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과 노하우 게시판

전체보기

모바일 상단 메뉴

본문 페이지

[클래스] 링커 스킬의 이해도를 높이는 팁?

roki00
댓글: 5 개
조회: 3837
2016-01-01 01:07:10

현재 많은 마법사 분들이 직업트리에 링커를 거쳐가고 계시고 있습니다.

 

링커의 최대 장점은 여러마리의 몹을 연결하고 한자리에 모아서 묶음으로 광역기를 가진 딜러분들이 더욱 많은 수의

몹들에게 폭딜을 가능하게 해주시는거죠.

 

그중에 몹을 모아서 묶을때쓰이는 "행맨스 낫"이라는 스킬의 특성을 보시면 "데미지추가"와 "스플래시방어"라는 두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데미지추가는 1레벨당20%에 마스터시 5레벨100%의 마법공격력에 해당하는 추가데미지를 준다고 나와있죠.

 

이게 무슨뜻이냐.....마법공격을 할때마다 자신의 마법공격력의 100%에 해당하는 추가데미지가 발생한다는 뜻이 아니라

행맨스 낫으로 몹을 끌어당기는순간 끌려오는 몹들에게 자신의 마법공격력의 최소20%에서 최대100%의 데미지를 한번 

준다는 뜻이에요.

 

실제로 이 특성을 끄고 몹을 당기면 그냥 끌려오지만 켜놓은 상태에서는 끌려와서 모이는순간 딱 자신의

마법공격력-몹의 마법방어력만큼의 데미지가 1회 발생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평타한방 추가로 때려주면서 SP는 10을 더 소모시키는 민폐특성인 겁니다. ㅡ,.ㅡ;;;;;;

 

두번째로 스플래시방어는 몹이 가지고있는 광역방어비율을 깍아주는거죠.

 

트오세의 모든 몬스터들은 그 크기에 따라 광역방어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형은1 중형은2 대형은3 이라는 비율을 가지고 있죠.

 

이 광역방어비율은 우리가 가지고있는 광역공격비율을 깍아내는 역활을 합니다.

 

기본적으로 근접격수인 소드맨계열은 평타공격의 광역공격비율이 4입니다.

 

즉 소드맨이 평타로 몹을칠때 소형이라면 4-1=3 이라는 공식으로 인해서 최대3마리 중형은 4-2=2의 공식으로 2마리

대형은 4-3=1의 공식으로 1마리만 타격할수 있다는 의미이지요.

 

만약 소,중,대의 각각의 몹들이 섞여있다면 현재 타겟팅된 몹의 광역방어비율이 타격에 영향을 줍니다.

 

소형을 타겟으로 잡았다면 옆에 있는몹이 중형이든 대형이든 3마리를 대형을 타겟으로 잡았다면 대형1마리를

타격할 수 있는거죠.

 

또한 스킬에 고유 광역비율이 붙어있을경우 스킬을 쓸때는 캐릭터의 광역비율이 아닌 스킬의 광역비율을 따라갑니다.

 

예를들어 위자드의 어스퀘이크는 광역비율이 8이기 때문에 소형이라면 7마리 중형이라면 6마리 대형이라면 5마리만 날려버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 행스맨 낫:스플래시방어 특성이 진가를 발휘하는데요 최저1에서 마스터시 최대5의 광역방어비율을

깍아버립니다.

 

여기서 잠깐 의문점이 생겨나죠....조인트로 연결된 몹들은 "하나의 오브젝트"로 취급됩니다.

 

즉 연결된 몹중에 어느몹을 공격하더라도 동일한 데미지가 발생한다는거죠.

 

그런데 이몹들을 행낫으로 묶어버릴경우 모여있는 몹들의 광역방어비율이 없어집니다.

