어가도 왠만한 딜러들은 잘못스치면 죽습니다. 말 그대로 이 패턴은 죽지말고 열심히 딜로 깨라 이말이죠. 자 여기서 방막 중첩도 쌓이지 않는 창기사와 강력한 딜을 자랑하는 권술사 누가 유리할까요. 창기사의 버프와 맺감이 있지만, 중첩이 쌓이면서 딜러들이 물론 안죽고 깨면 좋지만, 딜러들이 하나 죽을 경우 창기사의 경우 우겨넣는 딜과 권술사가 우겨넣는 딜량은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방막 중첩 또한 전혀 되지를 않으니 그 격차는 더 심하구요. 물론 창기사 또한 깨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허나 20%이하의 패턴에서 딜이 적게나오는 창기사와 딜이 잘나와서 딜러가 하나둘 죽어도 딜러만큼의 화력을 내는 권술사와 누가 더 안정감이 있고, 같이 가고 싶을까요. 답은 이미 나와있다고 보여집니다.

 

 

3. 베르노 상급

 

개인적인 생각으론 1넴의 경우 권술사가 창기사에 비해 거힘 유지가 쉽고 창기사의 방막중첩이 더어렵다고 생각하나, 증거가 없기에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두 케릭터다 창기사 탱킹 해보신분이라면 알겠지만, 전에 글을 통하여 느낀바가 있기에 확실한 부분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2네임드 또한 딱히 양쪽의 컨셉상 문제가 없기에 넘어가겠습니다.

 

자 대망의 마지막 3네임드 베르노입니다. 여기서부터 다시 격차가 벌어지는데요. 베르노의 특성상 원콤패턴(레이저, 터져라)과 방어가 불가능한 기술(근폭, 초록색 진액 뿜기) 등이 주로 공격을 이루며 직접적으로 탱커를 공격하는 패턴이 매우 드뭅니다.

자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요. 창기사의 경우 현재 딜미터기의 등장 이후 주력 데미지 스킬은 1위 도약 공격 2위 반격찌르기 3위 방패연타 이정도 순입니다. 오히려 압도는 치명타가 잘 발생하지 않아 딜량이 낮습니다. 도약공격과 방패연타는 직접 쿨마다 쓸 수 있지만, 주력 딜링기인 반격 찌르기는 상대가 공격을 해주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반격 찌르기를 베르노 내내 많이써야 20번을 쓸까말까정도 딜이 좋은 파티의 경우 적게쓰는 경우 10회정도 쓰는 것 같습니다.  주력 딜링기 하나가 그냥 강제로 봉인되는 경우 입니다. 물론 권술사의 완방시 증뎀 효과 또한 보기 힘들어지지만, 반면 권술사를 향한 직접 공격이 줄어들기 때문에 거인의 힘의 분노 유지는 상대적으로 쉬워집니다. 2번째로 딜이 높은 스킬을 못 쓰게 되는 창기사와 완방시 증뎀이 줄어드는 권술사의 차이가 벌어지죠.

 

아 더불어 말씀드리자면, 역시 베르노가 탱커를 단독으로 때리는 패턴이 거의 없고, 막을 수 없는 기술이 대부분이기에 방막 중첩 또한 매우 더디게 쌓이고 쌓기가 힘듭니다.

쉽게 설명 드리자면, 반격 찌르기를 하려면 방어를 해야합니다. 피격을 안당하고 막았을 경우 반격찌르기 횟수 = 방패 방어 중첩 횟수 입니다. 때리지를 않아서 반격찌르기를 못하는데, 방막 중첩 또한 쌓을 수가 없죠....

 

자 퀴르갈에서는 쓰라고 만든 패시브인 방막 중첩을 못 쓰게 만들더니 베르노에서는 주력 딜링기인 반격찌르기까지 거의 쓸 수 없는 상황입니다. 창기사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던전들인지 의심이 됩니다. 무슨 마지막 네임드마다 이모양이니..마지막 듀리온 상급 분석 들어가겠습니다.

 

 

 

4. 듀리온 상급

 

휴 대망의 듀리온 상급입니다. 1네임드 골렘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골렘의 레이저의 경우 창기사나 권술사나 마찬가지로 피하기 힘듭니다. 그 외의 패턴들은 상관이 없이 비등비등하다고 보여집니다. 자 여기서 또 그 대망의 "방막 중첩"이 문제가 됩니다. 제 기준으로 카이락 12강 4뎀감 갑옷을 입고 있어도, 골렘이 노 분노상태시 휘두르기를 맞으면 방막이 뚫립니다. -3000? 정도의 미세한 데미지로요. 자 이게 왜 문제가 되느냐면 탱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분명히 방어 타이밍도 맞게해서 방어가 성공했습니다. 근데 바로 이 방막이 뚫리는게 문젭니다. 분명히 맞는 타이밍에 막았고 방패 방어 성공임에도 불구하고. 방패방어를 뚫고 데미지를 입히는 순간 바로 이 "방막 중첩"이 뚫려버립니다.

자 카이락 12강 4뎀감 갑옷도 뚫리는 판에 현시즌 템인 베르노 갑옷이 안뚫릴리가 없겠죠? 방어를 성공했는데 뚫리게 만들꺼면 방막 중첩을 다른 것으로 바꿔주든지 해야지. 제일 중요한 패시브로 만들어놓고 아무리 잘해도 쓰지를 못합니다. 

 

그리고 보호막 패턴이 또 문제가 되죠. 이놈의 딜딜딜만 중시하는 던전... 퀴르갈에서도 광폭화를 만들어서 20%이하에선 딜이 잘나오는 직업을 우선하게 만들더니 보호막패턴이 1넴부터 나옵니다. 물론 정상적인 파티라면 창기사든 권술사든 상관이 없죠. 그런데 보호막 패턴에서 창기사가 신뢰를 키고 상승되는 딜량과 권술사 자체 보호막을 뚫른 딜 중..누가더 좋을까요. 이건 제 실제 경험담입니다. 딜러가 보호막 패턴 시 한명이 실수로 죽어서 2힐팟이라서 저와 인술 둘이서 보호막을 깨야했습니다. 당연히 깨지 못하고 전멸기가 나와 모두가 사망하였습니다. 인술 님이 그러시더군요. "아 어제 권술님이랑 갔을 땐 한분 누우셔도 둘이 충분히 깼는데..아쉽네요." 네 물론 죽은 한명의 딜러가 가장 큰 문제지만.. 이 한마디에서 느껴지지 않나 싶네요. 정말 이때 큰 충격 받았습니다.

 

2네임드 딱히 권술사와 창기사가 큰 차이를 보이는 곳은 아닙니다. 창기사라고 유리한 점이 있는 것도 아니고 권술사라고 유리한 점이 있지 않습니다. 그냥 구슬 피하고 장판 피하는 곳이죠.. 20%에서 10%까지의 극딜 타이밍이야 창기사라고 해서 불리할 정도로 시간이 짧지 않기 때문에.. 패스 하겠습니다.

 

자 대망의 마지막 3네임드 폭군 듀리온입니다. 자 여기서도 그놈의 딜만을 중시하게 만드는 패턴들이 역겨울 정도입니다.

자 쫄부터 시작하겠습니다. 40%까지의 쫄처리는 창기사 또한 할만합니다. 그 이후가 문제지요. 15마리(죄송합니다 정확히는 기억이안나지만 대각선4방향 3마리씩 각 동서남북 1마리씩 15마리로 기억합니다.)의 젠이 됩니다. 정상적인 경우라면 3마리의 쫄을 처리할 경우 충분히 할만합니다. 그러나 항상 모든일이 쉽게만 흘러가는 것이 아니죠. 딜을 잘 못하시는 딜러분이 계실수도 있고 쫄 패턴 시 한 분이 누워계실수도 2분이 누워계실수도 있습니다. 결국 쫄을 많이 잡을 수 있는 직업을 선호하게 됩니다. 창기사의 경우 많이 잡아야 2개 정도입니다. 위치나 상황이 안좋을 경우 1마리 잡을 경우도 있죠.  

그러나 그 이상은 불가능하죠. 권술사의 경우 3개 많은경우 4개 이상도 가능합니다. 정확한 비교는 사람마다 다르기에 수치화 시킬 순 없지만, 아시잖아요. 말씀 안드려도 쫄 누가 더 잘잡을지는..