 

이 비율에 0에서 멈추는지 아니면 -계율까지 떨어지는지는 확인이 불가능 하지만 데미지가 발생하는것을 보면 -계율까지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하이랜더와 파티사냥중 동일한 몹을 사냥중임에도 불구하고 조인트 상태에서의 공격으로 잡을때 걸리는 시간과

행낫으로 모았을때의 시간이 현격하게 차이가 납니다.

 

하이랜더는 똑같이 스카이라이너로 공격하고 있을뿐인데 왜 이런 차이가 나는가...하고 생각을 해봤습니다.

 

만약 행낫의 스플래시방어로 인해 몹의 광역방어비율이 -수준까지 떨어진다면 그 떨어진 수준까지 추가데미지가

발생하는것은 아닌가...하는 추측이 들더군요.

 

소,중,대형의 여러 몹들을 묶었을때 광역방어비율은 가장큰 대형의 3으로 맞춘다고 가정하고 스플래시방어가

5레벨이라면 -2까지 광역방어비율이 떨어지며 이때 묶여있는 모든 몹들이 -2의 수치만큼...즉 기본적으로 1마리만

타격이 들어가는상태에서 추가로2마리가 더 타격되는 상태가되어 결국 3배의 데미지가 들어가게되는 상태가 되는게

아닐까....하는거죠.

 

이것으로 위저드의 매미와 링커의 행낫과의 연계로 말도안돼는 데미지가 발생하는것도 어느정도 해명이 가능하죠.

 

1.조인트+행낫으로 묶인 몹들이 모두 소형이다.

 

2.행낫의 특성으로인해 몹들의 광역방어비율은 -4까지 떨어졌다.

 

3.매직미사일로 약 200의 피해를 준다고 가정했을때 첫 타격에 들어가는 데미지는 4마리분의 데미지가 더 발생해서

   5배의 데미지 즉 1000이라는 데미지가 발생한다.

 

4.매직미사일은 몹에게 명중할 경우 추가로 1개의 탄환이 발생하여 근처의 다른몹을 공격한다.

 

5.즉 1발의 매직미사일이 조인트+행낫으로 묶인 몹들에게 1000씩 2회 2000의 데미지를 발생시킨다.

 

6.매직미사일의 최대발사갯수는 5개이니 최대 1만의 데미지를 산출해낸다.

 

7.조인트로 연결만 해놓은 상태에서 매직미사일은 200+200의 데미지를 5회 즉 2000의 데미지를 발생시킨다.

 

이것이 의도된 기획인지 아니면 버그인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것 하나는 현재 스플래시방어특성 5렙의 행낫으로

묶을경우 일부 마법스킬과 근접격수들의 광역공격비율이 붙은 스킬로 공격할때 말도안돼는 데미지의 뻥튀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 이야기가 길어졌는데 결론을 내봅시다.

 

첫째!

행맨스 낫:데미지추가 특성은 올리시지 않는걸 권장합니다.

만약 올리셧다해도 다행이 ON/OFF가 가능하니 항성 꺼놓고 다닙시다.

 

둘째!

행맨스 낫:스플래시방어는 마스터를 권장합니다.

자신이 위위위같은 트리를 타서 매미가 있거나 혹은 하하맨같은 유저와 파티중이 아니라면 OFF상태로 다니세요.

파티플레이나 던전입장시 ON으로 바꾸신후 살포시 캐릭터선택이나 채널이동을 통해 적용시켜줍니다.

 

이것만으로도 솔플시 엄청난 SP절약을 할수 있으며 파티나 던전에서 갓링커라는 칭찬을 들을수 있게 됩니다.

 

Ps.이것은 저의 순수한 망상입니다만...만약 소서러의 사역마소환의 박쥐가 매직미사일과 같은식의 데미지공식을

가진다면.....어쩌면 스킬한방에 수만에서 십수만이라는 데미지를 만들어내는 시너지효과가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Lv51 roki00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지금 뜨는 인벤

더보기+

모바일 게시판 리스트

모바일 게시판 하단버튼

글쓰기

모바일 게시판 페이징

AD