그리고 마지막 광폭화 패턴 2분의 타임어택..그냥 이 패턴 또한 딜로 찍어누르라 이겁니다. 극딜 타이밍. 누가 더 딜을 잘 넣을지는.. 제가 최근 봤던 글 중에 가슴 아픈 글이 있었습니다. 창기사 분이 올리신 글인데 2% 남고 전멸을 당했다고 합니다. 그 파티 딜러분 왈 "아.. 권술이었으면 깼을텐데." 네 권술이면..깼을것 같네요. 신뢰의 오라하나만 믿고 파티원의 딜량 상승을 기여에는 너무도 많은 변수가 많습니다. 자체 딜량이 적은 창기사에게 타임어택과 같은 패턴은 쥐약이 아닐까요. 파티원 딜량 상승에 기여를 크게 해준다면 모를까..

 

 

5. 글을 마치며 정리

 

일단 "방막 중첩" 이라는 "거인의 힘"과 비교될만한 창기사의 기술을 봉인 및 사용 조차 안되게 하는 패턴과 네임드들이 너무 많습니다. 더군다나 방막중첩이 거인의 힘보다 유지가 쉽다면 말이라도 안하겠지만, 거인의 힘보다 방막중첩이 더 힘듭니다. 거힘이 쉽다는건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방막이 어렵다는 거지요. 그 어렵다는 방막 중첩을 사용조차 못하게 하는 패턴들, 반격 찌르기가 2위의 주딜링기 스킬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쓸 수 없는 베르노 막넴. 각종 보호막 및 광폭화, 타임어택 등 딜링을 중요시 하는 많은 패턴들 속에 권술사에 비해 딜량 기여도가 낮은 창기사. 

 

블루홀에게 물어보고 싶습니다. 창기사로 인던 돌아보고 권술사랑 비교는 해보고 새로운 인던 내시는 건가요? 두 직업의 밸런스 차이가 너무 난다고 생각되지 않나요.

 

저도 권술사란 직업 참 매력적이고 덕분에 탱귀 현상도 줄어들어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탱커 유저분들도 많아지구요. 그건 좋은데, 그렇다고 다른 탱커 직업들을 소외시해도 되는 것은 아니죠. 기존 창기사 유저들의 박탈감은 어쩌실 건지..

 

밸런스라는 의미의 해석은 여러가지로 나올 수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균형" 이라고 생각합니다. "균형" 이라는 개념은 상대적인 것이지요. A와 B의 균형이 맞는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인데, 현재 탱커의 균형이 맞다고 보십니까? 

 

한가지만 예로 더들고 마치겠습니다.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옆 동네 리그오브레전드에서 서포터 군에 "알리스타" 라는 챔피언과 "타릭" 이라는 챔피언 2가지만이 있다고 칩시다. 다른 서포터는 없습니다. 서포터를 하려면 2개 중 하나를 골라야 합니다. 그런데 라인전에서도 알리스타는 타릭에 비해 유리하며, 한타를 갔을 때도 유리하며, 아군 딜러를 지키기에도 좋으며 타릭에 비해 우수합니다. 승률 또한 알리스타가 타릭에 비해 잘나오며, 유저들의 타릭에 대한 인식은 안 좋아집니다. 심지어 게임에서 서포터로 타릭을 고르면 같은 팀원이 "아 타릭유저시네.. 게임 졌네." "아..알리스타면 한타 이겼을텐데.." 이런 말조차 나옵니다. 

비약적인 예시일수도 있으나.. 이정도 표현이 나올 정도로 현시점 입지의 차이는 확연하다고 봅니다.

 

이상 창기사의 인던 분석 글이었구요. 저는 창기사 상향을 바랍니다. 정말 간절히요. 문제가 있습니다 정말... 

 

 

p.s 방막 중첩 :

방패 방어 강화 I
즉시 방어 성공 시 스태미너가 50 회복되며, 추가로 적대치 4%, 힘 4, 치명타 유발 6이 증가하는 효과가 중첩됩니다. 이 효과는 최대 10회까지 중첩 가능하며, 피격 시 사라집니다.  위에 말씀드린 방막 중첩은 바로 저 패시브 효과를 말씀드리며, 많은 네임드에서 이 방막 중첩이 못 쓰는 상황이

많이 오는 것을 말합니다. 상위 던전들에서요.

 

Lv42 홍안의은기사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